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Effect of 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of ‘Art & Science’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r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최가혜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The Study on the Effect of an Integrated Teaching Program of ‘Art & Science’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for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disciplinary integr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instead of the acceptance of segmented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present educational field. The curriculum integration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currently under implementation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emphasized, In the general theory, the pursuing human figure is defined as a creative person who creates new things with various ideas and challenges on the basis of basic ability, and we want creative and active talent who can respond immediately to the challenges we face(Ministry of Education, 2015). In the context of this education, since the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 in the 4th curriculum has emerged, researches and interests on various subjects have been continuing. In terms of integrated education, the arts curriculum is able to expand various integrated thinking ability because it has the character of 'creative and convergence ability'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integration of art subject and science subject will ultimately influenc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understanding, observing and experimenting scientific principles through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art class and the exploration of materials needed for expression. In the past several years, the integration of arts and other subjects has helped students to develop cognitive, psycho-dynamic, and definitive areas. It has also increased the overall learning capabilities such as learning interest, learning concentr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need for this is also argued in terms of being able to expect a meaningful educational effect on creative grow up.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tegrated class of arts and sciences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y applying it to art-centered expression lesson for the 5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type of integration, I selected Fogarty’(1998) spider-web type as an integrated method, and developed an integrated lecture program titled "I am a Light Artist". This lesson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the expression material in the art class with the knowledge learned in the science curriculum. In other words, after learning the various actions of ligh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lighting a light bulb and material, learners make a 'light art' work using light and color in a way and expression in art class. Through this, the learner can go beyond the contents of the art curriculum limited to the simple decorating activities, directly explore the scientific material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expression, and experiment with the action of the light, so that the creative work can be done by inspiring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integrated education will be examined first through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subject integration, and the orientation and connection to the character and objective of the science subject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ill be extracted,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lasses of a 5th grade elementary school which are homogeneous group in Yuseong-gu, Daejeon, A total of 52 learners (26 learners each clas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experiment group, I applied the integrated lesson of art and science developed by myself, and traditional divided lesson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study period was from August 28, 2017 to September 29, 2017, and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6 periods. In order to test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prior to the experiment, learners conducted a test about academic motivation and science and arts achievement, and after comparing the results, I confirmed that they are homogeneous groups. Pre- and post-test papers were prepared to determine chang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art and science, after that, each questionnaire was validated by three current teachers and one art education specialist. I revised Art Class Writing Assessment Paper which was developed by Hyang Jin Jeon(2006), Soo jin Jeon(2009), and Na Ri Choi(2010) through the post-development class. The Science Writing Assessment Test was conducted using the problems extracted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blems created by myself in the educational contents (www.i-scream.co.kr).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the R statistical package and SAS through the collected data,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performed. In addition, actual results was analyzed qualitatively by using the practical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lso,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I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o examine effect of the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learning motivation te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ere applied the integrated lesson between art and science after the cla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level than the control group. In detail,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ttention,' 'Confidence', 'Relevance', 'Satisfaction', 'Motivation Continuity'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ere applied the integrated lesson between art and science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after conducting the teacher evaluation, the self–evaluation, and the peer evaluation about course evaluation and attitude 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ere