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8 Download: 0

경장영양을 시행한 환자에서 영양집중지원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연구

Title
경장영양을 시행한 환자에서 영양집중지원에 따른 영양상태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by Intensive Nutritional Support in Enteral Nutrition patients
Authors
김보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임상보건융합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오란
Abstract
영양지원은 영양상태 회복 및 질병 치료를 위해 경장 혹은 정맥으로 영양소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적절한 영양지원은 부적절한 영양 섭취로 발생하는 영양불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하며,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영양집중지원팀을 구성하여 환자의 영양지원을 돕고, 주치의에게 영양치료를 위한 자문을 제공한다. 선행 연구에서 영양집중지원팀이 개입한 경우 영양집중지원팀이 개입하지 않은 경우 보다 기계적 합병증 발생률과 대사적 합병증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불량 환자의 관리 또한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병동 환자의 경장영양지원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에 따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5년 1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C 대학병원에 입원한 일반병동 환자를 대상으로 3일 이상 경장영양을 공급받은 성인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영양집중지원팀에 의뢰되어 영양중재를 받은 중재군과 영양중재를 받지 못한 미중재군으로 분류하였다.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영양검색점수, 영양지표, 생화학적 지표의 변화를 조사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자료수집은 해당병원의 임상연구 윤리심의위원회(과제번호: PC16RASI0060)의 심의 및 승인을 받은 이후 조사하였다. 대상자는 총 95명으로 중재군 55명, 미중재군 40명이었다.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 여부에 따른 영양검색점수의 변화는 중재군에서는 입원 시와 2주 후 2.3±1.2점으로 같았고, 미중재군은 입원 시 2.8±1.5점에서 2주 후 3.1±1.6점으로 증가했으며, 시점과 영양중재 여부 간 교호작용이 있었다(p=0.022). 열량 지원율은 중재군에서는 입원 시 79.3%에서 2주 후 87.4%로 높아졌고, 미중재군은 입원 시 66.7%에서 2주 후 70.8%로 시점(p<0.001)과 영양중재 여부 간(p<0.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단백질 지원율은 시점(p=0.029), 영양중재 여부(p=0.009), 시점과 영양중재 여부 간의 교호작용(p=0.047)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화학적 지표의 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Hemoglobin, Hematocrit은 시점과 영양중재 여부 간의 교호작용이 있었다. Glucose 농도는 중재군은 2주 후 입원 시 보다 감소했고, 미중재군은 2주 후 입원 시 보다 증가했으며 시점(p=0.013), 영양중재 여부 간(p=0.009), 시점과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 여부 간 교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3일 이상 경장영양을 공급받은 환자에서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를 받은 중재군의 열량 및 단백질 지원율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화학적 지표 역시 긍정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환자의 입원 초기부터 영양관리를 계획하고, 영양집중지원팀의 영양중재로 환자의 영양상태를 개선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양불량 문제가 있는 환자가 영양집중지원팀의 중재를 받아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한다면, 이는 환자의 임상적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Nutritional support means supplying nutrients, known as enteral nutrition(EN) or parenteral nutrition(PN)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nutrition and treating diseases. Adequate nutritional support is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malnutrition caused by inadequate nutrition. Nutrition support team(NST) is formed to help with the patient's nutritional support and provide counseling for the medical nutrition therapy(MNT).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incidence of mechanical complications and the incidence of metabolic complications are lower when the NST is involved. Management of malnourished patients was also reported to be efficient with NST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focused on NST among the EN support supplied to the general ward patients. From November 2015 to July 2016,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adult patients, admitted in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receiving EN supply for more than 3 days at a general war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e intervention group, those who received nutrition intervention and the non-intervention group, those who did not receive nutrition interven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fter review and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the hospital (PC16RASI0060). In order to assess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benefits of the NST, the changes of nutrition screening score, nutritional index, and biochemical indicators were compared. Among the 95 subjects, 55 were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40 were in the non-intervention group. The change of nutrition screening score was 2.3±1.2 points after 2 weeks in the intervention group. However, in the non-intervention group, the nutrition screening score increased from 2.8±1.5 at admission to 3.1±1.6 after 2 weeks. There was interaction(p=0.022) between time and nutritional intervention status on NST. The calorie support rate increased from 79.3% at admission to 87.4% in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2 weeks whereas in the non-intervention group, it was 66.7% at admission and 70.8% after 2 week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p<0.001) and nutritional interventions status on NST(p<0.001). Protein support r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terms of time(p=0.029) and nutritional intervention status on NST(p=0.009), and the interaction(p=0.047) between time and intervention. Biochemical indicators, such as albumin, total lymphocyte count, hemoglobin, and hematocrit improved overtime with nutritional intervention. Glucose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intervention group after 2 weeks whereas it showed an increase in non-intervention group after 2 wee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oth in terms of time(p=0.013) and nutritional intervention(p=0.009), and the interaction(p<0.001) between time and nutrition intervention on NST. We found that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improved by proper planning of nutrition management from the beginning of the hospitalization and systematically managing the nutrition intervention of the NST. In conclusion, if proper intervention is made to improve the malnutrition status of the patients in NS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linical treatment of the pati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