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손미이-
dc.creator손미이-
dc.date.accessioned2017-08-27T11:08:48Z-
dc.date.available2017-08-27T11:08:48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5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59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3593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to provide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appropriateness and discussing a direction for improv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pecific problem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scope of contents for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2. What are the inter-age sequence and intra-age sequence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The data for this study was obtained from contents related to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From the art experience section in the age-based Nuri Curriculum, nine items in 'explore musical elements' and 'express through music' were analyzed. And, from the teachers' guidebooks, activities that were classified into 'music activity' and 'music and movement activity' as well as those that are not classified into the two categories but were related to music were added, which, in total, amounted to 230 activities. To analyzed the content scope of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music education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were divided into 'musical elements' and 'musical activities' with the former including 'sound, tone,' 'beat, meter, rhythm,' 'tempo, dynamics', 'pitch, melody, harmony' and the latter 'listening,' 'performing (singing, instrument, movement),' and 'creating' as items in the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intra-age and inter-age sequences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were based on 'listening activity', 'singing activity', 'movement activity', 'creating activity', and 'music'. And the 'sequence of concepts' and 'sequence of experiences' of each activity were selected. The result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s was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wa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in terms of musical elements and musical activities. However, that in the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was more concentrated on musical activities than on musical elements, and, in particular, activities related to 'pitch, melody, harmony' were highly limited. Second, the sequence of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did not suggest specific sequence of each musical activity and secure intra-age and inter-age sequences in terms of the sequence of concepts and that of experiences. The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also, largely did not suggest specific sequence of listening, singing, movement, and creating activities. And, even if the sequences were suggested, it did not secure intra-age and inter-age sequences in terms of the sequence of concepts and that of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re was a wide deviation in inclusion of sequence according to the author of a daily life-based theme, which suggests the need for a unified standard based on which to develop musical activities according to daily life themes. Also, the sequence of musics generally took into account age-appropriate level, but did not fully ensure sequences. Also, the analysis showed that contents of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did not provide sufficient,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listening, singing, movement, and creating activities. Listening activities mostly were for simply listening to a song before singing rather than focusing on listening to and appreciating the music so that students can identify musical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Singing activities mostly included 'beat, meter, rhythm' but were not qualitatively rich, and 'pitch, melody, harmony' were rarely included. In addition, there was no activity that mentioned the coordination between breathing and movement,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in singing. As for movement, although it is advisable to provide experiences related to flow and weight first before moving on to experiences related to space and time, regardless of age, most activities were related to time. As for 'creating,' most activities were related to movement and playing instruments, and creating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elements such as pitch and rhythm were limited. In addition, among activity sequences related to creating, simple experiences such as 'imagination' and 'planning and making' were included often, while more complex activities such as 'evaluating and refining' and 'presenting' were rarely found.