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지서윤-
dc.creator지서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6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otherOAK-0000001221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9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2213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부터 시행되어 온 자유학기제의 실효성에 초점을 맞추어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을 통해 자유학기제로 인한 사회과 교육의 변화를 탐색하고 Dewey의 경험이론과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을 적용하여 자유학기제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13명의 교사들을 면담하고 수집된 자료들을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반복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질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은 경쟁을 조장하는 획일적인 교육이 아닌 미래지향적 역량 및 진로 의식 함양을 위해 학생 참여 활동을 시도하는 자유학기제의 목적과 취지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학생들은 참여활동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을 체득하고 더불어 살아가는데 필요한 자질을 갖추어가고 있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 체험활동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것에 대해 우려하였고 명확한 지침이 없어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운영과 수업의 실행에 혼란이 야기되었다.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해 교과의 시수를 감축할 필요가 있는데 주로 시수가 많거나 자발적인 의지를 보이는 교사의 교과 시수를 줄여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교사에게 부여한 자율권으로 만족도가 높았지만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으로 재구성하여 진도를 나가는 것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참여중심의 수업을 하기 위한 부족한 시간은 거꾸로 교실 수업으로 진행되었고 융합수업은 비슷한 시기에, 자신의 교과 시간에 공통주제에 맞는 수업을 진행하는 관행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는 교사의 역량이 중요하므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평가는 대체적으로 3단계로 이루어지고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핵심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성취수준에 맞도록 서술로 기록하였으며 상·중·하의 단계는 표시되지 않았다. 학생의 성장 과정을 관찰하여 평가한다는 교육적인 의의가 있지만 특히 여러 반의 수업을 맡아야 하는 사회과 교사들에게는 평가 업무가 가중되어 있었다. 자유학기제는 내실 있는 수업의 실행과 그로 인한 성장을 관찰하는 평가를 통해 공교육 정상화의 취지로 운영되고 있지만 그 취지가 무색하도록 학생들은 사교육을 받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상급학교의 진학을 위한 인지교육이 중시되는 현실에서 인성에 중점을 두는 자유학기제를 시행하면서 오는 과도기적 현상인지, 아니면 고착화되는 현상인지에 대해 논의할 필요가 있다. 사회과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으로 사회현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민주시민의 자질과 태도를 갖추도록 하는 교과로서 다양한 체험으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인성교육을 강화하는 자유학기제와 맥락을 같이 한다. 자유학기제의 효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사회 교과에서 진로 탐색을 통합하고 그 이후의 교육과정에서도 진로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프라가 확충되고 예산이 지속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자유학기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된다면 공급보다 수요가 많아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체험활동 섭외에 난항을 겪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지역별 인프라 구축이 상이한 만큼 지역별로, 학교별로 균형 있는 지원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자유학기제 교육과정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학습량을 감축하는 방향으로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내용을 개정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사회과의 학습량이 감축하지 않는다면 상급학교에서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평가가 이루어지므로 결국은 자유학기제로 인하여 다른 학년의 학습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구조적인 현상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비롯한 일관성 있는 준거의 설정으로 객관성을 갖출 수 있는 평가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자유학기제의 목적과 평가 방안이 부합할 때 자유학기제의 순기능이 발휘될 수 있다. 서열화가 고착화된 입시풍토에서 학생평가를 지속적인 관찰과 서술로 기록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를 실질적으로 거둘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사에 대한 자율권 부여로 시험을 위한 진도 나가는 수업이 아닌 혁신적인 실행의 기회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근무 환경에 대한 지원으로 업무 가중이 아닌 전문성 개발이라는 인식을 갖게 될 때 그 의미는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자유학기제의 체험활동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Dewey의 경험이론과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으로 고찰한 방안 이외에도 경험과 지식이 통합할 수 있는 논의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ffective oper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13.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alistic and practical aspects and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who have been running Free Learning Semester and the transi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n Free Learning Semester through an educational theory in Dewey’experience and Bruner’narrative. The qualitative research is done by the in-depth interviews of 13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pilot schools which have operated Free Learning Semester in middle school, compared and analyzed the obtained data from the teachers’interview repeatedly based on grounded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considers the purpose and intent of Free Learning Semester as being positive, since Free Learning Semester attempts to raise students’future-oriented capability and career consciousness through students’participation activities rather than standardized education that aggravates competition. And students come to learn self-directed study method and prepare necessary skills to live along. Teachers, however, argue that the infrastructure for Free Learning Semester participation activities deficiencies and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Free Learning Semester and in teaching since there is no guide to follow. In order to operate Free Learnig Semester, schools need to curtail lesson time numbers of a subject. So schools operate Free Learn Semester, lessening the lesson time numbers of the teachers who have many lesson time numbers and have the voluntary will to participate in Free Learning Semester. Although the teachers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autonomy