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91 Download: 0

교수요목기 ~ 2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국사교육의 변천

Title
교수요목기 ~ 2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국사교육의 변천
Other Titles
The Changes of Middle School Education for Korean History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nd Curriculum Period.
Authors
양윤선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차미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determined middle school education for Korean history from the syllabus period up to the 2nd curriculum period regarding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Since the emancipation, the tasks of Korean society have been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democracy and the national state at the same time getting rid of the remains of Japanese colonialism. Therefore, in education, it has been demanded to escape from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and establish our national identity by restoring and stressing Korean history education. Korean history education, however, developed to a different direction from our expecta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Social Studies’ in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emancipation, to prevent the spread of communist ideology, the US Military Government had distributing the US-style democracy into Korea as its priority and introduced the ‘Social Studies’ with a goal of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Yet, it was not easy to induce the ‘Social Studies’ and even in the Textbook Compilation Bureau, there was some opposition from editorial officers of history and geography. In the end, however, the ‘Social Studies’ came to be introduced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s strong will as well as support form theorists of new education. Although no outline of the curriculum was prepared in the period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institutionalized and announced a syllabus for each subject, and the syllabus for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as issued in 1948. Compared to other subjects’ syllabuses, the one for the ‘Social Studies’ was made relative more systematically. Although ‘Social Studies' was a subject integrating geography, history, and gongmin, the syllabus for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as prepared separately for different areas. In other words, within the frame of the ‘Social Studies’, the history part in the syllabus was restricted, and although the area of problem solving was stressed as it was pursued, the subject was operated as an individual subject while maintaining each area’s independent goals. Accordingly, the goal of Korean history education to pursue independence through the emphasis of our nation’s spirit of independence was presented as well. However, the Korean history part in the syllabus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was organized as the system of general history centering around political history according to the period division based on dynasties. Also, the area of problem solving stressed in the history part was not enough to attain the original goals, either. Korean history textbooks grounded on the middle school syllabus followed the principle of authorization. While most of the textbooks did not observe the unit organization of the syllabus, the ancient history part reflected the effort to get over the heteronomy theory of colonial history; however, the Chosun history part still had the remains of colonial history. It was because the results of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failed to support it then. Also, as anticommunism was stressed, they tried to conceal socialistic activities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our national movement for emancipation, which led to criticism on the Soviet Union and the Left. Meanwhile, they included the survey for problem solving which was stressed in the syllabus, but most of it in the textbooks was just perfunctory. After the Korean government was established, the 1st curriculum was prepared by it. The government did recognize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the curriculum, but ‘the curriculum renovation movement’ developed by schools then did trigger it even more. ‘The curriculum renovation movement’ developed in the influence of the progressive view of education, and particularly, ‘the core curriculum’ centering around the ‘Social Studies’ was emphasized. In the