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3 Download: 0

의식상승 기법이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영어 문법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의식상승 기법이 한국 성인 학습자의 영어 문법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onsciousness-Raising Technique on Grammar Learning and Attitudes towards English Grammar for Korean Adult Learners : Focusing on Ergative and Middle Verb Construction
Authors
한지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Consciousness-raising technique, or CR technique, is known to be effective in helping L2 learners to notice subtle meaning differences among grammatical components, and especially effective in correcting fossilized errors(Yip, 2004). Several studies suggested that most Korean adult learners had learnt English grammar in a decontextualized way in the course of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Won & Lee, 2010; Chung, 2011). Considering those mentioned above, CR technique can be effective in correcting errors that have been fossilized by Korean adult learners who did not get enough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grammar within context. Therefore,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 technique on grammar learning for Korean adult learners. Several studies revealed that many of them have not acquired the knowledge on ergative and middle verb construction yet, and thus it has led them to make frequent errors of overpassivization(Oshita, 2000; Cho, 2001; Ha, 2013).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ergative and middle verb construction as target forms, aiming to find out the effects of CR technique on grammar learning and attitudes towards English grammar for Korean adult learner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kind of technique and learners’ proficiency level are the determining factors for effectiveness of CR techniqu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3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by Ellis(1998), direct and indirect CR technique were applied to each group. After taking pre-test and pre-survey, each group had received grammar instruction using direct and indirect CR technique respectively. Right after the experiment, both post-test and post-survey were conducted, and after 2 weeks from the end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were asked to take post-test again to reveal the long-term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rect CR technique was more meaningfully effective for high level learners than indirect one in their short-term learning, while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techniques for low level learners. Such result shows that indirect CR technique, or inductive way of learning, can be as effective as direct one, which is deductive, for low level students, unlike what other existing studies have suggested so far. That is, low level students can also benefit from inductive learning in which they are required to discover rules by themselves, if they receive proper support beforehand.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iveness of two techniques for both high and low level students in their long-term learning. It shows that inductive way of grammar learning can be as effective as deductive learning, regardless of students’s proficiency level in a long-term perspective. Third, there were no meaningful change in attitudes towards grammar learning for those who received grammar instruction using direct CR technique, while those who received grammar instruction using indirect CR technique underwent meaningful changes in attitudes towards grammar learning. Such change wa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eir motivation towards grammar learning and the necessity of learning English grammar. Fourth,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application of CR technique, irrespective of their proficiency levels and the kind of CR technique. Their responses to the open-ended post-survey show that most participants thought it was effective in noticing subtle differences to compare and contrast two different grammatical components. What was interesting about their response was that even those who were applied direct CR technique thought that inductive characteristics were effective in their learning. For example, they responded that the provision of rich amount of example sentences and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ammatical components by themselves by being asked to take a test on them before the explicit instruction by a teacher were especially effective. Such students’ responses prove that they have preferences for having chances to think about what they are going to learn by themselves before being directly presented by a teacher. Such result supports several studies whose results showed that the process of discovering rules by themselves motivates students intrinsically. Considering thos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more helpful for Korean adult learners to employ CR technique which helps them to notice subtle meaning differences among grammatical components. Especially, indirect CR technique should be employed more actively, regardless of learners’ proficiency levels. Since it has been turned out that low level students can also benefit from inductive way of grammar learning, it will not be proper to exclude them from the activity requiring them to discover rules by themselves, thinking that inductive learning can be too difficult for them.;의사소통 중심 언어 교수법이 영어 교육의 지배 흐름이 된 1970년대 이래로, 한국과 같이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 환경에서 의미와 형태의 균형을 맞춘 수업이 특히 강조되고 있다. 즉, 학습자들이 문맥 내에서 문법을 학습하도록 하고, 그것이 실제 사용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지도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 것이다. 그러나 한국 중·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암기 위주의 단편적인 문법 학습이 이루어져 왔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들을 통해 제기되었다(원금숙·이경남, 2010; Chung, 2011). 