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은미-
dc.contributor.author하혜정-
dc.creator하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27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278-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생겨나게 된 다양한 가치의 강조는 인생의 위기나 고통의 문제 앞에서 궁극적 가치에 대한 물음을 갖게 하며, 삶의 의미를 성찰하게 한다. 이는 일시적이고 우연적인 욕구 또는 자신들의 필요에 충실한 개인적인 태도와 입장에서 벗어나 근본진리를 향한 관점의 필요성을 부각시킨다. 이에 기독교는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의미근원을 두고 인간실존을 이해하며 인생의 문제를 해석하는 신앙적 관점으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을 진리로 받아들여 그 안에서 인간의 존립목적과 가치를 찾는다. 성경에서는 원죄의 사건을 시작으로 인간의 타락한 본성으로 인한 죄와 심리적인 병으로서의 고통을 인간의 문제로 이해한다. 즉 기독교 관점은 철저히 하나님으로부터 인간을 이해하며,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에 삶의 목적을 두고 인간의 실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회복으로서의 길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교 관점을 바탕으로 안무한 무용창작작품『기도』(2010)를 성경과 기독교 관련 서적들을 기반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정리하였으며, 작품에 대한 분석으로는 주제 및 내용, 장면별 구성,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1장에서는 원죄로 인하여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된 인간의 실존을 선과 악, 순수와 불순, 그리고 이타주의와 자기중심주의의 동기들로 뒤얽혀진 상태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암전된 상태의 무대에서 하나님의 음성을 암시하는 효과음을 시작으로 급작스럽게 밝혀진 조명과 그 안에 내던져지는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하나님과 단절된 모습을 표현하고, 비틀리거나 비대칭적인 동작을 사용하여 왜곡되어진 인간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또한 거꾸러지는 동작으로 뒤집혀진 의상을 보이게 하여 인간의 영혼육(靈魂肉)을 상징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는 하나님과의 관계가 단절되어 하나님을 알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는 인간의 상태에 대한 표현이기도 하다. 2장에서는 원죄를 포함한 인간의 범죄와 그로 인한 심리적인 병으로서의 고통을 인간의 문제로 이해하여 표현한 것으로 인간의 고뇌와 고통, 갈망의 감정을 형상화하였다. 이 때의 공간은 시간의 속성을 따라 무대 하수에서부터‘과거’,‘현재’,‘미래’로 설정하였는데, 이러한 공간 설정은 인간의 영혼 안에서 시간이 인식되고 지각되는 내면화 즉 삶 속에서 죽음을 의식하며, 죽음을 향한 존재로서의 인간을 의미하였으며, 무력한 상황에서도 흐르고 있는 시간적 진행을 의미하였다. 무용수의 경로는 확장된 공간 안에서 후퇴와 추적을 번갈아 하여 동선에 변화를 주었고, 움직임은 제자리에서 타격적인 특질을 사용하여 강약의 변화와 높이의 변화를 주었다. 이는 인간의 자기중심적인 태도로 인한 불균형적이고 불안정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어서 팔을 사용하여 십자가를 상징하는 움직임과‘되돌아오는 것’을 의미하는 회개의 용어를 다양한 턴의 동작으로 암시하여 나타내어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에 대한 필요성을 깨닫고 간구하는 모습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2장의 후반부에서는‘과거’로 설정한 공간만을 조명으로 제한하여 과거(원죄)의 상처와 사건을 신앙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의 모습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즉 과거에 대한 고통을 이 땅에서 경험한 잠깐의 시간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영원한 시간을 보는 관점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기도의 모습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인간의 마음이 회복되어지는 과정을 나타내고자 변화되는 인간의 태도를 순차적으로 묘사하였고, 인간의 실존은 죄인임을 고백하는 회개의 모습과 하나님의 은혜에 대한 감사의 모습을 이미지화하였다. 이 고백에는 우리에게 예수그리스도의 대속이 필요함을 인정하는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이는 그리스도 없이 우리 스스로의 힘으로는 하나님 앞에 가까이 갈 수 없으며 죄와 고통의 문제에서 구원받을 수 없다는 것을 전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명을 사용하여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성령을 나타내었고, 안정되고 부드러운 느낌의 멜로디 곡을 사용하여 분위기를 전환하였다. 또한 그에 반응하는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곡선의 동작과 동선을 사용하여 다양한 기도의 모습을 형상화하였다. 3장의 후반부에서 조명은 무대 중앙으로 비춰지고 무용수는 상수에서 조명을 향해 이동하는데, 한손은 가슴에 두고 한손은 위로 들어 올리며 정면을 응시하다가 뒤를 향해 같은 포즈로 걸으며 조명은 페이드아웃 된다. 이는 하나님을 향한 방향성과 변화된 태도를 강조한 것으로 회복에 대한 내용을 전하며 작품을 마무리 하였다. 본 연구자는 무용창작작품『기도』를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과 은혜가 참 인간의 본질이 회복되는 해결책임을 제시하며, 그로 인한 인간의 한계와 부족을 이해하고 위로부터 오는 구원의 체험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는 연구자의 기도이자 신앙고백으로 인간의 존재성과 존재의 목적, 삶의 의미를 하나님 안에서 찾으며 실재적인 회복으로서의 가치를 전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Emphasis on a variety of values created in today’s rapidly changing society questions the ultimate value when we face crisis or affliction in life and leads us to ponder what life means. This takes us out of temporary and incidental desire of personal attitude and stance of being faithful to our need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the view toward fundamental truth. In this context, Christianity is the perspective of faith which understands human existence based on human relationship to God and receives the Bible, His word, as truth through which one discovers the purpose of existence. The Bible tells us that the problem of human is afflictions of sins and psychological illness resulting from the corrupted human nature initiated by the original sin. That is, Christian view seeks to understand man solely from God’s view and aims to place man’s life goal at setting a right relationship with Him, whereby to tackle man’s