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팀 비서의 감성지능(EQ)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팀 비서의 감성지능(EQ)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eam Assistants' Emotional Quotien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Authors
강혜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경
Abstract
많은 기업들이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맞춰 조직개편의 기본 방향을 슬림화를 통한 효율적인 조직체계를 갖추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대 기업은 전통적인 직급을 중시한 계층 구조에서 벗어난 효과적인 팀제 경영방법이 필수적이다(장영임, 2009). 팀이 잘 운용되기 위해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며, 정서적 소통능력이 필요한 감성경영의 실천이 현장에서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강인애, 방노영, 박정영, 2011; 강성연, 정재욱, 2011; 조경식, 이양수, 2008). 팀 비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팀 성과와 팀워크 구축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적 능력 외에 감성지능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잘 파악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여 변화하는 환경에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능력인 감성지능은 조직 구성원들과 상호작용 하며 계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팀 비서의 역할에 아주 중요한 전제조건이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사와 구성원들 사이에서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담당하는 팀 비서의 감성지능이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련된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 항목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는 비서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회수한 설문 응답지 187부 중 팀 비서로 응답한 103부를 추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요소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요소 중 관계관리 능력이 팀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인식 능력이나 자기관리 능력, 사회적인식 능력은 팀 커뮤니케이션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집단응집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지능은 카리스마를 가진 리더를 움직이는 원동력으로서, 새로운 비전을 창조하고 구성원들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부여한다. 하지만 상사와 팀원들 사이의 중간관리자 역할을 맡고 있는 팀 비서는 상사보다는 팀원들의 동료의 역할이 강하기 때문에 팀원들에게 카리스마가 담긴 비판과 조언을 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팀 비서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의 응집력을 이끌어낼 수 없으나 상사의 감성지능은 팀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팀 비서의 감성지능의 역할을 규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집단응집력 같은 비가시적인 성과에 있어서의 비서의 영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 감성지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 모색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Recently, many companies are focusing on maintaining an efficient organizational system meeting the environmental changes through slim structure. In this situation, effective team system management escaping from the hierarchy structure emphasizing traditional positions is essential (Jang Yeong-im, 2009). In order for a team to function well, communication between seniors and members is very important, and practice of emotional management needing emotional communication ability is being strongly required at sites (Gang In-ae, Bang No-yeong, and Park Jeong-yeong, 2011; Gang Seon-yeon and Jeong Jae-uk, 2011; Jo Kyeong-sik and Lee Yang-su, 2008). As a team assistant who plays not only a role as an efficient channel between seniors and members but greatly influences team performance and establishment of teamwork, he or she needs to be equipped with emotional quotient as well as intellectual capacity. Although emotional quotient, which is an ability to grasp emotions of self and others, think reasonably, and cope with environments, is considered to be a precondition of a team assistant that constantly interacts and communicates with others, there have been few related stud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play a role as a middle manager between seniors and member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as below: First,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whether the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ohesiveness?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 questionnaire was made by selecting analysis items through related preceding research. One hundred eighty seven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ecretaries working at domestic companies, and 103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team secretar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pecifically looking at the effects of the four sub-factors of emotional quotien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while relationship management ability had an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lf-awareness ability, self-management ability, and social recognition ability had no effect on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Second,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group cohesiveness. Emotional quotient, as the driving force to move charismatic leaders, gives an ability to create new visions and efficiently communicate with members. However, as a team assistant plays a greater role as a colleague than as a senior, he or she would not be able to charismatically criticize or advise team members. Thus, while a team assistant would not be able to induce cohesiveness from team members, emotional quotient of a senior would influence team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pecify the role of emotional quotient of a team assistant. It will provide the ground to grasp the influence of assistants in the areas of invisible performance such as team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group cohesiveness, and be used as the baseline data for seeking measures to induce emotional quotient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