granted to them, the teachers also argue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setting their progress in class by restructuring the lesson plans for students’participation activities. The teachers complement the lack of the lesson progress through‘Flipped Learning’and give fusion classes that have the common themes at the approximate time, at their lesson time. In order to practice students’participation activities, we have to enhance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eachers to be able to attract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Evaluation generally consists of three stages and the achievement level is recorded in the form of description to match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national level with no stages of above average, average, and below average. Although there is an educational significance in evaluating students by observing the process of students’growth in students’participation activities classes, evaluation work imposes much burden to social studies teachers who assume the multiple lessons. Free Learning Semester is operated with the intent of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execution of substantial lessons and the evaluation to observe the consequent growth. But in reality, students receive private education contrary to the intent of Free Learning Semester. There is a need to discuss whether private education is a transitional phenomenon while implementing Free Learning Semester or a permanent one in the present society which puts much emphasis on cognitive education. Social studies is a subject to let students recognize social phenomena correctly and let students learn know-how necessary for talents and attitudes as democratic citizens. And social studies is a suitable subject for Free Learning Semester to explore students’career and strengthen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 variety of field works. It is desirable to integrate career exploration and maintain career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o as to produce the substantial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even in the subsequent curriculum. Based on the above discussed analytic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operating effective Free Learning Semester are as follows: First, the infrastructure should be expanded and budget should be supported. The infrastructure should be expanded because the demand for the infrastructure for participation activities becomes larger than the supply for it if Free Learning Semester is implemented nationally. And Balanced budget is needed because the infrastructure is various among different schools and region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in a direction towards reducing the amount of a student’s education. The reason is that curriculum has continuity during the school years. Unless the amount of a student’s education is reduced since upper schools evaluate stude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urriculum, the learning amount of another grade would be weighted. Therefore the review of this structural phenomenon should be done. Third, the consistent evaluation plan should be devised with objective validity and credibility. The reason is that Free Learning Semester functions properly when the purpose and evaluation plan of Free Learning Semester correspond each other. In fixed rank university admissions atmosphere, we need an additional discussion about whether we can gain the substanti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rough the method of evaluating students’growth followed by their participation activities with constant observation and narrative record. Fi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teachers to striv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ree Learning Semester is highly estimated as an innovative education in that it grants teachers autonomy of subjects more and it is not one-way teaching in class. So when the government supports teachers’working environment in order to develop teachers’professional competence and reduce teachers’workload, the effectiveness of Free Learning Semester will be increased. Discussion is expected to be continued about the integration of experience and knowledge in addition to the methods which have been considered until now through an educational theory in Dewey’experience and Bruner’narrative to complement students’experience activities in Free Learning Semeste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1. 교육과정 이론의 해석적 접근 5 1) 구성주의 교육론 6 2) Dewey의 경험 이론 7 3) Bruner의 내러티브 이론: 지식과 경험의 상생 가능성 8 2. 자유학기제 9 1) 자유학기제 추진 배경 9 2)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운영 및 편성 방안 10 3) 교과 통합형 수업 설계 14 4) 자유학기제 평가 16 5) 자유학기제 기대효과 및 한계 17 3. 선행 연구 17 Ⅲ. 연구 방법 20 1. 연구방법론 20 2. 연구 절차 및 연구 참여자 26 3. 면담 사항 30 Ⅳ. 연구 결과 31 1. 긍정과 부정의 인식이 공존하는 자유학기제 31 2. 자유학기제 도입 과정의 양상 36 1) 자유학기제 도입 과정의 혼란 36 2)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설계운영 38 3) 전시행정: 보여주기 48 3. 자유학기제 운영 사례 49 1) 사회과 교육의 수업과 평가 49 2) 자유학기제와 사회과 교육의 연계 68 4. 교사의 요청과 교사의 역할 78 1) 교사가 요청하는 지원 78 2)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할 81 Ⅴ. 결론 및 제언 82 참고문헌 86 부록 89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54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자유학기제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과 사회과 교육의 변화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tion and the Transition in Social Studies Education of Free Learning Semester-
dc.creator.othernameJi, Seo-youn-
dc.format.pagevi, 96 p.-
dc.description.localremark석0576-
dc.contributor.examiner김성훈-
dc.contributor.examiner최민식-
dc.contributor.examiner최윤정-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