특히 성인 학습자들 대부분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이러한 문법 학습을 지속해왔는데, 이로 인해 많은 성인 학습자들은 맥락에 따라 적절한 문법 요소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심지어 잘못된 문법 지식이 화석화 되어 있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본 실험에 참가한 성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 결과와 여러 선행 연구들이 보여주고 있는데, 가령 본 실험에 참가한 성인 학습자 23명 중 약 70%의 학습자들이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문법을 문맥 안에서 제시받지 않고 단편적으로 제시받다 보니 실생활에서의 적용 및 활용이 어렵다고 답하였다. 또한, 여러 연구들은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 대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상태이며, 그리하여 과수동화의 오류를 빈번히 범하고 있다고 하였다(Oshita, 2000; 조형묵, 2001; 하예원, 2013). 한편, Yip(2004)은 의식상승 기법이 문법 요소 간 미묘한 의미 차이를 알아차리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특정 문법 요소를 오랜 기간 잘못 알고 있어 오류가 화석화된 경우에도 효과적인 기법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고려해보았을 때, 의식상승 기법은 그간 단순화된 형태의 문법 학습을 받아온 탓에 잘못된 문법 지식이 화석화 되었거나 맥락에 따라 적절한 문법 요소를 선택하지 못해온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효과적인 기법일 수 있으며, 그러므로 이들의 문법 학습에 의식상승 기법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밝히는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성인 학습자들이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 대한 지식을 갖추지 못한 상태이며, 그리하여 과수동화의 오류를 빈번히 범하고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에 따라(Oshita, 2000; 조형묵, 2001; 하예원, 2013), 본 연구에서는 능격 및 중간동사를 문법 요소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의식상승 기법이 한국 성인 학습자들의 능격 및 중간태 구문 학습과 문법 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의식상승 기법의 종류 및 학습자 수준에 따라 문법 학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Ellis(1998)의 분류를 토대로 의식상승 기법을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과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으로 나누고, 두 가지 종류의 의식상승 기법의 장·단기 학습 효과와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태도의 변화, 의식상승 기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및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참가자는 총 23명으로, 11명은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을 적용받은 집단 A에, 12명은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을 적용받은 집단 B에 속하였다. 각 집단은 그들의 사전 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상위 학습자와 하위 학습자로 나눈 후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한 차시 당 약 20분씩 총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8차시의 수업이 종료된 직후에 사후 평가 및 설문을, 수업 종료 2주 후에 지연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위 학습자들의 단기 학습에는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이 보다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하위 학습자들의 단기 학습에는 두 기법의 효과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귀납적 특성을 가진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을 통한 하위 학습자들의 학습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하위 학습자들은 스스로 규칙을 발견할 능력을 아직 갖추지 못하였기 때문에 귀납적 방식의 문법 지도는 적합하지 않다고 했던 기존의 주류 연구 결과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을 제기한다(Ausubel, 1963; Hunston, 2002; 이진우, 2008; 홍광기, 2009; 이현진, 2009; 김경진, 2010). 즉, 스스로 규칙을 발견하기에 앞서 필요한 사전 지식을 충분히 활성화시키고, 규칙을 발견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도움을 함께 제공한다면 하위 학습자들도 귀납적 방식의 학습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상·하위 학습자들의 장기 학습의 효과에는 두 기법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학습자 수준에 관계없이 그들의 장기 학습에 귀납적 특성을 가진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이 연역적 특성을 가진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만큼의 효과성을 가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셋째,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은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 대한 태도에서의 유의미한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한 반면,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을 적용받은 학습자들은 영어 학습 및 영어 문법 학습에 대한 태도에서의 유의한 변화를 겪었다. 특히 이들은 문법 학습에 대한 동기와 문법 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즉,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이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보다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및 문법 학습에 대한 태도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법 지도 방식의 효과성은 학습자 수준, 문법의 난이도 등 다양한 변인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나, 학습자들의 정의적 측면 및 태도에는 귀납적 방식의 지도법이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이전의 관련 선행 연구들과 그 맥락을 함께 한다. 넷째, 학습자 수준과 기법의 종류에 관계없이 학습자들은 모두 의식상승 기법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들의 구체적인 반응을 알아보고자 실시한 개방형 추가 사후설문 결과는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문법 요소 간 차이를 비교·대조하면서 학습했던 점을 기존 학습 방식과의 차이점이자 본 학습 방식의 효과적이었던 점으로 꼽았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성인 학습자들이 문법 요소 간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그 미묘한 차이를 학습하도록 하는 의식상승 기법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편 각 의식상승 기법의 장·단점을 적어보도록 한 설문 문항을 분석한 결과, 집단에 관계없이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예시가 풍부한 점, 설명을 듣기 전에 먼저 문제를 풀었는데, 문제를 풀면서 고민했던 것들을 설명을 들으면서 좀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었던 점, 스스로 요약 및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주어진 점’ 등을 기존 학습 방식과의 다른 점이나 본 기법의 효과성으로 제시했음이 드러났다. 즉, 연역적 특성의 직접적 의식상승 기법을 적용받은 학습자들도 많은 예시를 제공받은 것이 좋았다거나, 혹은 사전 평가를 본 것을 수업 전 문제를 먼저 풀도록 한 것으로 생각하여, 교사의 설명을 듣기 전에 문제를 먼저 접함으로써, 스스로 규칙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주어졌다는 것이 도움이 되었다는 등의 의견을 낸 것으로 보아, 이들 또한 귀납적 방식의 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 가지 종류의 의식상승 기법에 대한 학습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은 모두 귀납적 방식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학습자들의 귀납적 접근에 대한 선호도는 Thornbury(1999) 등의 학자들이 주장하였듯이 스스로 규칙을 발견해내는 과정이 학습자들의 내적 동기를 유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성인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는 단일의 문법 요소를 제시하는 대신 두 개 이상의 문법 요소를 비교·대조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성인 학습자들은 영어 문법을 처음 접하고 학습하는 초·중·고 학생들과는 달리, 이미 일정 수준의 체계가 잡혀있는 영어 문법 지식의 체계를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 나갈 필요가 있는 특수한 상황에 있으므로, 그들의 기존 문법 지식과 연결하여 새로운 문법 요소와 기존 문법 지식의 차이점에 의식을 기울이는 의식상승 기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인 학습자들의 문법 학습에서 간접적 의식상승 기법이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하위 학습자들에게 스스로 규칙을 도출해보도록 하는 것이 너무 어려울 것이라고 짐작하여 그러한 활동으로부터 아예 배제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들이 스스로 규칙을 발견할 수 있도록 충분한 도움을 함께 제공하는 방안을 고민하여 수업을 설계한다면 하위 학습자들 또한 귀납적 방식의 문법 지도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