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0 Download: 0

Mobile APP Design for Expatriates

Title
Mobile APP Design for Expatriates
Authors
FARNAST VALENCIA, LYUBITZA SLAVA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호
Abstract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Korea Times of March 2016, 1.94 million foreigners are living in Korea. For them, the simplest problem can represent a great challenge. That is why one of the methods most used by foreigners are social networks, within which Facebook ranks first in preferences, since with the creation of groups they get to know other foreign residents in the country who have gone through similar circumstances and are willing to help each other sharing useful information. Nevertheless, Facebook is not a platform designed specifically to meet the needs of expatriates. The reason being that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categorization and organization of information due to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 contents. Users spend an average of 30 minutes browsing among the posts to find the information needed. This problem, accompanied by the lack of advanced search features makes the process of finding content difficult. For this reason this research focused on developing a mobile App with a UI (User Interface) where the content organization and search features are designed to meet the specific necessities of expatriates without losing the sense of community. To have a more accurate result, this study focused only on women taking as a case of study the Facebook group "Expat Women in Korea" since it showed to have the highest quality and variety of content among the different online groups of expatriates living in the country. The research used a mixed method with a convergent parallel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research (online survey) and qualitative (focus group activities) which allowed to triangulate information from both sources provid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needs of the system and users. The collected information corresponds to 200 participants (foreigner western women) ranging from 20 to 60 years old for the online survey and 10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previous 200 people ranging from 25 to 45 years old, all of them residing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with the content organization by categories and advanced search functions the user will be able to find the needed information quickly and efficiently. In addition, through the inclusion of sharing characteristics to other social networks as well as the incorporation of gratification elements (membership by level of participation, following and followers section, and rating of content quality) the fidelity of the users with the application will be achieved. As result, this research expect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foreigners women resident in Korea by providing the tools that allow them to find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solve the different situation that they have to face in their process of adaptation to their new place of residence.;2016년 3월 Korea Times의 통계에 의하면, 194만명의 외국인이 현재 한국에 살고 있다. 그들에게, 굉장히 간단한 문제도 큰 걱정거리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외국인들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Social Media이며 Facebook(이하FB)은 그 중 다른 외국인 현지 체류자 중 비슷한 상황의 경험, 유용한 정보를 공유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는 사람들이 서로 알 수 있는 그룹을 만드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B는 다른 외국인거주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는 형태의 플랫폼의 형태를 띠고 있지는 않다. 그 이유는 카테고리 세분화와 컨텐츠의 시간경과 수준 정보의 구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은 평균 30분 정도 원하는 정보를 포스트 속에서 찾고자 시간을 사용했다. 이러한 상세검색 기능의 결여에서부터 동반된 문제는 컨텐츠를 찾기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러한 이유로 이 연구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UI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 UI는 컨텐츠 정렬과 검색기능을 통해 외국인 거주자들에게 정확한 필요 정보를 제공하도록 디자인 되었으며 그룹의 기본적 속성인 공동체로서의 커뮤니티 속성또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이 연구는 외국인 거주자들 그룹 중 컨텐츠가 다양하고 상대적으로 그룹 퀄리티를 보여준 FB 그룹 “한국내 외국인 여성 거주자”의 여성들의 케이스를 다루었다. 이 연구는 두가지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이루어졌다. Convergent parallel approach, 접근하여, 정량적 접근법(온라인 서베이)과 정성적 접근법(그룹 활동 연구)을 통하여 양쪽의 정보를 동시에 활용하여 시스템과 사용자의 니즈를 더욱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체계를 구축하였다. 수집된 정보는 20~60대의 200여명의 참여자 (서양 외국 여성)가 온라인으로 응답하였으며, 200명의 표본 중 10명의 한국 거주 여성(25세~45세)이 선정되었다. 이 카테고리와 상세검색 기능에 기반한 컨텐츠 구성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다른 소셜 미디어에 공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요소를 통해(회원 참여수준 등급, 팔로우 관계, 컨텐츠 퀄리티의 평가)등으로 어플리케이션의 충실한 유저 확보 또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새로운 장소로 이주하고 적응하는 과정에서 마주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필요한 정보를 찾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국내 외국인 여성 거주자들에게 삶의 후생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콘텐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