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5 Download: 0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 연구

Title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for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Authors
김나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make a plan for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in a domain of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organize its objectives and methods. Hence, first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present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n a critical manner based on a curriculum, content and a system of a textbook. Next, it suggested that critical thinking be grafted onto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n order for learners to learn the literature history and establish a perspective o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history based on their critical and subjective attitude.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has played various roles including expansion of learners' knowledge on the literature history, enrichment of their interpretation on literary works and formation of their literary viewpoint, making continual attempts for realizing its significance. However, it has been criticised constantly for an issue of learning centered on the memorized knowledge distanced from a life of a learner. Seeking a plan for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at accomplishes its intrinsic meaning,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reconsideration on a concept of the literature history and a potential for education closely connected to a life of a learner so re-conceptualized the critical thinking and applied it to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In the ChapterⅡ, this research examines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and conceptualizes it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riticism and identifies its application to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e point where this study takes notice in the critical thinking is a valuing function and a communicative characteristic of criticism. Approaching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this study attempts a radical switchover of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with a view to connection to a life of a learner beginning from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of a text. In the Chapter Ⅲ, this research identifies and phases actual aspects of literature history texts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centered on texts by literary professionals. The critical thinking governs a process organizing a creative text by way of analysis and evaluation on a literary text based on a systemic approach. This study establishes the interface between the literature history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literature history texts by literary professionals based on the critical thinking and summarizes it into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iterary works’, ‘positioning of a literary work based on an intertextual context’ and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of literary works in a literature history perspective’. The first is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individual literary works. Readers make an attempt at initial interpretation on an individual work by appreciating it from intrinsic·extrinsic perspectives and evaluating its values before organizing a system of the literature history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Understanding of an individual work functions as basic data before identifying and constructing a flow of the literature history, and readers undergo a step of basic criticism interpreting and judging the work from their own perspectives. The second is positioning of a literary work based on an intertextual context. Based on experiences of the critical thinking and accumulated interpretations on a variety of literary works, readers constitute horizontal relations and vertical relations in the literature history by selecting and arranging certain works. Building up processes to set a relation between literary works, readers systemize the entire literature history through segmenting and naming the period of the literature history and form their perspectives o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history. The third is evaluation and communication of literary works in a literature history perspective. Based on perspectives on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history, readers perform an evaluation on individual literary works from the literature history and share it through criticism with various members surrounding a literary phenomenon. Critical literature history texts form the new discourse through dialogue and communication, and in such a process criticism with a literary expert is embodied into metadiscourse and theory, and inputted into an educational arena. This study examines actual application of the critical thinking in a process organizing a critical literature history text by a literary professional and gropes for a plan for applying it to readers learning in a literary class in the Chapter Ⅲ leading to the Chapter Ⅳ. In the Chapter Ⅳ, this research specifies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and makes a plan for applying it to an actual educational field. An educational plan is composed of specific ‘objectives’ and ‘methods’ for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Specific objectives for 