meantime, the decree on standards for time allocation in different schools was issued in 1954, and the outline of the curriculum and also the curricula for different subjects were released in 1955. In planning the decree on standards for time allocation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ey adhered to the ‘core curriculum’ centering around the ‘Social Studies’. At the end of the controversies around it, however, the ‘Social Studies’ was decided not as the ‘core curriculum’ but as ‘general social studies’ integrated mainly around problem solving. It seems that the decree on standards for time allocation in the curriculum was changed because of the opposition of editorial officer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the US delegation of education. The 1st curriculum, too, was influenced by the US delegation of education. The US delegation of education influencing the 1st curriculum mostly consisted of progressives, but they thought revising the curriculum should be realized gradually and it was absurd to apply ‘the core curriculum’ to Korea then. In the draft plan for the 1st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y adopted ‘general social studies’ according to the decision made for the decree on standards for time allocation in the curriculum. But in the process of deliberation, scholars of history and geography resisted on that, and it was revised to a branched form after all.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revised to a branched form then maybe because scholars of geography and history were opposed to it and also the US delegation of education was influential in it. They thought the ‘Social Studies’ subject should maintain its characteristics as a general subject but did not think the degree of integration mattered. While they pursued the life-oriented curriculum for the 1st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y stressed the area of problem solving as in the syllabus period. About the history part, they adopted the binary system with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Also, within the binary system, they increased the importance of Korean history to world history according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 In the Korean history part as well, reflecting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 they stressed the task of national reunification, overcoming of national crisis, or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1st curriculum period, too, Korean history textbooks were compiled as authorized ones. They evaluated that the textbooks were not distinct from each other and like tabloid editions of university materials. It was because Korea’s history textbooks were compiled mostly by historians of positivism. But textbooks compiled by the Research Society of History Education stressed the fact that historical interpretations might differ according to the purpose, which was distant from history of positivism. There was also advancement in the view of society or party strife. Meanwhile,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1st curriculum period, too, contain study questions for the area of problem solving. Unlike other textbooks, the ones compiled by the Research Society of History Education had relatively more problems to cultivate historical thinking skills. The 2nd curriculum came out while there was companioning about the 1st curriculum. Also, there was demand for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situation in Korea and also the international situation like the emergence of satellites. Before revising the curriculum, the survey to collect public opinions was carried out twice. Reflecting them, they made the outline of the curriculum pursuing the life-oriented curriculum. But unlike the outline, the 2nd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influenced by the US’ ‘new ‘Social Studies’ grounded on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ccordingly, the name of the subject was changed in middle school.