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읽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Title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읽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temporary Korean Novel Textbook for Chinese Learners : Focusing on Advanced Learners
Authors
ZHAO, WA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 contemporary Korean novel textbook for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needs for learn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among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in Korea and China as well as analyzing the novels sections of current Korean textbooks. After choos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needs and current textbook analyses, we presented a system for unit construction and actual example of a chapter of the developed textbook. In Chapter I, we described the rationale and aims of the study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developing Korean literature teaching materials and various methods of teach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Previous studie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 study, and they have served as valuable reference for this study. However, one notable shortcoming of previous studies is that their selections of literary works are limited due to a neglect of various needs among learners. In Chapter Ⅱ, we examined the rationale and objective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more, we reviewed various theories of literary work selec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so as to select the novels to teach in our textbook. We also examined various theories about the principles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se reviews, we established the procedure for textbook development in this study. In Chapter Ⅲ, we performed two baseline surveys for the development of textbook. First, we surveyed the needs for learn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in 60 Chinese advanced Korean learners who are studying Korean at a Korean language institute affiliated with a Korean university or at a Chinese university. The questionnaire comprised four sections: general information about the respondents, past contemporary Korean novel learning experience, perception about the need for learn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and needs for learn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By analyzing the responses, we identified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 textbook for reading contemporary Korean novels and established the criteriafor selecting literary works. Second, we examined the selection of contemporary novels in current Korean textbooks and analyzed the activities used for learning novels. These analyses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the current status and methods of contemporary Korean nove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shedding light on the limitations of current contemporary nove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Ⅳ, we developed an actual contemporary novel textbook for reading based on the questionnaire and textbook analysis in Chapter III. First, we presented our literature selection criteria. We selected nine contemporary Korean novel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nd analyzed these novels in content, cultural, and literary aspects. Next, we established a specific unit construction system for the textbook to be developed. Finally, we presented an actual example of one of the chapters tha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ntemporary nove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at it proposed a protocol for developing a contemporary Korean novel textbook for Chinese learners. We hope that our findings lay a foundation for developing more diverse contemporary novel textbooks in the years to come.;본 연구는 고급 단계의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읽기 교재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고급 단계의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소설 학습에 대한 요구 분석을 실시하고, 현행 한국어 교재 소설 학습 부분을 분석하였다. 요구 분석과 교재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소설을 선정한 후 읽기 교재 단원 구성 체계와 실례를 제시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을 서술하였고,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읽기 교재 개발 연구와 현대소설 교육 방안 연구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서 본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 연구 진행에 참고 자료가 되었다. 하지만 선행 연구들은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다양하게 고려하지 않아 문학 작품 선정 부분이 미흡하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Ⅱ장에서는 먼저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학교육의 필요성과 목표에 관한 이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개발하고자 하는 교재의 소설 작품을 선정하기 위하여 외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을 선정하는 기준에 대한 학자들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교재 개발 원리에 대한 이론들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필요한 교재 개발의 절차를 설정하였다. Ⅲ장에서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필요한 두 가지 기초 조사를 시행하였다. 첫 번째는 고급 단계의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 현대소설 학습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한국 대학 부설 한국어교육원과 중국 대학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고급 단계의 중국인 학습자 총 60명이었다. 조사 내용은 조사 대상의 기본 정보, 한국 현대소설 학습 경험, 한국 현대소설 학습 필요성에 대한 인식, 한국 현대소설 학습에 대한 요구 총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학습자 설문 조사의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 현대소설 읽기 교재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을 밝혔고, 소설 작품의 선정 기준을 세울 수 있었다. 두 번째는 현행 한국어 교재 중 현대소설의 수 록 현황을 살펴보았고, 소설 작품들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서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한국 현대소설의 교육 현황과 교육 방법 등 중요한 정보를 얻었으며, 한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현대소설 교육의 한계점도 밝혔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의 설문 조사와 교재 분석을 바탕으로 실제 현대소설 읽기 교재를 개발하였다. 먼저 본 연구의 작품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 9편 한국 현대소설을 선정하였고, 이 9편 소설 작품들을 내용적, 문화적, 문학적 등 여러 측면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다음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교재의 구체적인 단원 구성 체계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에는 그 체계에 따른 교재의 한 단원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현대소설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소설 읽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다양한 현대소설 교재의 개발이 이루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