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18 Download: 0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Title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perceived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Authors
김세영
Issue Date
2016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강명희
Abstract
In order to adapt to continuously changing circumstances in society, it is valuable to have effective knowledge building skills. Universities are actively incorporating more training into their curriculum in order to adequately equip their students to become problem solvers. One of the methods that educators are utilizing to support students through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hat has garnered attention is project-based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i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is designed to engage students in investigating authentic problems. Team project-based learning is characterized by building representations of real solutions as artifacts to authentic problems in a team-bas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ithin a set time fram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 team dynamics established by students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team members can be critical powers to successful learning. These interactions can be further enhanced by the use of technology. Social Network Service(SNS), which is a representative platform of Web 2.0 technology, is a web-based service that enables users to form social groups and gives access to other users in order to expand their network. SNS has the potential to be utilized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because it enables users to share information as well as collaborate within their network. Since Web 3.0 features such as cloud computing and interoperability have been added, SNS can deliver messages quickly and broadly through a seamless connection and offer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s not limited by time or space. One of the many types of SNS, closed-type SNS, enables users to share information only to their existing connections, thus maintaining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is type of SNS setting has been shown to create a more trusting environment with an increased sense of community that fosters more intimate interactions. Because it allows users to freely exchange information and give real-time feedback in an intimate setting, closed-type SNS is anticipated to serve as a potential platform for team project-based learning. However, despite this potential for closed-type SN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precisely how to use this platform to support team project-based learning. Because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does not in and of itself guarantee successful team project-based learning, further guidance in the educational use of closed-type SNS through empirical research is needed. Henc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shed light on specific designs and strategies by investigating the impact that team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using closed-type SNS had on learning outcomes specifically, on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variables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are critical to successful learning.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their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of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e first variabl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refers to the learner’s capability to successfully perform group tasks. It is known as the variable that impacts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group learning process. Perceived usefulness, which is derived from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by Davis(1989),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a learner believes that using a particular system will enhance his or her learning performance. Most closed-type SNS platforms were not developed for educational purposes, so learners may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m as learning tools. Therefore, perceived usefulnes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affect learning outcomes. Additional factor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at were examined include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Flow is a sensation that people experience when they work with complete focus. Flow has been validated in numerous studies as a critical component of learning. Perceived interaction refers to a learner’s perception of the group members’ interactions of encouraging and facilitating each other’s efforts to accomplish group goals . Prior studies have shown that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mediate not only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outcomes, but also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outcom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pose strategie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for undergraduate students by examining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outcome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included the following: 1. Do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predict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2. Do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mediate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3. Do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mediate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70 undergraduate students were divided into 18 groups and instructed to work on a team project using closed-type SNS for 6 weeks. Naver Band was selected as the closed-type SNS platform for the study. Students’ baseline measure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as measured one week before the project start date. After completion of the project, each team had a final presentation and students filled out surveys regarding perceived usefulness, flow, perceived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chievement scores were measured through evaluations of the final group projects and individual contribution scores, which were submitted by group members.