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may be trisected into the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history as a critical text’ for recognizing that literature history is constructed by certain factor, ‘cultivation of abilities for analyzing literary works and observing their relations’ for identifying horizontal·vertical relations in the literature history based o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works and ‘formation of a subjective critical attitude on the literature history’ for acting as the subject in a place of the literature history discourse and communicating with various members. As detailed methods for achieving such objectives, this study set ‘multilateral interpretations on the existing literature history texts’, ‘establishment of a perspective for describing the self-literature history’ and ‘understanding of the open literature history through dialogues and discussion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o some extent it suggested a solution for solving a deep-seated problem of the knowledge, memorization, teacher-centered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However, in order to design and implement the specific and practical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along with more refined conceptualization for the critical thinking, it is needed to examine instruction and learning of the literature history in an educational field where learners and teachers participate using various literature history texts for providing detailed methods and contents. Various in-depth discussions on the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are expected based on findings of this research. ;본 연구는 문학교육의 영역에서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 그 목표와 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현행 문학사교육의 양상을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내용 및 체계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 학습자들이 비평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를 바탕으로 문학사를 학습하고 나아가 문학과 문학사에 대한 관점을 형성할 수 있는 문학사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비평적 사고를 문학사교육에 접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문학사교육은 학습자의 문학사적 지식의 확대 뿐 아니라 개별 문학 작품 해석의 풍부화와 학습자의 문학관 형성 등 다양한 역할을 담당하고 그 의의를 실현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해 왔으나, 실제 적용 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삶과 괴리된 지식 암기 위주의 학습이라는 문제를 계속해서 지적받아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학사교육의 본래적인 의의를 성취할 수 있는 문학사교육의 방안 마련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문학사 개념 자체에 대한 재인식과 학습자들의 삶과 밀착한 교육의 가능성에 주목하여, 비평적 사고를 재개념화하여 문학사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비평의 성격과 기능을 토대로 비평적 사고를 개념화하여 문학사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폈다. 본 연구에서 비평적 사고에 주목하는 지점은 비평의 가치화 기능과 소통적 성격으로, 비평적 사고를 통해 문학사교육에 접근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하여 해석과 평가, 학습자의 삶과의 연결에 이르는 것을 목적으로 문학사교육의 근본적인 접근 방식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학전문가들의 실제 텍스트를 중심으로 비평적 사고를 통하여 나타나는 문학사 텍스트의 실제 양상을 점검하고, 이를 단계화하였다. 비평적 사고는 문학 텍스트에 대하여 체계적인 접근을 토대로 분석과 평가의 과정을 거쳐 창의적 텍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을 통어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전문가의 문학사 텍스트를 통하여 문학사와 비평적 사고의 접점을 구성하고, 이를 ‘개별 문학 작품의 수용과 이해’, ‘상호텍스트적 맥락에 근거한 문학 작품의 위치 설정’, ‘문학 작품의 문학사적 평가와 소통’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개별 문학 작품의 수용과 이해이다. 독자는 비평적 사고를 통해 문학사적 체계를 구성하기 전 개별적인 작품을 내재적·외재적인 관점에서 감상하고 가치를 판단함으로써 일차적인 해석을 시도한다.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는 문학사적 흐름을 파악하고 구성하기 전 기초적인 자료이며, 독자는 작품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나름의 관점으로 판단을 내리는 기초적 비평 단계를 거친다. 둘째, 상호텍스트적 맥락에 근거한 문학 작품의 위치 설정이다. 독자는 다양한 문학 작품에 대한 비평적 사고 경험과 누적된 해석을 기반으로, 특정 작품을 선택하고 배열함으로써 문학사 내부의 종적·횡적 관계를 구성한다. 문학 작품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과정을 누적함으로써, 독자는 문학사적 시대 분절과 명명을 통하여 문학사 전체를 체계화하고 자신의 문학관과 문학사관을 정립하게 된다. 셋째, 문학 작품의 문학사적 평가와 소통이다. 독자는 문학과 문학사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토대로 개별 문학 작품에 대한 문학사적 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비평의 형식으로 문학현상을 둘러싼 다양한 구성원과 공유한다. 비평적 문학사 텍스트는 대화와 소통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담론을 형성하게 되며, 문학전문가의 비평은 이 과정에서 거대 담론과 이론으로 구체화되어 교육의 장에 투입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학전문가의 비평적 문학사 텍스트 구성의 과정에서 비평적 사고의 적용이 이루어지는 실제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문학 교실의 학습 독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으로 Ⅲ장과 Ⅳ장을 연결짓고자 하였다. Ⅳ장에서는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을 구체화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교육 방안은 크게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의 구체적인 ‘목표’와 ‘방법’으로 구성된다.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의 구체적 목표는 문학사가 특정 요인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임을 인식하는 ‘비평적 텍스트로서의 문학사 이해’와, 개별 작품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문학사 내부에서 종적·횡적 관계를 파악하는 ‘문학 작품에 대한 분석과 관계 조망 능력 함양’, 문학사적 담론의 장에서 주체로서 기능하며 다양한 구성원과 소통하는 ‘문학사에 대한 주체적 비평 태도 형성’으로 삼분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학사 텍스트에 대한 다각적 해석’과 ‘자기 문학사 서술을 위한 관점의 확립’, ‘대화와 토론을 통한 열린 문학사의 이해’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문학사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인 지식 중심·암기 중심·교사 중심의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는 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비평적 사고를 통한 문학사교육’을 설계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비평적 사고와 관련한 더 정련된 개념화가 필요하며, 다양한 문학사 텍스트를 대상으로 실제 학습자와 교사가 참여하는 교육 현장에서의 문학사 교수·학습의 양상을 살펴 세부적인 방법과 내용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학사교육에 대한 보다 다양하고 깊은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