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5 Download: 0

인간의 기본감정인 칠정의 노(怒)를 중심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비(悲)와 희(喜) 그 사이」 에 관한 연구

Title
인간의 기본감정인 칠정의 노(怒)를 중심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비(悲)와 희(喜) 그 사이」 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ewly of choreographed work「Between Sorrow and Joy」Focused on Anger among 7 Basic Human Emotions
Authors
LI, MEILING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은미
Abstract
This study starts by raising a question as to 'how to lead one's life by matching with one's own emotion?' Humans are required to lead their life by matching with their own emotion from the time of birth. Due to social factors, humans quickly determine and receive signal of outside environment under the current acceleration times but in many cases, fail to recognize inner signal. Emotion is a physical reaction of expressing one's own attitude to outside by receiving signal passively in a social area. Emotion being expressed outside including various situations is frequently represented together with language, movement, facial expression. Basic human emotion is expressed by joy, anger, anxiety, thought, sorrow, surprise, fear and such basic emotions are called as 7 emotions in 'Hwangje Naegyeong' (ancient Chinese medical book). 7 emotions that is basic emotion being unconsciously expressed by receiving outside stimulus without inner thought belongs to primary emotion and an emotion being expressed by positively converting inner thought, contrary to an emotion to be expressed intentionally, is called as secondary emotion. However, humans habitually used to neglect inner emotion in a process of expressing secondary emotion and gradually fail to recognize one's own candid emotion. Due to this, unnecessary emotions are accumulated in human inner mind. According to a principle of 'Eumyang Ohang' theory, accumulated emotion is said to damage physical, mental health by interfering spiritual flow of human inside and creating unbalance of circulation. In addition, emotion being accumulated like this is unconsciously expressed as primary emotion again at the time when human inner mind is unable to endures such emotion any longer. Frequently, accumulated emotion is likely to be expressed as unconscious anger. In other words, 7 emotions as human basic emotion is said to be endlessly circulated in human body extemporaneously as primary and secondary emotion repeat a process of suppression and expression. Human dilemma equates one's own identity with outside world and puts more emphasis on outside existence, value than inner consciousness. However, humans are required to recognize importance of inner mind having casting vote for outside expression. In this study, emotional fluctuation of 7 emotions and emotional flow, purification based on Eumyang Ohang theory are intended to be discussed by expressing an emotion being accumulated by unbalance and suppression of human primary, secondary emotion as 'anger' by analyzing 'Between sorrow and joy' that is dance creation work being danced based on anger of 7 emotions defined in 'Hwangje Naegyeong'. The work was analyzed based on topic, contents, spatial use, each scene composition, moving path, movement of dancers, use of objet and its meaning. In Chapter 1 of the work, in order to express a process of recognizing an emotion being created unconsciously, bright area was established as human inner space by using diagonal Gil light from the rear of stage right to the front of the left. And in order to discriminate human inner world from outside area such as society, others, dark area was established as outside space. Through this, unconscious and extemporaneous emotion was expressed and difference of delicate emotional change and emotional recognition stage were expressed as movement. In Chapter 2 of the work, in order to represent a conflict by emotional inconsistency between outside emotion and inner world emotion, inner conflict was expressed by installing filmed light in front of right stage. Inner emotion by conflict is human emotional change being created in a process of human recognition. Secondary emotion is expressed to outside environment and others but in inner world, suppressing power acts contrary to outside. In order to express this scene in chapter 2, a scene of emotional suppression and spirit being flown in unbalanced pattern was expressed as movement. Subsequently, more deepened inner world is found as inner conflict is gradually extended and main topic is more concentrated on inner emotion than outside. This scene was