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미술관 교육을 통한 삶의 질적 가치 향상에 관한 연구

Title
미술관 교육을 통한 삶의 질적 가치 향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effect of museum art education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 of middle aged women
Authors
김혜경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정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미술관 미술 교육, 그 중에서도 중년기 성인 여성의 미술관 교육의 참여가 그들의 삶의 질적 가치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수집된 자료와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술관 미술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기 여성 9명을 선정하여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이러한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의 참여가 중년기 여성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인터뷰 질문은 오혜진(2013)이 개발한 ‘중년후기여성의 미술학습과정’에 대한 인터뷰의 문항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문항은 상위질문 총 5개와 각 상위질문에 포함된 하위질문 2-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개인별로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은 각 면담자 별로 90분씩 진행 하였으며 면담자의 동의하에 인터뷰 내용을 녹취하여 전사하였다. 전사된 자료는 유사한 맥락이나 동어 반복 등, 그룹핑(grouping) 과정을 거쳐 범주화 하였으며, 범주화 된 내용은 다시 상위의 주요개념으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1차 심층면담 후 추가 면담이 필요한 면담자에 한하여 2차 심층인터뷰를 전화와 이메일 상으로 실시하였다. 심층 인터뷰 내용 분석을 통해 미술관 교육프로그램이 성인, 그 중에서도 중년기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으며, 나아가 이러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중년 이후의 여성들이 겪는 삶의 주기는 인생의 전환기로서 자신과 가정, 떠남과 빈자리, 육체적 변화와 환경적 변화가 주는 고통, 시간과 자신과의 타협과 돌파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시기에서 미술 수업을 선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자신의 역할과 존재에 대한 재해석의 방법으로 미술 학습이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을 표현 하고자 했다. 셋째, 학습자들은 새롭게 선택한 삶의 방식인 미술이라는 학습을 통해서 의욕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고, 삶의 목표가 뚜렷해졌으며 가족 간의 믿음과 소통이 삶의 질적 가치 척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그들의 삶의 질적 가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앞으로의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교육대상의 확대와 형태의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로는 성인대상의 미술관 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미술관 교육이 모든 계층의 성인들의 삶 안으로 다가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iddle-aged women’s participation in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fe. The study is based on in-depth interviews of nine women aged between 45 and 65. The interview questionnaire is based on the interview guide developed by Oh Hyejin (2013), which consists of five broad questions, each containing two to five sub-questions. Each interview lasted about 90 minutes, was tape-recorded upon interview participant’s consent,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coded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contexts and key words, and several major themes were emerged in this process. After the initial interview, follow-up interviews were conducted via phone or email if necessary. The analysis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ow the museum education program affects life quality of adults, especially among middle-aged women. The findings also help to shed light on the ways in which these programs can be improved further. The analysis reveals several major findings. First, the data show that middle-aged women tend to turn to museum art education as a way to overcome personal challenges they face in their life cycle, in which they experience physical changes of aging and menopause as well as environmental changes resulting from the “empty nest.” Second,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these women seek art education programs as a way of expressing themselves and redefining their identity. Third, many of these participants gain self-confidence and rediscover the meanings and pursuits of their life, which also posi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their lif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kes several policy suggestions regarding the curriculum of museum art education programs, such as expanding the coverage of the beneficiaries of these programs and developing more diverse curriculum. Finally, I suggest that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rt education designed for adults, given the dearth of studies in this are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