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the procedures as suggested by Preacher and Hayes(2004, 2008) were used for testing simple mediation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ith SPSS Macro. The class year and major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satisfaction showed that perceived interaction, flow, and perceived usefulness were all significant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the exception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hich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satisfaction. Seco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achievement verified that flow an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chievement, but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perceived interaction did not. Third,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of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demonstrated that flow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2)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achievement, and (3)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In addition, flow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achievement. Finally, perceived interaction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satisfaction, and (2)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flow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by predicting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and mediating between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learning outcomes(satisfaction, achie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should be implemented and that instructors should strive to ensure that students are experiencing flow, and are being equipped with the proper tools and strategies in order to do so. Second, it was identified that perceived usefulness not only directly predict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but also indirectly affects satisfaction through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flow.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communicate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to students so that they understand its value. Third, the finding that perceived interaction predicts satisfaction and mediat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perceived usefulness implies that instructors should develop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s' collaborative skills. To facilitate collaborative interaction, instructors have to consider the features of both closed-type SNS and promotive interaction based on positive interdependence from cooperative learning theory. Lastl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was revealed as an important variable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because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learner satisfaction, mediated by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and on achievement, mediated by flow. Therefore, before the start of a project, instructors need to evaluate students’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utilize strategies for improvement. Prior to starting the Naver Band team project, for example, an instructor may encourage collaborative tasks such as posting ideas on the Band, while team members provide feedback. By doing these exercises, students can improve self-efficacy for group work.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and implications, there are various proposal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is study measured achievement based on team performance score and personal contribution score. However, there are other aspects in assessing achievement such as peer evaluation from other groups, and discussions are ongoing about the precise measurement of achievement. Thus, it is necessary in future studies to determine more reliable and objective methods to assess achievement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Secon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achievement as a learning outcome in its entirety, the cognitive and subjective aspects of learning outcomes should be examined. In order to do this, it is important to include students' perceived achievement. Third, in addition to student-student interaction within a group, student-instructor interac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This would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 and offer various strategies to improve interactions. Fourth, studies with a larger sample size are need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an integrated model. Fifth, follow-up studies may examine other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ones analyzed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and up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various relationships and effects on learning outcome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project-based learning with closed-type SNS compared to that of traditional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would be meaningful.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for closed-type SNS to be an effective platform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and validated the predictive power of self-efficacy for group work, perceived usefulness,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on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flow and perceived interaction. This study will hopefully aid i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educational use of closed-type SNS and serve as a cornerstone for future research in this realm.;예측 불가능한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지식의 구축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 대학교육은 적극적 지식 생산자로서 문제를 해결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Scardamalia & Bereiter, 2012). 이에 학습자들이 복잡한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며 지식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지원하는 교수·학습 방법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 하나가 프로젝트 학습으로, 프로젝트 학습은 학습자들이 실제와 유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화된 탐구과정에 참여하여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최종 산출물을 생산해 내는 체계적인 학습 방법이다(Blumenfeld et al., 1991). 주로 팀 단위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들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피드백을 교환하고, 아이디어를 명료화하고 종합하는 과정을 경험한다(김혜경, 2015). 따라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내는 팀 내 역동성은 성공적인 학습을 위한 동력이라 할 수 있다(이종연,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는 지식과 정보의 공유, 소통과 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다(김은영, 김정현, 최예솔, 2011; 임걸, 강민석, 신성욱, 2012; 임병노, 2010). SNS 환경에서 학습자들은 풍부한 학습자원에 손쉽게 접근하고, 이를 동료 학습자들과 즉각적으로 공유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을 뛰어 넘어 자유롭고 탄력적으로 협력한다(강문숙, 홍광표, 2014).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SNS에 남겨진 협력적 지식 구성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 과정을 성찰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폐쇄형 SNS는 개방형 SNS와 달리 지인들과만 커뮤니티를 형성하여 의견과 자료를 공유하기 때문에 정보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특징인데, 이같은 특징의 폐쇄형 SNS를 팀 프로젝트 학습에 활용하면 학습자들은 보다 안전하게 협력 활동을 수행하며,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팀원 간 친밀감과 집단동질성을 높일 수 있다(이정권, 최영, 2015; 임병하, 강동원, 2014). 이처럼 팀 프로젝트 학습 환경으로서 폐쇄형 SNS의 잠재된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습자들의 협력 과정을 폐쇄형 SNS로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와 지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학습성과를 최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교수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도달한 정의적, 인지적 변화를 학습성과로 보고, 정의적 성과 지표인 만족도와 인지적 성과 지표인 성취도를 학습성과 변인으로 상정하였다. 