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재삼-
dc.contributor.author유윤미-
dc.creator유윤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84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52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847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in base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tention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class. This study selected the chapters ‘2. The Change of Society and our Lives’and ‘3. Community Development’from among the grade 4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made teaching plan includ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strategies over 12 sessions during 6 weeks. According to this purpose, this study questions as follows : 1. About academic achievemen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treated with brain based learning and the group treated with existing procedures based instructions? 2. About retention,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treated with brain based learning and the group treated with existing procedures based instructions? 3. About interest,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which treated with brain based learning and the group treated with existing procedures based instru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90 students in four classes at the I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uwon-si, Gyeonggi-do).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66 students in two classes and a comparing group of 64 students in two other classes. Prior to the experimental treatment, pretests such as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interest test consisting of 15 items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e each of pre-tes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e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ng group at significance level of .05. Thus, these two groups to be considered identical. And then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brain based learning, while comparing group was treated with existing procedures based instructions for 12 sessions.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brain 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chool exam scores used as the post test. The interest test same as the pre test was administered at the time the treatment was over. After 3 weeks, a test consisting of questions similar to the school exam was administered for the effectiveness the reten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t test of the independent sampl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4. In the post tes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than comparing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ignificance level of .05. It indicate the lessons applied the principles of brain based learning is effective on academic achievement. 5. In the retention tes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higher than comparing group.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ignificance level of .05. It indicate the lessons applied the principles of brain based learning is effective on retention. 6. In the interest test,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higher than comparing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ignificance level of .05. Therefor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lasses applying the brain based learning have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tention,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increase in interest. In other words, brain based learning could be one of the effective method and strateg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retention.;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뇌의 구조 및 작동 원리와 관련된 많은 비밀들이 밝혀지면서 뇌과학과 교육의 연계에 관심을 가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뇌가 학습하는 방법을 바탕으로 한 교수 학습 방법 및 환경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인간의 모든 학습은 뇌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뇌가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뇌기반 학습이 등장하였고, 이는 최근 21세기에 적합한 인재 양성과 학습 역량을 높이는데 적합한 것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권택환, 2014). 이러한 맥락에서 뇌기반 학습 모형 개발 및 학교 현장 적용과 그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뇌기반 학습 원리에 대해 탐색하고 수업에 적용해 사회과 수업 계획안을 마련하고, 그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는 사회과에 대한 어려움과 낮은 흥미도를 보이는데, 한국교육개발원(2002, 재인용 김성일, 윤미선, 소연희, 2008)이 실시한 교과목간 흥미도 조사에서도 마찬가지로 사회과목에 낮은 흥미도를 나타냈다. 정문성(1996)은 초등학생들의 사회과에 대한 선호도는 다른 교과에 비해 낮은 편이고, 사회과를 어렵고 중요하지 않은 교과로 판단하며, 이는 사회과 수업 형태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 뇌기반 학습 원리는 학습자의 정서를 중시하고, 뇌가 학습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앞으로의 교육 현장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된다고 가정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기반 학습 원리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초등학교 4학년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사회과 학업성취도, 파지, 수업 흥미의 변화를 알아보는데 있다.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2단원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과 ‘3단원 지역 사회의 발전’두 단원 중 일부 차시를 선정, 12차시에 걸쳐 뇌기반 학습 원리에 따른 교수 학습 방법과 전략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첫째,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사회 수업은 지도서 기반 수업과 학업성취도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사회 수업은 지도서 기반 수업과 파지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사회 수업은 지도서 기반 수업과 수업 흥미도에서 차이를 보이는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선정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A초등학교 4학년 학급 중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확보하도록 연구집단 2개 학급, 비교집단 2개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집단 46명, 비교집단 44명 총 9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2015년 10월 5째 주부터 12월 1째 주까지 6주에 걸쳐 총 12차시 분량의 수업에서 연구집단에는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에는 사회과 지도서에 기반한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12차시의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 검사에서는 집단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A초등학교에서 실시된 객관식 문항으로 구성된 지필형 학업성취도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파지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에 시행된 학업성취도와 같은 내용을 문항의 유형을 바꾸어 파지 평가지를 구성하여 3주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사회 수업 흥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수업 흥미 검사지와 동일한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후 수업 흥미도를 측정하였다.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사후 검사의 결과 학업성취도에서 연구집단의 평균 점수가 비교집단의 평균점수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학업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지 검사 결과 역시, 연구집단의 점수 평균이 비교집단의 점수 평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 차이는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파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 수업 흥미와 관련하여 사후 검사 결과 연구 집단의 평균이 비교집단의 평균보다 높았으나, 유의수준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교 사회과 학업성취 및 파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학습자가 상호작용, 일화적 에피소드 제공,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 형성과 같은 뇌기반 학습 원리에 기반하여 적용된 교수 학습 방법과 전략의 총체적인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수업 흥미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업 흥미에의 효과를 기대하기에 짧은 처치 기간과 수업 흥미 검사가 자기보고형 검사라는 점에서 학습자의 실제적인 수업 흥미가 나타나지 못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 및 연구 범위, 기간이 등의 확장과 다양한 종속 변인 설정으로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1. 뇌기반 학습 원리 4 2. 지도서 기반 수업 5 3. 학업성취도 5 4. 파지 6 5. 사회 수업 흥미 6 Ⅱ. 이론적 배경 7 A. 뇌기반 학습 원리 7 1. 유연한 뇌의 원리 11 2. 정서적 뇌의 원리 11 3. 생태적 뇌의 원리 12 4. 제한적 자원의 뇌의 원리 13 5. 통합적 뇌의 원리 14 B. 사회과 교수 학습 방법 15 C. 파지 16 D. 수업 흥미 18 E. 관련 선행 연구 19 F. 연구 가설 22 Ⅲ. 연구 방법 24 A. 연구 대상 24 B. 연구 절차 25 C. 연구 도구 28 1. 학업성취도 검사 28 2. 사회 수업 흥미도 검사 28 3. 파지 검사 29 D. 교수 학습 설계 29 1. 지도서 기반 수업 설계 30 2.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업 설계 32 3. 지도서 기반 수업과 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수업의 비교 36 E. 자료 분석 방법 39 Ⅳ. 연구 결과 40 A. 기술 통계 40 B. 학업성취도 차이 40 C. 파지 차이 41 D. 사회 수업 흥미 차이 42 Ⅴ. 결론 및 제언 44 A. 결론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 44 B. 제한점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부록 54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597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뇌기반 학습 원리를 적용한 사회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파지, 수업 흥미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Brain-Based Learn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tention and Interest in Social Studies class-
dc.format.pageviii, 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