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9 Download: 0

스마트 교육에 기초한 미술과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마트 교육에 기초한 미술과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fictiveness of modem novel and reconstruction of time in modern novel
Authors
최호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Some deep-rooted causes of unemployment crisis and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can be found in education focused in entrance examination and intellectualism. It is necessary to try to find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n a dimension of education and a new career education for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ies which can help students cope with diversified future circumstance. The government also suggests various alternative plans for those problems. In the past 5~6 years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 through consilience and convergence education is also emphasized in a changing paradigm of education all over the worl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repared a circumstantial base with an action plan of smart education strategies in 2011, and introduced a free semester system as a way of career education to solve the present issues and cultivate core competency for the future. The free semester system is a new career education syst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explore their own dreams and talents without the burden of examinations during a semester. The free semester system began in earnest in 2016. Advanced research on a free semester system was performed by some model schools, but more research and program designs will be needed to support the diversity and the autonomy of a free semester system sufficiently. After a free semester system is regularized, its effect also should be researched. In this study, research was carried out on an art program in the free semester system. As a new tool for art education, elements of smart education are added to strengthen experiential aspects of a free semester system. To begin with, a theoretical review on the free semester system as a way of career education was conducted, then the research was aimed at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rt program using smart education. Procedures and methods of this research are listed below. First,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proposed by theoretical backgrounds. An introduction background and present conditions of a free semester system are examined previously, then its directions and main contents are clarified. After the concepts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maturity were theoretically investigated, conceptual framework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s a way of career education was prepared.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as career education and the free semester system was examined, and the organic relations among art education, free semester system, career education, and smart education were also investigated. Second, an art-related free semester program based on smart education was designed and develop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ogram was made up of expressive, appreciation, and experience activities using webtoons as a main material and designed by using a smart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is program was made up of 12 cycles of lessons and its contents are related with career education. Third,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21 students of J Middle School in Jeonju.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test provid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was used in measuring the change from pretest to posttest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is art-related free semester program based on smart education on the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with paired t-test using SPSS 22.0 to draw a conclusion of this progra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be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values of pretest and posttest of the students’ career maturity(p<.001). Also, paired t-test result was shown as having meaning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category which is sub category of career maturity(p<.001). Among subcategories of attitude (job planning, attitude for jobs, and independence), job planning shows maximum increase value(p<.001).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ility category which is sub category of career maturity(p<.001). Among subcategories of ability (self-understanding, rational decision making, knowledge on desired job), rational decision making shows maximum increase value(p<.001).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ehavior category which is sub category of career maturity(p=.001). In conclusion, the improvement of the posttest average of career maturity degree in the experimental group verifies the effect of the art program, showing it helps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and plan their career.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an play a role as a career education to help students plan their future in finding their own dreams and talents.;현재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극심한 취업난과 높은 청년실업률 같은 문제의 기저에는 진학과 입시에 집중된 교육, 주지주의 교육 등 여러 가지 교육차원의 원인이 깊게 자리 잡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교육차원에서의 해결 방법을 모색하고, 다변화하는 흐름과 환경에 대처하여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진로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국가차원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여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은 이러한 변화를 촉구하여 최근 5~6년 사이 교육계에서는 통섭 및 융합교육을 통한 창의적 인재 육성이 강조되고 있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안을 통해 스마트 인프라를 통한 환경적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2013년 우리교육이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미래사회의 역량을 육성할 수 있는 진로 교육으로서 자유학기제 제도를 전면 도입하게 되었다. 자유학기제란 한 학기동안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꿈과 끼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진로 교육이다. 2016년 현재 자유학기제의 전면 시행으로 자유학기제가 본격화되었다. 기존 시범학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의 선행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의 특성인 다양성, 자율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연구결과와 프로그램의 설계를 필요로 할 것이다. 또한 전면 시행 이후 자유학기제가 끼치게 될 영향을 살펴보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에서의 미술과 프로그램을 통한 연구를 전개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스마트 교육이 가지고 있는 요소들을 통해 자유학기제의 중심 내용인 체험적 요소를 강화하는 수단으로서, 미술과의 새로운 도구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내용면에서는 진로교육으로서 자유학기제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한 후, 스마트 교육을 미술과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구안, 설계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으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배경을 통해 연구의 당위성을 제시하도록 하였다. 먼저 자유학기제의 도입 배경과 운영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자유학기제의 방향성과 중심 내용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진로교육과 진로성숙에 대한 개념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진로교육으로서의 자유학기제 연구의 개념적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진로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과 자유학기제의 관계성에 대해 살펴보고 미술교육, 자유학기제, 진로교육, 스마트 교육이 각각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관계임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둘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스마트 교육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미술과 선택 프로그램을 구안, 개발하였다. 웹툰을 중심제재로 한 미술과 표현, 감상, 체험 활동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마트 인프라를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12차시의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술과의 표현활동을 중점적으로 각 수업이 진로의 내용과 긴밀하게 관련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을 전라북도 전주시 소재의 Y중학교 학생 21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스마트 교육에 기초한 자유학기제 미술과 선택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임언 외, 2011)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변화값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결과는 SPSS WIN 22.0v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진로성숙도의 변화값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의 결과를 보였다(p<.001). 대응표본 t-test 검증결과 또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태도영역에서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나타내었다(p<.001). 태도영역의 하위영역인 계획성, 일에 대한 태도, 독립성 중 계획성 영역에서 가장 높은 증가치를 보였다(p<.001). 셋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능력영역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나타내었다(p<.001). 능력영역의 하위영역인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정보탐색,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 가운데 합리적 의사결정 영역에서 가장 높은 증가치를 보였다(p<.001). 넷째, 진로성숙도의 하위영역 중 행동영역에서의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나타내었다(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실험집단 검사결과 진로성숙도의 사후평균이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결과를 나타내 프로그램 설계의 검증이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의 자유학기제에서의 체험을 도모하고 진로 설계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자유학기제의 본래 취지인 꿈과 끼를 찾아 자신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진로교육으로서의 충분한 역할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