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hat, for contents of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to provide information that are practically helpful for music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hildren, intra-age and inter-age sequences must be secured, and detailed information related to listening, singing, movement, and creating activities must be provided for the teachers. To do so,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and contents related to music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ensure agreement on the scope and sequences between the authors or experts who can make necessary adjustments in the contents. This study proposed the criteria of the scope and sequence in which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related to early-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reviewed research and articles related to sequences of concepts and experiences for musical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children. Also, it proposed a new direction for revising the relevant curriculum by analyzing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s of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 범위와 계열을 분석하여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의 적절성을 파악하고,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함의를 이끌어 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는 어떠한가? 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의 연령간, 연령내 계열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자료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제시하는 음악교육 내용이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 중 음악과 관련되는 내용으로,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 '음악으로 표현하기' 의 9개 항목을 분석하였고, 교사용 지도서 중 활동 유형(영역)이 '음악', '음률'로 분류되어 있는 활동과 함께 '음악', '음률'로 분류되지 않은 활동 중 음악과 관련되는 내용을 포함한 활동을 추가하여 총 230개 활동을 분석하였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 범위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을 '음악적 요소'와 '음악 활동'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음악적 요소'에 '소리, 음색', '박, 박자, 리듬', '빠르기, 셈여림', '음높이, 멜로디, 화성'을 포함하고, '음악 활동'에 '듣기', '표현(노래, 악기, 움직임)', '창작'을 포함한 분석 항목을 선정하였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의 연령내, 연령간 계열을 분석하기 위해서 '듣기 활동', '노래 부르기 활동', '움직임 활동', '창작 활동', '악보'를 기준으로 삼고, 각 음악 활동의 '개념의 계열'과 '경험의 계열'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음악교육 내용이 포함하는 범위는 '음악적 요소'와 '음악 활동' 측면에서 비교적 고르게 분포된 편이었으나,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포함하는 범위는 '음악적 요소'보다는 '음악 활동'에 많이 치우쳐 있었고, 음악적 요소 중에서도 '음높이, 멜로디, 화성'에 대해 다룬 활동은 매우 부족하였다. 둘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의 계열에 대한 연구 결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경우, 각 음악 활동별 계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며 개념의 계열과 경험의 계열 측면에서 연령간, 연령내 계열이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 계열의 경우도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마찬가지로, 듣기, 노래, 움직임, 창작 활동에 대한 구체적 계열이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적지 않았고 계열이 제시된 경우에도 개념의 계열과 경험의 계열 측면에서 연령간, 연령내 계열이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생활주제의 집필 주체에 따라 계열의 포함 여부는 편차가 큰 것으로 드러나 통일된 기준을 갖고 생활주제별 음악 활동을 집필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악보의 계열은 전반적으로 연령에 따른 난이도를 고려한 편으로 볼 수 있으나, 계열성이 충분히 보장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분석 과정을 통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은 듣기, 노래, 움직임, 창작 활동에 대한 구체적 정보가 미흡하게 제시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듣기 활동은, 음악 감상에 집중한 경우보다는 노래를 부르기 전 단순히 들어보는 경우가 많아 음악적 요소와 표현특성을 파악하면서 음악을 들어보는 기회가 매우 적었다. 노래 부르기 활동은, '박, 박자, 리듬'과 함께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지만 질적으로 풍부하지 않았고 '음높이, 멜로디, 화성'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다. 아울러, 노래를 부르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인 호흡과 움직임의 조화를 언급한 활동은 발견되지 않았다. 움직임은, 흐름과 무게에 대한 경험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고, 공간 및 시간에 대한 경험이 추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령과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시간에 대한 경험을 많이 포함하였다. '창작'은 움직임이나 악기연주에 있어서의 창작이 주로 이루어지고, 음높이나 리듬과 같은 음악적 요소에 대한 창작은 부족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창작의 활동 계열 중 '탐구'와 '생성' 같은 단순한 경험은 빈번하게 다루어지고 있었으나 '개선'과 '최종' 같은 다소 복합적인 경험은 거의 포함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이 유아의 음악적 발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연령간, 연령내 계열성을 확보하여야 한다는 점과, 교사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듣기, 노래 부르기, 움직임, 창작 활동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충실하게 제공하여야 한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의 개정 시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집필진 간 합의 과정이 확보되거나, 혹은 이러한 사항을 조율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기 음악교육의 내용을 선정, 조직함에 있어서 범위와 계열을 기준으로 삼고자 시도하였고, 유아기 음악 활동의 개념과 경험의 계열에 대한 연구 및 발표를 종합․정리하였다. 또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와 계열을 분석함으로써 이후 개정 시 개선의 방향을 함의한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7 C. 용어 정리 8 Ⅱ. 이론적 배경 11 A. 유아기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11 B. 유아기 음악교육을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17 C.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와 계열 20 Ⅲ. 연구방법 41 A. 연구자료 41 B. 연구방법 44 C. 연구절차 62 Ⅳ. 연구결과 65 A.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 범위 65 B.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 내용 계열 79 Ⅴ. 논의 및 결론 113 A. 논의 113 B. 결론 137 참고문헌 142 ABSTRACT 1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2254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와 계열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age-based Nuri Curriculum and teachers' guidebooks for 3, 4, 5 year-old children-
dc.format.pagevii, 152 p.-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contributor.examiner이승연-
dc.contributor.examiner최은식-
dc.contributor.examiner장은주-
dc.contributor.examiner김희진-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