applied the integrated lesson of art and science, were more successful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evaluation of actual product results was also highly evaluated. In the actual product 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perior to the control group in the 'subject expression' domain. Especially, when we turned on the lights in the handicraft after lighting off the classroom, 'molding elements and principles' showed a big difference. Fourth, after analyzing the results about the satisfaction of the class on the integrated course of the experimental group, 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showed high positive evaluation in the aspect of 'satisfaction of class' among items of the satisfaction t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gration of arts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has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ntegrated lesson between art and science verifies educational effect on learner's academic motivation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uture, I hope that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will be broadened, and researches with various subjects besides science and arts will be actively developed, so that various and systematic high quality art education will be achieved.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society on the diversity of expression materials and materials supply for contemporary art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artistic lessons.;현재 교육영역에서는 분절된 지식의 수용을 넘어 융합된 지식의 다학문적 통합을 요하고 있다. 교육부가 현재 시행중인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교과 통합은 강조되고 있으며 총론에서는 추구하는 인간상을‘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으로 정의하며 현대 사회에서 직면하는 문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능동적인 인재를 원하고 있다(교육부, 2015). 교과 통합은 각 교과의 분절된 지식이나 경험을 학습자 중심으로 재구성하여 학습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교과 통합은 현대 사회에 꼭 필요한 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제 4차 교육과정에서 등장한 이후 여러 교과의 통합에 대한 연구와 관심은 지속되고 있다. 다양한 교과 간의 통합에서 미술교과는‘창의·융합 능력’이란 교육 역량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교육부, 2015) 교육적 측면에서 다양한 통합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까지 시행된 여러 연구에 따르면 미술교과와 타 교과의 통합수업은 학생들의 인지적ㆍ심동적ㆍ정의적 영역 발달에 도움이 되며(김도영, 2015; 김명희, 2017; 권윤정, 2008; 박소연, 2012; 이정은, 2017),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 학습전략, 문제해결력과 학습몰입도 등 전반적인 학습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권영식, 2012; 김정현, 2010; 양은선, 2016; 임동욱, 2010; 조화영, 2009). 특히 여러 교과와의 통합 중 미술교과와 과학교과의 통합은 미술 수업의 제작 활동과, 표현에 필요한 재료 탐색에서 과학 교과를 통해 과학 원리를 이해하고 관찰 및 다양한 실험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궁극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미술·과학과의 통합수업을 개발하고 미술과 중심의 표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통합의 유형으로는 Fogarty(1998)의 모형 중 주제중심으로 거미줄형을 선택하였으며 <나도 라이트 아티스트>라는 제목의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학습자는 과학 교과과정에서 배운 지식으로 미술수업에서 작품 표현에 필요한 재료의 이해를 돕는다. 즉, 전구에 불이 켜지는 원리와 재료에 따른 빛의 다양한 작용을 탐구하고 이해한 내용을 통하여 빛과 색으로 표현한 ‘라이트 아트’작품을 만든다. 학습자는 단순 꾸미기 활동에 한정된 미술 교과내용을 넘어 제작 표현에 필요한 과학재료를 직접 탐구하고 빛의 작용을 실험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고취하여 창의적인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교과 통합의 정의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후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개념과 관련성을 문헌을 통해 고찰하였다. 더하여 2015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미술과와 과학과의 성격 및 목표에서 통합적 접근에 대한 동일한 지향점과 연계성을 추출하고 두 학문의 관련성을 통해 통합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동질집단으로 검증된 대전시 유성구에 소재한 A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26명씩 선정하여 총 52명의 학습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미술과와 과학과의 교과 통합수업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분과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7년 8월 28일부터 9월 29일까지의 기간으로 총 6차시동안 실험처치가 이루어졌다. 집단 간 실험 전과 실험 후 학습동기와 미술과와 과학과의 학업성취도에 나타난 변화를 도출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지를 작성하였으며, 각각의 검사지는 현직 교사 3인과 미술교육전문가 1인으로부터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미술수업 지필평가 검사지는 전향진(2006), 전수진(2009), 최나리(2010)가 개발 후 수업을 통해 검증된 도구를 참고하고 연구에 맞게 수정하였으며, 과학 지필평가 검사지는 교육콘텐츠 아이스크림(www.i-scream.co.kr)에서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서 추출한 문제와 본 연구자가 만든 문제로 구성된 후 지필평가가 이루어졌다. 통계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통해 R통계패키지 및 SAS를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고, 독립표본 t-test(Independent sample t-test)검사와 대응표본 t-test(Paired samples t-test)검사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2015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등을 토대로한 실기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실기결과물을 질적 분석하고, 만족도 검사지를 바탕으로한 학생의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처치 후 통계결과와 질적분석의 종합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동기 검사에 있어서 수업 후 미술·과학 통합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습동기의 하위영역인‘주의집중’,‘자신감’,‘관련성’,‘만족감’,‘동기지속’의 향상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지필평가 분석결과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진효과가 있었다. 셋째, 교사평가와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성취가 우수하였으며 실기 결과물 평가 또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실기 결과물 평가에서 실험집단은 ‘주제표현’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했으며, 특히 교실 점등 후 작품의 불을 켰을 때 ‘조형요소와 원리’에서 두 집단 간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의 교과 통합수업에 대한 수업만족도 문항 분석 결과, 검사지 항목의 ‘수업 만족도’에서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 대부분이 수업만족에 매우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보면, 미술교과와 과학교과를 연계한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즉, 분과식으로 진행된 수업에 비해 미술·과학 통합수업을 한 학습자는 연관된 수업으로 학습동기가 향상되었으며 그에 따른 학업성취도 또한 증진되었다. 또한 통합수업으로 진행한 학습자는 미술 표현활동에서 과학적 탐구활동을 통해 표현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수업에 대한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과와 과학과의 통합수업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검증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통합수업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통합의 가능성을 더 넓히고 미술과 다양한 학문의 통합이 연구·개발됨으로써 체계적이고 질 높은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더하여 기술적으로 발전되는 현대에 맞춘 표현 재료의 제공과 그에 대한 교육사회 및 교육 인프라의 인식변화를 통해 다양한 표현이 가능한 미술수업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