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철균-
dc.contributor.author김효진-
dc.creator김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75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750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20세기부터 시작된 장르 해체와 새로운 장르를 선언하는 작업들은 21세기에 들어서자 미디어와의 융합작업으로 집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IT 기술의 발달이며, 특히 미디어 기반의 새로운 예술환경 조성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미디어 기반의 공연 작업들은 전통적인 각 장르에서 곁가지로 수용되거나 해석되고 있다. 또한, 예술과 기술의 경계에 선 예술가들의 실천 작업만 난무할 뿐 이론적 토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미디어 기반의 공연 창작을 미디어 운용이라는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라고 정의하고, 새로운 카테고리에서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디어의 운용이라는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를 이해하고, 미디어를 운용하는 예술가에게 미디어 퍼포먼스의 모듈로서의 연출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선 미디어 퍼포먼스의 개념은 실험과 수행성의 관점에서 리차드 쉐크너(Richard Schechner) 가 말하는 ‘퍼포먼스’의 연장선에서 설정하였다. 그러나 미디어 퍼포먼스를 사건 중심의 수행성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닌, 새로운 카테고리를 형성해서 작품으로서 레퍼토리화 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작업인 것으로 정리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레퍼토리가 가능한 미디어 퍼포먼스인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연출방법론은 문학, 연극, 무용, 음악과 같은 전통적인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가 상호소통하고 퍼포머(performer)로서의 미디어가 아날로그 공연자와 함께 공연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은 문헌연구를 통해 미디어 퍼포먼스를 위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미디어 퍼포먼스를 위한 연출 방법론은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미디어 퍼포먼스의 미디어 기능은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에 의거해서 어떤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미디어가 운용되는지에 따라서 배경효과, 재연효과, 퍼포머효과로 구분하였다. 둘째,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유형은 리처드 쉐크너의 퍼포먼스 관계형성유형과 미디어 운용 모델에 의거하여 선형적 중개모델, 각색형 중개모델, 매체연장형 중개모델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미디어 운용의 연출 기술방법은 미디어 맵핑, 멀티채널 운용, 멀티채널 구성, 미디어 연계성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연출 방법론으로 2013년 에든버러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에서 공식 초청받았던 후안 카르롤스 사갈(Juan Carlos Zagal)의 <러브스토리(Histoire d’amour)>, 호세 몽딸보(Jose Montalvo)의 <트로카데로의 돈키호테(Don Quichotte du Trocadéro)>, 김효진(Kim, Hyo Jin)의 <마담 프리덤(Madame Freedom)>의 미디어 퍼포먼스 작품을 분석하였다. 미디어 퍼포먼스는 트렌드를 따라 선택되어진 수행성 중심의 사건이나 매체놀이가 아니다. 미디어 환경에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고 지각방식과 체험방식을 바꿔놓은 새로운 예술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미디어 기반의 새로운 예술형태를 이해하고, 미시적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 모듈의 구조와 연출방법을 논의해 가는데 기초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Works of deconstructing genre that started from 20th Century and declaring a new genre since the 21st century has started to take shape of a media-based fus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phenomenon is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specially the vast expansion of the media environment. Media-based works that occurred all at the same time are being interpreted as the side branch of each traditional genre but has already reached its maximum and saturation point. Currently, only practical works of artists are rampant in the boundary of art and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research the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in order to define the media-based fusion operation into media performance from media operation perspectives and to view the media-based operation in a new catego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media performance from 'media operation' perspectives, and to suggest directing methodologies as a 'module of media performance' to the artists who are conducting and operating media. This study investigated media performance from an extension of performance of which Richard Schechner mentioned from experimental nature and performance perspectives. However, media performance is not a mere event driven performance. It creates new categories and accumulates works with possible repertoires. This study intended to research the directing methodology on works with media performance as the repertoire. Research on the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is making a premise that traditional old media as culture, play, dance, and music is inter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new media and that media is performing as a performer along with analog performers. This study on the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was conducted around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his study suggested the Aristotle theory model for media performanc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rew a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based on this model. Directing methodology is classified into 3 types for media performances based on the theory model of Aristotle. First, this study classified media performance into 3 categories depending on when media was operated preponderantly in which stage, and into background effect, encore effect, and performer effect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directed media. Secondly, this study classified the directing type into a linear brokerage model, drama-type brokerage model, and media extension type model around the type of performance relationship formation of Schechner and media operation models in Aristotle model. Also, the production method of media operation is classified into media mapping, multi-channel operation, multi-channel composition, and media connectivity. Through the directing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d media performance works such as <Love Story((Histoire d'amour)>(2013) by Juan Carlos Zagal, <Don Quichotte du Trocadero>(2013) by Jose Montalvo, and <Madame Freedom>(2013) by Kim, Hyo Jin. Media performance is not a performance centered on an incident or a media game that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trend. It can be considered as a new type of art, which was created naturally in the media environment that changed our lives and changed the mode of perception and the experience. Therefore, research on directing methodology of the current macroscopic media performance is expected to define the newly rising artwork and to provide assistance in media-based artistic pract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방법 6 Ⅱ. 이론적 배경 10 A. 미디어 퍼포먼스의 조성 배경과 개념 10 1. 미디어 퍼포먼스의 조성 배경 10 2. 미디어 퍼포먼스의 개념 14 B.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 21 1. 미디어 퍼포먼스와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 23 2.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에 의한 연출 방법론 38 Ⅲ. 연출 방법론 사례분석 67 A. 선형적 중개모델: 러브 스토리(Histoire d'mour) 67 B. 각색형 중개모델: 트로카데로의 돈키호테(Don Quichotte du Trocadéro) 75 C. 매체 연장형 모델: 마담 프리덤(Madame Freedom) 85 Ⅳ. 결론 94 참고문헌 96 ABSTRACT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006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dc.creator.othernameKim, Hyo Jin-
dc.format.pagevi, 100 p.-
dc.contributor.examiner한혜원-
dc.contributor.examiner여운승-
dc.contributor.examiner류철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