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7 Download: 0

모바일 문학의 대화성 연구

Title
모바일 문학의 대화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ialogicality of the mobile literature
Authors
손지은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명준

한혜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mobile literature and to analyze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o show that mobile literature has a dialogicality with language, inside of text and outside of text. In a broad sense, Mobile literature refers to literary works that can be read by mobile devices such as PDAs, cell phones, smart phones, e-book readers, and tablet PCs. In a narrow sense, it refers to a literary work that can be read on the mobile phone. Especially, it refers to a novel or poem developed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a mobile phone. So this thesis will define the object that is produced, distributed, and consumed by mobile devices. Mobile literature is rooted in print literature. In Chapter 2, two types of mobile literature are classified into SNS type and messenger type literature, and are analyzed that their are formerly print literature. This thesis reveals through the SNS type literature remediates essay, the messenger type literature remediates play, the mobile literature has a connection point with the literature.Also, we present the various aspects of mobile literature by classifying the two types of subclasses into mobile diary type, mobile letter type, mobile instruction type, and mobile line type literature. In Chapter 3, this thesis analyze that mobile literature has distinguished literacy character from print and web literature by language, text, and outside of text. As a result, the language reveals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on the web meet the mobile media and change. At the level of language, multimodality meets the mobile medium that constructs mobile literature using visual, auditory and tactile resources. Next, the technical narratives that appear through the electronic language in the text meet the personal nature of the mobile medium and represent the everyday language of the language of Internet. Finally, there is the intertextuality with higher importance of the listener externally. There is also a mutual movement between not only between the text and the text, but also between the speaker and listener, the text and the listener, the listener and the listener. These characteristics of mobile literature have commonality in that they contain relationship and reveal that mobile literature has dialogicality. Chapter 4 focuses on the relationship of mobile literature and draws the mediating dialogicality. In other words, this thesis examine the continuous attempts of dialogue in these relationships through the viewpoint of the integration based on time and space. Through the concept of dialogicality of Bakhtin, we analyze the dialogical relations appearing inside and outside of the text. First, the visual, auditory, and tactile language appearing in mobile literature has heterogeneous with various meanings. The artist opens the possibility of being interpreted in various meanings by presenting the situation rather than intervening and explaining it. These meanings conflict with each other, cause conflicts, and find meaning through dialogue. This extends the range of meaning through the sensory language. Internally, there is a daily monologue and dialogue with other people in mind, which shows that one or more of the various consciousnesses and voices exist as totally independent entities. So the work is not finalized and continues to form an open structure. Outside of the work, the intertextuality appears, and the dialogue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s organized a constructive and layered structure. As a result, mobile literature reveals that dialogue is constantly generated in the language, texts, and outside of tex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uch mobile media, it has a significance to extend the boundaries of literature. This thesis has significance in that various types of texts appearing on mobile are bundled in the name of mobile literature and they have a view of their expansional significance. However, it is still lacking in depth with early research. This must be supplemented by subsequent studies.;본 논문은 모바일 문학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들의 서사적 특성을 분석하여, 모바일 문학이 언어, 텍스트 내적, 외적으로 대화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문학의 외연을 확장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모바일 문학이란 넓은 의미로는 PDA, 핸드폰, 스마트폰, 전자책 단말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기기로 읽을 수 있는 문학작품을 일컫는다. 좁은 의미로는 모바일 폰, 즉 휴대폰으로 이동 중에 읽을 수 있는 문학작품을 말하는데, 특히 휴대폰의 특성에 맞게 개발된 소설이나 시를 일컫는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산, 유통, 소비되는 서사체로 정의하고자 한다. 모바일 문학은 인쇄 문학에 뿌리를 두고 있다. 2장에서는 모바일 문학의 두 유형을 SNS형 문학과 메신저형 문학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전신이 인쇄 문학에 있음을 분석한다. SNS형 문학은 수필을, 메신저형 문학은 희곡을 내용적, 형식적으로 재매개함을 통해 모바일 문학이 문학과 연결점을 지니고 있음을 밝힌다. 또한 두 유형의 하위분류를 각각 모바일 일기형 문학, 모바일 편지형 문학과 모바일 지시문형 문학, 모바일 대화형 문학으로 구분함으로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모바일 문학의 양상을 정리하여 제시한다. 3장에서는 모바일 문학에 인쇄 문학, 웹 문학과 변별적인 서사적 특성이 나타남을 언어, 텍스트 내부, 텍스트 외부의 차원으로 구분해 분석한다. 그 결과 언어는 웹에서 나타났던 특성이 모바일 매체를 만나 변화되는 양상을 드러낸다. 언어의 차원에서는 멀티모드성이 모바일 매체를 만나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적 자원을 이용하여 모바일 문학을 구성한다. 다음으로는 텍스트 내부의 차원에서 전자 언어를 통해 나타나는 기술적 구술성이 모바일 매체의 사적인 성격과 만나 통신언어의 일상어화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텍스트 외부적으로는 청자의 비중이 강화된 상호텍스트성이 나타난다. 텍스트와 텍스트 간, 화자와 청자 간 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청자, 청자와 청자 등의 관계에서 또한 상호적인 움직임이 드러난다. 이러한 모바일 문학의 특성들은 관계적이라는 공통점을 지니며 모바일 문학이 대화성을 지님을 드러낸다. 4장에서는 이와 같이 모바일 문학의 관계적 측면에 집중하여 통합적으로 매개된 대화성을 도출한다. 즉 시공간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체적 관점을 통해 이들의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나타나는 대화의 시도를 고찰한다. 바흐친의 대화성 개념을 통하여 텍스트의 내부, 외부에서 나타나는 대화적 관계를 분석한다. 먼저 모바일 문학에 나타나는 시각, 청각, 촉각적 언어는 여러 의미를 내포하는 이질언어성을 지닌다. 작가가 개입하여 이를 설명해주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제시해줌으로써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의미들은 서로 충돌, 갈등을 일으키며 대화를 통해 의미를 찾아가게 되는데 감각적 언어를 통해 의미의 보다 범위가 확장된다. 작품 내부적으로는 타인을 염두한 일상적 독백체와 대화체가 나타나며 이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의식, 목소리들이 완전히 독립적인 실체로서 존재하는 다성성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은 종결되지 않으며 계속해서 이어지는 열린 구조를 형성한다. 작품 외부적으로는 상호텍스트성이 나타나면서 화자와 청자 간의 대화를 통해 생성적이고 적층적인 구조를 조직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문학은 언어, 텍스트 내부, 텍스트 외부의 차원에서 생성적인 대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남을 밝힌다. 이러한 모바일 매체의 특성으로 인해 문학의 경계를 확장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본 논문은 모바일에 나타난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를 모바일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묶고 이들의 확장적 의의를 조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아직 초기의 연구로 그 깊이가 부족하다. 이는 반드시 후속 연구를 통해 보완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