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subject, too, the first graders learned geography, second graders history, and third graders gongmin. The influence of ‘new social studies’ was attributed to the US’ Peabody delegate, Allen. Allen was dispatched for special purpose to reform the ‘Social Studies’ in Korea. In the 2nd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there was integration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in the history part. This was different from the integration of the ‘Social Studies’ pursued in the life-oriented curriculum but intended to examine Korea’s history in the view of world history. Accordingly, in the history part, Korean history was more stressed than world history. But integration between Korean history and world history was merely the arrangement of Korean history to the development of world history, so there were a lot of problems pointed out about it then. Meanwhile, in the Korean history part, tasks of nationalism, anticommunism, and national reunification were emphasized in consideration of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 Also, contemporary history was stressed as well.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Social Studies 2(history) textbooks followed the principle of authorization. What was different from before was that most of the textbooks were written by history majors. Accordingly, the organization of textbooks var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period. While most of the textbooks observed the unit 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some came up with new unit organization that complemented the problem of the curriculum’s unit organization integrating Korean history with world history making it harder to understand Korean history systematically. Meanwhile, the textbooks’ contents were influenced by ‘the unification of contents in Korean history education’ as well. But the textbooks were described still in the influence of colonial history, and reflecting the results of research in the academic circles then, some of the textbooks dealt with the contents about social or economic development in late Chosun. Meanwhile, the area of problem solving stressed in the syllabus period to the 1st curriculum period was less emphasized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with the influence of ‘new social studies’, and it was left in most of the textbooks just perfunctorily. The influence of the US’ ‘new social studies’ reflected on education for ‘Social Studies’ in the 2nd curriculum period and the emphasis on Korean history according to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 were even more solidified in the partial revision of the 2nd curriculum in 1969. This led to the outline of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and division of Korean history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the 3rd curriculum in 1973.;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요목기에서 2차 교육과정기까지 중학교 국사교육에 대해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 등이 어떠한 요소들에 의해 결정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과제는 일제 식민 잔재로부터 벗어나 민주주의 기틀을 다짐과 동시에 민족국가를 수립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교육에 있어서는 국사 교육의 부활과 강조를 통한 식민사관의 극복과 민족의 정체성 확립이 요청되었다. 그러나 국사 교육은 미군정 시기 사회생활과의 도입으로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해방 후 미군정은 공산주의 이데올로기의 확산을 막고자 한국에 미국식 민주주의를 보급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하였고, 민주시민 양성을 목표로 한 사회생활과를 도입하였다. 그런데 지리, 역사, 공민을 통합한 교과였던 사회생활과의 도입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았으며, 편수국 내부에서도 일부 역사와 지리 분야 편수관들의 반대가 있었다. 그러나 결국 사회생활과는 미군정의 의지와 더불어 새교육론자들의 지지에 힘입어 도입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한 ‘새교육운동’이 전개되었고, 이들 새교육론자들은 사회생활과를 지식중심의 전통적 교육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는 교과라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미군정 시기 교육과정 총론에 해당하는 것을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문교부에서는 각 교과목별로 교수요목을 제정 발표하였다. 교수요목은 편수관들이 작성하여 교수요목제정위원회의 심의를 거쳤으며,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은 1948년 12월 발행되었다. 다른 교과목들의 교수요목이 교육 내용의 항목과 시간 배분을 열거한 것에 그친 데 비해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작성되었는데 이는 사회생활과가 미국식 민주주의 이념을 도입하기 위한 핵심교과로 여겨졌기 때문이었다. 사회생활과는 지리, 역사, 공민이 통합된 교과였으나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은 분과적으로 작성되었다. 그러므로 사회생활과의 틀 속에서 교수요목의 역사 부분은 시간 배분과 과목 배치 등에 있어 제약을 받았고 사회생활과에서 추구한 문제해결학습도 강조하였으나, 독자적 목표도 유지하면서 개별과목으로 운영되었다. 이에 따라 역사 부분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던 편수관들에 의해 민족의 자주정신 강조를 통해 자주독립을 추구하는 방향의 국사 교육의 목표도 제시되었다. 그러나 중학교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의 국사 부분은 왕조사 중심의 시대구분을 중심으로 한 정치사 중심의 통사체제로 구성되었다. 또한 역사 부분에서 강조된 문제해결학습 역시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역부족이었다. 중학교 교수요목에 의거한 국사 교과서는 검정이 원칙이었다.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교수요목의 단원 구성을 따르지 않은 가운데, 고대사 부분에서는 식민사학의 타율성 이론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반영되기도 하였으나 조선시대사 부분에서는 식민사학의 잔재가 남았다. 