View : 869 Download: 0

역할놀이를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역할놀이를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art lesson using role play on respect for life consciousnes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Authors
조이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현대 사회는 환경오염, 물질만능주의 등으로 인하여 생명에 대한 무관심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간의 도덕성 상실과 생명에 대한 무관심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처한 생명의 위기로 인해 자연 환경이 훼손되고 매년 수많은 동·식물들이 멸종 위기에 직면하였다. 최근 흔하게 발생하는 동물 유기 및 학대 사건 등은 우리 사회에 만연한 생명경시풍조를 보여준다. 사람들이 동물의 생명을 가볍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모든 생명은 존중되어야 한다는 기본적인 인식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지식위주의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생명은 소중하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생명존중의식을 내재화하지 못하여 생활 속에서 생명존중을 실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참다운 생명 존중 교육은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 실습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행하며 배워가는 것이다. 생명존중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하는 교육 방법은 다양하지만 우리 주변의 실제적인 문제를 바탕으로 생명체를 장난감이 아닌 기쁨과 슬픔 등 우리와 똑같은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 이해하고 공감하는 활동을 통하여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1)에 따르면 가치와 태도 교육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로 역할놀이가 있다. 역할놀이는 실제 생활과 유사한 여러 가지 상황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훈련을 하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 역할놀이의 대표적인 교육적 기능에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이해하고 타인의 생각과 행동에 공감하는 ‘감정이입’이 있다.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타인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은 다른 생명체도 나와 같이 감정을 지닌 존재로 지각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학생들이 역할놀이에 몰입함으로써 유기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학대받는 고통과 아픔을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생명존중의식이 함양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할놀이의 교육적 효과와 생명존중교육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역할놀이를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통하여 생명존중의식과 역할놀이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2009개정 초등학교 5·6학년 미술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명존중의식 함양을 위한 미술과 수업을 설계하였다. 수업은 역할놀이를 활용하여 다른 생명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내용의 만화를 제작하는 활동을 통하여 생명의 가치와 중요성을 느끼도록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사전 동질성이 검증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소재의 S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총 56명을 표집하여 실험집단 1개 학급(28명)과 통제집단 1개 학급(28명)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 학급은 교과서와 PPT위주의 미술수업을 8차시 동안 실시하였고, 실험집단 학급은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 수업을 10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을 실시한 후 생명존중의식 사전·사후검사 결과는 SPSS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고, 이와 함께 실기 결과물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명존중의식 사전·사후검사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 검사보다 사후 검사에서 생명존중의식의 평균값이 증가하였으나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생명존중의식의 평균값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기결과물인 캐릭터 디자인과 컷 만화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기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주제표현, 표현방법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특히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주제 표현에서 작품 안에 생명존중의식이 잘 나타나고 목적에 맞게 표현하여 이미지를 설득력 있게 전달하였다. 따라서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교과서와 PPT위주의 미술수업보다 학습자의 생명존중의식을 함양하는데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수업은 생명존중 가치를 이해하고 생명존중의 필요성을 실제적으로 학습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역할놀이를 활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생명존중의식에 미치는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청소년들의 인성발달을 위해 생명존중교육 뿐만 아니라 실제 생활에 적용 가능한 교육방법인 역할놀이 활발한 연구와 적용이 필요하다. 역할놀이와 생명존중교육에 대한 연구는 시도되고는 있지만 미술과를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르면 학교 교육에서 미술은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는 핵심 교과이다. 따라서 미술교과가 생명존중의식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교과임을 인지하고, 생명존중의식과 연계된 미술과 수업사례가 활발히 개발되고 생명존중의식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Modern society has become increasingly indifferent to life du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aterialism, and such indifference to life and the loss of human morality have become a social problem. As a result of the life crisis that we face today, the natural environment is destroyed and many of animal and plant species face extinction each year. The incidents involving animal abandonment and animal abuse are increasingly becoming common these days, and such phenomenon reflects the widespread trend of devaluing life in our society. Among many other reasons, this paper asserts that the reason why people make light of the animal's life is primarily due to the lack of basic awareness that all life should be respected. The knowledge-centered education poses a problem in that, while such method of education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at life is precious, it doesn’t lead the students to actually practicing respect for life in reality as they fail to internalize the sense of respect for life. Given this,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fact that true life respect education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to learn by themselves through actual practices rather than merely explaining theoretical concepts. Although there ar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to raise awareness of respect for life, it would be most effective to utilize actual case studies around us to understand and feel the importance of life through activities that allow the students to sympathize with animal and plant species and understand that they are living things—not toys—that hold the same feelings of joy and sadness as humans. According to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1), role play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eaching values and attitudes. Role play is a learning method in which learners are trained to think and act on behalf of others by performing specific roles in various situations similar to real life. Typical educational functions of role play include 'empathy' that comprehends the feelings of others while empathizing with their thoughts and actions. The ability to move away from egocentrism to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with others is related to the attitude that perceives other living things as emotional beings. By engaging students in role play, this method aims to naturally enhance their respect for life by allowing the learners to think in the organic animals’ positions and empathizing with the pain the creatures would have received. Given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effect of role play and life respect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role play in the 6th grade art class on the students’ sense of respect for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this study examines several theories behind the principle of life respect and role play by surveying the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in addition to analyzing the 5th and 6th grade art textbooks with revisions made in 2009. Based on such findings, this study then constructs a teaching program for an art class with the aim to raise awareness of life respect. Utilizing role play, the lesson is structured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feel the value and importance of life through the activity of making comics about understanding the emotions of other living thing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sample of 56 students across two different 6th grade classes from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daemun-gu, Seoul, Korea. After conducting a homogeneity test, the 28 students from one of the class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28 students from the other class were designated as a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an art class based on textbooks and slides were carried out for eight sessions. On the other h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 art class using role play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paper uses SPSS Ver. 21.0 to process the life respect awareness test results from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closely examines the data analysis results to dra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life respect consciousnes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mean value increased in both controlled and experimental groups after the experiment while the magnitude of such increase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rat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character design and cut carto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rtoons produced by the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ratings than the control group in topic expression and expression method. In particular, the experiment group performed better in effectively communicating the purpose by displaying a sense of life respect through the subject expression in the cartoon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s that art lesson using role play has more positive effect on cultivating learner's sense of life respect than textbook and slide oriented art classes. Moreover, the paper asserts that art lessons using role play has positive effects on not only understanding the value of respect for life but also actually practicing the concepts in real lif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