established as a space of enlightenment by using blue top light having heavy mood behind stage left and suppressed emotion was represented by embodying inner emotion as feather. In a space of enlightenment, fully identified emotion and choice of emotional suppression and express were represented. In Chapter 3, light of vortex pattern signifying circulation was used in order to express smooth flow and circulation of Eumyang Ohang as primary, secondary emotion are converged by restraining emotional expression. Dancers expressed emotional state through moving path and movement by wearing feather that is objet in vortex pattern in hand and the work was finished by delivering a message that human 7 emotions is achieved in a process of circulation and such circulation is repeated endlessly. In this study, it was emphasized that human emotion is required to be led to a direction beneficial to physical, mental health by expressing one's own emotion based on reasonable suppression and expression and maintaining circulation of Eumyang Ohang through 'Between sorrow and joy', a dance creation work based on 'anger' among 7 basic human emotions. By doing so, this study intended to deliver a message that a positive life could be led by maintaining harmony in a society through cultivation of emotional identity in a way of understanding a method of eliminating suppressed emotion of one's own accord.;본 연구는 ‘자신의 감정과 어떻게 어울리며 살아갈 수 있을까’라는 의문 제기에서 시작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의 감정과 어울리며 살아가야 한다. 사회적 요인으로 인하여 인간은 현재의 가속화 시대에서 외부환경의 신 호들을 신속히 판단하고 받아들이지만 자신의 내면에서 보내는 신호는 인지하 지 못 할 때가 많다. 감정은 인간이 사회적 영역에서 피동적으로 신호를 받고 외부로 자신의 태도를 표출하는 신체적 반응이다. 여러 상황을 비롯하여 외부 로 표출되는 감정은 흔히 언어, 움직임, 표정 등과 함께 나타난다. 흔히 외부 로 표출되는 인간의 기본감정은 희, 노, 우, 사, 비, 경, 공으로 표현되는데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는 이러한 7가지 기본감정을 칠정이라 한다. 내면의 사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 외부의 자극을 받아 표출되 는 기본감정인 칠정은 1차적 감정에 속하고 자신이 표출하고자 하는 감정과 달리 내면의 사고를 통해 긍정적으로 전환하여 표출되는 감정은 2차적 감정이 라고 한다. 하지만 인간은 2차적 감정을 표출하는 과정에서 내면의 감정을 소 홀하게 되고 그것이 습관이 되며 점차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그로인해 인체의 내면에는 불필요한 감정들이 축적되기 시작한다. 음양 오행론의 원리에 따르면 축적된 감정은 인체내부의 기의 흐름을 방해하고 순 환의 불균형을 일으켜 심신건강에 피해를 가한다고 한다. 또한 이렇게 축적된 감정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 더 이상 내면에서 감당할 수 없을 시기에 다시 무 의식적으로 1차적 감정으로 나타나게 된다. 흔히 축적된 감정은 무의식적인 분노의 성향으로 표출될 우려가 있다. 다시 말해 인간의 기본감정인 칠정은 1 차적 감정과 2차적 감정이 억제와 표출의 과정을 반복하며 인체 내부에서 끊 임없이 즉흥적으로 순환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딜레마는 자신을 외부세계와 동일시하여 내면의 의식보다 외부의 존재와 가치를 더욱 중요시하는 점이다. 하지만 인간은 외부로 표출을 하는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내면의 중요성도 인 지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황제내경』에서 정의된 인간의 기본감정인 칠정의 노(怒)를 중 심으로 안무한 무용창작작품 「비(悲)와 희(喜)그 사이」(2017)를 분석함으로써 인간의 1차적 감정과 2차적 감정의 불균형과 억제로 축적된 감정을 ‘노 (怒)’로 표출하여 칠정의 감정기복과 음양오행론의 원리에 따른 감정의 흐름 및 순화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작품은 주제 및 내용, 공간사용 및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 및 움직임, 오브제의 사용 및 의미로 분석하였다. 작품의 1장에서는 무의식으로 일어나는 감정의 인식과정을 표현하고자 무대 의 상수 뒤부터 하수 앞까지 사선 길조명을 사용하여 밝은 영역을 인간의 내 면의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인간의 내면세계와 사회, 타인 등 외부적 영역을 구분하고자 어두운 영역은 외부의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감 정의 무의식적인 면과 즉흥적인 성향을 표현하였고 미세한 감정변화의 차이와 감정의 인식단계를 움직임으로 나타냈다. 작품의 2장에서는 외부로 표출된 감정과 내면세계의 감정의 불일치로 인한 충돌을 나타내고자 상수 앞에 고보조명을 설정하여 내면의 갈등을 표현하였다. 갈등으로 인한 내면의 감정은 인간의 인식단계에서 일어나는 감정변화의 상태 이다. 외부의 환경 및 타인에게는 2차적 감정을 표출하지만 내면에서는 억제하 는 힘이 외부와 반대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장면을 표현하고자 2장에서는 감정의 억제와 기가 불균형으로 흐르는 장면을 움직임으로 표현하였다. 이어 내면의 갈등이 점차 확장되고 주체가 외부보다 내면의 감정에 집중하여 한 층 깊은 내면의 세계를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장면은 무대 하수 뒤에 무거운 분 위기의 파랑색 탑조명을 사용하여 깨달음의 공간으로 설정하였고 내면의 감정 상태를 깃털로 형상화하여 억제된 감정을 나타냈다. 깨달음의 공간에서는 감정 의 상태를 완전히 파악하고 감정의 억제와 표출의 선택을 보여주었다. 3장에서는 감정의 억제와 표출을 절제하며 1차적 감정과 2차적 감정이 서로 융합되어 음양오행의 흐름과 순환이 순조롭게 유지되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순 환을 의미하는 소용돌이 무늬의 조명을 사용하였다. 무용수는 소용돌이 무늬 에서 오브제인 깃털을 손에 착용하여 이동경로와 움직임을 통해 감정상태를 표현하였으며 인간의 칠정은 순환의 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순환은 끊임없이 반 복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작품은 마무리 되었다. 본 연구는 인간의 기본감정인 칠정의 ‘노’를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비(悲)와 희(喜) 그 사이」를 통해 인간의 감정은 합리적인 억제와 표출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음양오행의 순환을 유지시켜 심신건강에 유익한 방향 으로 이끌어 가야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써 스스로 억제된 감정을 해소하는 방법을 터득하여 감정의 주체의식을 배양시켜 사회 안에서 조화를 이루며 긍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음을 전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