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3 Download: 0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첫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College Major Satisfaction and Job Value on Job Satisfac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n the Field of Secretarial Administration
Authors
노서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경
Abstract
대학을 졸업하고 갖게 되는 첫 직장이란 졸업생들에게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이나 출발점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졸업생들이 대학에서 배웠던 전공은 직장에서 성공적인 업무 수행을 위한 뿌리가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전공만족도는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인일 것이다. 또한 대학 생활을 통해 형성된 직업가치관 역시 졸업생들이 스스로에 대한 정체성을 찾고 직장에 적응하여 업무를 수행하여 느끼게 될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일 것이다. 특히 대학에서 취업을 위한 실무 중심을 받는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들에게는 이러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졸업 후 갖게 되는 첫 직장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그 동안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재학생을 토대로 이루어졌던 여러 선행연구(한주원, 2013; 김미영, 2014; 윤지영, 2014; 서보람, 2016)와 달리 이 연구에서는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을 대상으로 하여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이 첫 직장만족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전공만족도는 첫 직장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둘째,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직업가치관은 첫 직장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10월 21일부터 11월 3일까지 이메일과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68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 중 중복 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 28부를 제외한 총 14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1.0(ver.)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전공만족도 중 교과만족은 첫 직장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식만족과 일반만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 외재적 가치관 모두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위의 가설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서학에서 아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첫 직장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을 대상으로 각 변수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둘째, 4년제 대학교 또는 전문대학의 재학생이나 졸업생에 대해 분석한 선행 연구(김수정, 2013; 김정아, 2012; 임승민, 2012; 김미영, 2014; 박인실, 김미정, 2015; 김광수, 2016)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직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 첫 직장만족도이라는 변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학생들이 구직 활동을 할 때 어떠한 기준에 따라 직장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치관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졸업 후 직장에 다니는 국내 수도권 전문대학의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나, 이들이 국내 전문대학 비서 관련 전공 졸업생의 대표라고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이 연구는 어느 한 시점에서 응답한 자료를 바탕으로 횡단 연구를 수행하였기에 결론 도출에 있어 연구 결과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 전공만족도와 직업가치관을 채택하였으나 이 외에도 첫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직무일치도, 직장 내 스트레스, 임금,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등 다양한 독립변수들을 추가하여 연구를 수행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The first job after college graduation is normal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life. Major satisfaction and job value are key factors that can affect one’s success in his or her first job.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ypothesizes a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 value, and first job satisfac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Two question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first job satisfac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job value on first job satisfac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For the main study, a preliminary survey was completed to establish and en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Afterwards, a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1st to November 3rd, 2017. From a total of 168 questionnaires, 14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20 were deemed unreliable responses). The data for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s program SPSS 21.0 (ver.).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subject satisfaction, which is a sub-factor of major satisfac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rst job satisfaction. However,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general satisfaction did not have any effect on first job satisfaction. Second, job value, including intrinsic job value and extrinsic job value of junior college graduate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did not have any effect on first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an effect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job value, and first job satisfaction for junior college graduate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Although the result did not match previous studies, it is encouraged to be utilized as underlying data of career programs for students in secretarial administration of junior colle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