당시 학계의 연구 성과가 뒷받침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반공주의가 강조되어 민족해방운동사 서술에 있어서 사회주의 계열의 활동을 은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련과 좌익에 대한 비판으로도 이어졌다. 한편 교수요목에서 강조된 문제해결학습을 위한 설문도 제시되었으나 대부분이 교과서들에 있어 형식에 불과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한국 정부에 의한 교육과정이 제정(1차 교육과정)되었다. 당시 정부는 교육과정 제정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일선학교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교육과정 개조운동’은 이를 더욱 서두르게 하였다. ‘교육과정 개조운동’은 진보주의 교육관의 영향을 받으며 전개되었으며, 특히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 ‘코어 커리큘럼’을 중시하였다. 1954년 각급학교 시간배당 기준령이 공포되었고, 1955년에는 교육과정 총론을 비롯한 각과 교육과정이 공포되었다. 중학교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령 시안에서는 사회생활과를 중심으로 한 ‘코어 커리큘럼’을 지향하였다. 그러나 이를 둘러싼 논란 끝에 사회생활과는 ‘코어 커리큘럼’이 아니라 문제를 중심으로 통합된 ‘일반 사회과’로 결정되었다. 이처럼 교육과정 시간배당 기준령 시안이 변화한 것에는 편수관들의 반대와 더불어 미국 교육사절단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 수립 이후 한국 교육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은 미군정 시기와는 비교할 수는 없으나 미국교육사절단의 파견을 통해 상당기간 지속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1차 교육과정 역시 미국교육사절단의 영향을 받았다. 미국 교육사절단은 대부분 진보주의자들로 구성되었으나, 교육과정의 개선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한국에서 ‘코어 커리큘럼’을 적용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하였다. 1차 사회생활과 교육과정의 시안은 교육과정시간배당 기준령 작성 당시의 결정에 따라 ‘일반 사회과’의 형태로 작성되었다. 그러나 심의 과정에서 역사학자들과 지리학자들의 반대가 있었고 결국 분과 형태로 수정되었다. 이때 사회생활과 교육과정이 분과 형태로 수정된 데에는 지리 및 역사 분야 학자들의 반대와 더불어 역시 미국 교육사절단의 견해도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사회생활과라는 교과가 가지는 종합 교과의 성격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지만, 통합의 정도는 중요한 것이 아니므로 역사 지리 공민 등을 분과 형태로 가르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1차 사회생활과 교육과정은 생활중심 교육과정을 지향하는 가운데 교수요목기에 이어 문제해결학습을 강조하였고, 역사 부분은 서양사, 동양사, 국사의 3분 체제를 이루었던 교수요목기와 달리 국사와 세계사의 양분 체제로 바뀌었다. 또한 양분 체제 속에서 국가․사회적 요구에 입각하여 세계사에 대한 국사의 비중이 증가하였고, <우리나라 역사>에도 국가․사회적 요구가 반영되어 통일 과업과 국난극복과 민족의식 등이 강조되었다. 또한 사화와 당쟁을 다루는 중단원이 생략되는 변화도 나타났다. 1차 교육과정기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 역시 검정 교과서로 편찬되었는데, 교과서별 특색을 찾아볼 수 없으며 대학교재의 축소판 같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시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들이 주로 실증주의 사학자들에 의해 편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사교육연구회에서 편찬한 교과서는 목적에 따라 역사적 해석이 다를 수 있음을 강조하는 등 실증사학과는 다소 거리를 두었고, 사회와 당쟁을 보는 시각에 있어서도 진전이 나타났다. 한편 1차 교육과정기 우리나라 역사 교과서 역시 문제해결학습을 위한 연구문제를 실었고, 역사교육연구회 교과서는 다른 교과서들과 달리 비교적 역사적 사고 기능을 키울 수 있는 문제들을 포함하였다. 2차 교육과정은 1차 교육과정에 대한 불만이 제기된 가운데 한국 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는 요구와, 인공위성의 출현 등 국제정세의 영향 속에서 개정되었다. 교육과정 개정에 앞서 두 차례에 걸쳐 여론조사도 행해졌는데, 이를 반영하여 교육과정의 총론은 생활중심 교육과정을 추구하였으며, 대한민국 국민 양성을 목표로 내세우는 한편 반공 또한 강조하였다. 그러나 총론과는 다르게 2차 사회과 교육과정은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입각한 미국 ‘신(新) 사회과’의 영향을 받았다. 이에 따라 중학교에서 교과의 명칭이 사회과로 변경되었으며, 과목 편제에 있어서도 1학년에서는 지리, 2학년에서는 역사, 3학년에서는 공민을 배우게 되었다. 이러한 ‘신(新) 사회과’의 영향은 미국 피바디 사절단원 알렌을 통해서였다. 알렌은 한국 사회과의 개혁을 위한 특별한 목적으로 파견되었는데, 당시 현직 피바디 사범대학의 사회과 교수였으므로 ‘신(新) 사회과’로의 변화가 진행 중이던 미국의 경향을 잘 알고 있었다. 한국 사회과에 대한 알렌의 영향은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의 창립을 가져왔으며, 2차 사회과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주었다. 2차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사회2(역사)>에서는 국사와 세계사가 통합되었는데, 이는 생활중심 교육과정에서 추구했던 사회과 통합과는 성격이 다른 것으로, 한국의 역사를 세계사적 입지에서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사회2(역사)> 부분에서는 국사가 강조되었다. 그러나 세계사의 전개에 따라 한국사를 끼워 맞춘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시에도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편 국사 부분에서는 국가․사회적 요구를 수용하여 민족과 반공, 통일과업 등이 강조되었다. 또한 현대사도 강조되었다. 2차 교육과정기에도 사회2(역사) 교과서는 국정을 원칙으로 하였다. 이전과 달라진 점은 대부분의 교과서가 다수의 역사 전공자들에 의해 집필되었고, 주로 학계의 이름 있는 저자들이 집필하였던 이전 시기와는 달리 신진학자들이 주로 집필하는 가운데 교사와 장학사들이 참여하는 경우도 있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교과서의 편제 또한 이전 시기에 비해 다양해졌다. 대부분의 사회2(역사) 교과서들이 교육과정의 단원 구성을 준수하였는데, 일부 교과서는 한국사의 체계적 이해를 어렵게 한 교육과정의 단점을 보완한 단원 구성을 선보이기도 했다. 한편 교과서의 내용은 ‘국사 교육 내용의 통일’로 부터도 영향을 받았다. 그런데 교과서 서술은 여전히 식민사학에서 벗어나지 못하였고, 일부 교과서에는 당시 학계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조선 후기 사회 경제적 발전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교과서 내용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토대가 되는지를 잘 보여준 것이다. 한편 교수요목기~1차 교육과정기에 강조된 문제해결학습은 ‘신(신) 사회과’의 영향으로 2차 교육과정에서는 그다지 강조되지 않은 가운데 대부분의 교과서들에서 형식에 불과한 것으로 남게 되었다. 2차 교육과정 시기 사회과 교육에 반영된 미국 ‘신(신) 사회과’의 영향과 국가․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국사 의 강조는 1969년의 2차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 더욱 강화되었고, 1973년 3차 교육과정에서는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입각한 총론과 국사의 교과 독립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