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홍세정-
dc.creator홍세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4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49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462-
dc.description.abstract영재교육의 성장과 함께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영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지적인 능력에 초점을 둔 반면 상대적으로 사회·정의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영재들은 지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사회·정서적 발달이 우수하다고 생각하지만 영재의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발달의 불균형과 높은 인지적 요소 간의 비동시적 발달로 인해 여러 가지 부정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완벽주의, 정서적 민감성, 강렬함 등 일반학생과 다른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의 사회·정의적 특성을 고려하여 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재를 대상으로 영재의 내적 특성 중 하나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외적 요인인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영재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 때 주관적 안녕감이 이 두 요인을 어떻게 매개하는지,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조절하는가를 보고자한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는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서울, 경기 소재의 영재학급, 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영재학생 146명과 일반초등학교,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간의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 정신건강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 간 차이 분석(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매개변인에 의한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Sobel 테스트를 통해 확인하였다. 셋째,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상호작용 항을 포함하는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해 평가염려 완벽주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사회적 지지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안녕감은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차이와 상관없이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정신건강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영재학생의 경우에는 주관적 안녕감이 부분 매개를 하는 반면, 일반학생의 경우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은 영재학생의 경우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사이에서 완전 매개하는 반면, 일반학생의 경우에는 매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높은 학생의 경우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전략은 이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오직 영재학생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만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영재학생의 경우 이들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할 때 완벽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정신건강 문제를 유의미하게 감소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효과를 살펴본 결과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학업성취압력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때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영재학생과 일반학생 상관없이 모두 학업성취압력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때 주변의 지지가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재학생이 일반학생과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주관적 안녕감이 영재학생의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사회적 지지를 통해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영재교육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요인임을 확인하였다.;As interests in gifted education grow with the advancement of gifted education, related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research on gifted education usually focuses on cognitive ability, while the research on social and emotional aspects is lacking. Although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students are thought to be excellent because gifted students have high intelligence, the imbalance amo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and asynchronous development between them and high cognitive component in gifted students may cause a variety of negative aspects in development. Thus, the education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with understanding of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perfectionism, emotional sensitivity, and intensity, and considerations for their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is needed. Given the need for such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as one of intern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as an external factor on mental health of gifted students. This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how subjective well-being mediates the effects of the two factors, and how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effects. Moreover,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in relation to the study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on the influences of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and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mental health? Secon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s of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and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mental health? To investigate these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urvey research method. Specifically, 146 gifted students in gifted classes or attending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146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or middle schools in Seoul, and Kyeonggido.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8.0. Specifically, first, between-group difference analysis (t-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well-being,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Seco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and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In add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or was examined with the Sobel test.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cluding interaction items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i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and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gifted students than in non-gifted students. Second, subjective well-being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and mental health in both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as partially mediated by subjective well-being in gifted students, whereas the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in non-gifted students. In addition, subjective well-be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in gifted students, whereas the mediation effect was absent in the relationship in non-gifted students. Thus, it can be predicted that, for the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parents’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the strategies to improve subjective well-being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evaluation-concerned perfectionism on mental health, only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gifted students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This suggests that, for gifted students, social support can significantly reduce mental health problems occurring as a result of perfectionism.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influence of the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in both 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This suggests that support from others reduces the negative effect of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on mental heal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gifted students have characteristics that differ from those of non-gifted students, and suggest that subjective well-being needs to be treated as important as it has a positive influence on mental health in gifted stud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support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as it can reduce the negative influence of 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C. 연구 모형 7 Ⅱ. 이론적 배경 8 A. 영재의 정신건강 8 1. 영재의 개념 및 특징 8 2. 영재성과 정신건강 12 B. 평가염려 완벽주의 14 1. 평가염려 완벽주의의 개념 14 2.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정신건강의 관계 16 C.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18 1. 성취압력의 개념 18 2.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의 관계 21 D. 주관적 안녕감 22 1. 주관적 안녕감의 개념 22 2.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23 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25 E. 사회적 지지 26 1. 사회적 지지의 개념 26 2.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 27 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28 4.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 29 Ⅲ.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측정도구 33 1. 정신건강 척도 33 2.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34 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 척도 35 4. 주관적 안녕감 척도 36 5. 사회적 지지 척도 37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8 Ⅳ. 연구결과 40 A. 주요 변인의 기술 통계 및 내적일치도 40 B. 주요 변인 간의 상관계수 41 C.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주요변인 차이 검증 42 D.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매개효과 검증 43 1.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43 2.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주관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46 E.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조절효과 검증 49 1.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49 2.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53 Ⅴ. 결론 58 A. 요약 및 논의 58 B. 결론과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64 참 고 문 헌 66 부록 (설문지) 77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20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평가염려 완벽주의와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영재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evaluation concerns perfectionism and parents’pressure for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on mental health of gifted students : Comparison between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dc.creator.othernameHong, Se Jeong-
dc.format.pageviii, 88 p.-
dc.contributor.examiner임미연-
dc.contributor.examiner김연희-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재교육협동과정-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재교육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