또한, 어떤 학습자 특성과 환경, 학습 과정 변인들이 더 높은 정의적, 인지적 성과를 도출하는지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개인의 참여와 팀으로서의 활동이 모두 중요하다는 것을 기초로 개인과 팀의 속성을 모두 반영하여 학습자 특성, 학습 과정 변인들을 상정하였으며,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에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학습 환경 변인도 상정하여 이들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특성 변인으로 협력적 자기효능감(self-efficacy for group work)을 상정하였다.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 자신이 협력 활동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으로(임규연, 2011), 팀 학습 과정에 참여하는 동기와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Hanham & McCormick, 2008). 따라서, 사회적 맥락에 기반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특성 변인인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정의적, 인지적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환경 변인으로는 특정 매체가 학습에 도움이 되고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사용자의 믿음인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을 상정하였다. 대부분의 폐쇄형 SNS가 교육을 목적으로 개발된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학습자가 이를 학습 환경으로 활용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거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폐쇄형 SNS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에 대한 만족감은 물론 인지적 성과에도 영향을 주는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셋째, 학습 과정 변인으로는 몰입(flow)과 인지된 상호작용(perceived interaction)을 상정하였다. 학습에서의 몰입이란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얼마나 집중하는가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김진아, 2014). 또한, 인지된 상호작용은 팀 내 구성원들이 협력 과정에서 서로의 노력을 촉진하고 격려했는가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으로 정의된다(Wen, 1998).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은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학습 과정에서 반드시 발생되어야 할 요인들로, 본 연구에서는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이 정의적, 인지적 학습성과를 예측할 뿐만 아니라,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들이 인식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폐쇄형 SNS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은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를 예측하는가? 2. 폐쇄형 SNS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3. 폐쇄형 SNS를 활용한 대학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은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성과(만족도, 성취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H 대학교 70명의 학부생들을 4명씩 18개 팀으로 나누어 총 6주간 폐쇄형 SNS인 네이버 밴드를 활용하여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젝트 실시 전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고, 팀별 밴드에서 구성원끼리 상호작용하며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팀 프로젝트 학습 마지막 주차에는 팀별로 최종 산출물을 발표하였으며, 발표가 끝난 후 학습자들은 지각된 유용성, 몰입, 인지된 상호작용과 만족도에 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단순매개분석과 다중매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인들 중 만족도에 있어서는 학년, 성취도에 있어서는 학년과 전공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만족도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학년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한 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된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둘째, 학년과 전공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성취도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몰입과 지각된 유용성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상호작용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았다. 셋째,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분석과 다중매개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몰입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성취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며, 인지된 상호작용은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에서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분석과 다중매개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몰입은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며, 지각된 유용성과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상호작용은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몰입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예측하는 동시에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성과, 지각된 유용성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정의적, 인지적 성과를 모두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들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유의하게 예측할 뿐만 아니라,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을 매개로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몰입을 매개로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폐쇄형 SNS를 활용하면 학습에 어떤 점들이 유용한지에 대해 이전 학기 수강자들이 작성했던 성찰 일지를 공유하는 등과 같이 지각된 유용성을 높이는 교수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인지된 상호작용이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며,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만족도,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으로 규명된 것은 학습자가 협력 과정에서 서로의 노력을 격려하고 촉진하는 것이 정의적 측면의 성과를 높이는 데에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폐쇄형 SNS를 통해 학습자 간 인지적, 사회적, 감성적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구성원 간 노력을 격려하고 신뢰하는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인지된 상호작용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정의적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을 매개로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몰입을 매개로 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힘으로써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이 정의적, 인지적 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팀 프로젝트 학습 실시에 앞서 학습자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점검하고 이를 높일 수 있도록 성공적인 협력 경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성취도를 팀 성취도 점수에 개인의 기여도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하였는데, 추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기여도를 평가하는 다양한 방식과 팀 간 동료평가 방식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성과 변인으로 정의적 성과인 만족도와 인지적 성과인 성취도를 상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인지적 성과에 대해 객관적이 아닌 주관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는 인지된 성취도, 학습자가 다음에도 관련 학습을 계속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학습지속의향과 같은 학습성과 변인들을 추가로 살펴본다면 학습자의 미래 학습 행동을 예측하는 등 다른 측면의 학습성과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 교수자는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갈등을 도와주는 조언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며(조일현, 2010), 선행연구에서는 교수자와의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으로 규명된 바 있으므로(Kuo, Walker, Schroder, & Belland, 2014; Swan, 2002), 폐쇄형 SNS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와 교수자 간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넷째, 본 연구의 표본 수가 크지 않았기 때문에 분석 방법에 있어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충분한 표본크기를 확보하여 변인들을 통합된 모형에서 살피고 구조적 관계를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 맥락이 지닌 개인과 사회적 속성, 환경적 특징을 바탕으로 학습성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들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는 데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폐쇄형 SNS를 활용한 팀 프로젝트 학습성과에 대한 협력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유용성,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의 예측력을 규명하고, 몰입과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성공적인 팀 프로젝트 학습 운영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구체적인 교수설계 전략과 함께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