problems in the real world in a march to the full recovery. Accordingly, this study theoretically analyzed and arranged 『Prayer』(2010), a dance-choreographed work based on the Christian view and its analysis on the work is done in three aspects of subject& content, by-scene composition and dancers’ moving routes & movements. Chapter 1, features the existence of man whose relationship with God is severed by the original sin in a state intermingled with good & evil, purity & impurity and motives of altruism & egoism. On a stage covertly conveying this, rings sound effect implying God’s voice with abruptly lit lightings into which dancers’ movements are hurled, expressing the state where man is severed from God and the twisted state of man is expressed by using asymmetrical motions. Besides, costumes turned inside out are intentionally shown with falling motions to symbolize the spirit, soul and body of man and the use of sharp and weighty sound effect features the atmosphere as in “the land was chaotic and void and darkness is over the deep(Gen. 1:2)”, the state before the world was created. This also expresses the human state who can’t recognize or realize God because he is severed from Him. Chapter 2 expresses human trespasses including original sin and afflictions as ill mental subsequent to it, and embodied agony, affliction and desir. Space at this point is set as ‘the past’ ‘the present’ ‘the future’ pursuant to the attributes of time and space-setting in this manner means man as mortal being aware of death in life, that is, the internalization of realizing and perceiving time in the human soul and also means progression of time that flows even in helpless situations. Dancers’ routes interchange retreat and pursuit in enlarged space and movements use striking features on the same spot to create change in dynamics and height, which features man’s unbalanced and unstable state due to his egoism. Subsequently, using arms to symbolize a cross and employing varied turns implying repentance meaning ‘coming back’ tries to feature man realizing the need for recovering his relationship with Him and praying for it. The later part of Chapter 2 limits lighting only the space set as ‘the past’to show an effort to re-interpret wounds and incidents of the past(original sin). That is, it tries to show prayers to overcome the afflictions of the past not from the perspective of temporally experienced time on this earthly globe but from that of eternal time. Chapter 3 subsequently depicts human attitude changing from wicked heart to soft one under the Holy Spirit’s leading and human existence making repentance from his sins. In such a confession underlies the meaning that we need Jesus Christ’s redemption in a try to convey the fact that we can’t come to God on our own without Jesus Christ’redemptive and saving work and can’t be extricated from sin and pain. In this regard, lighting is used to feature the Holy Spirit leading us into the light, Christ, and dancers’ curved movements and routes responding to the lighting were used to symbolize various types of prayers. Music at this point is calm and soft-melodied to turn the atmosphere. In the later Chapter 3, the mid-part of stage gets linelight and dancers move from its right side toward the linelight, one hand on chest and the other being uplifted, eyes gazing at the front while walking backward in the same posture and then lights fade out. This empathizes man’s changed directionality and attitude toward God and conveys that he is recovered, bringing the work to an end. Through the dance-choreographed work,『Prayer』, the current writer presents Jesus Christ’s love and grace expressed on His cross is the only solution to recovering human essence, understands man’s subsequent limits and shortcomings, and empathizes experiences from above. This is the researcher’s prayer and confession of faith as well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ts assertion that the existence, goal and meaning of man’s life be found in God and in that it conveys the values of actual recovery unto Go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방법 4 Ⅱ. 이론적 배경 6 A. 인간 실존의 이해 6 1. 인간적 측면 6 2. 성서적 측면 14 B. 기도의 이해 21 1. 기도의 의의 21 2. 회복으로서의 기도 29 Ⅲ. 무용창작작품『기도』의 안무의도 34 A. 내용적 측면 34 B. 형식적 측면 37 Ⅳ. 무용창작작품『기도』의 분석 39 A. 주제 및 내용 39 B. 장면별 구성 42 C. 무용수의 이동경로와 움직임 47 Ⅴ. 결론 74 참고문헌 77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023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기독교 관점으로 바라본 무용창작작품『기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wly choreographed work『 Prayer』based on Christian Worldview-
dc.creator.othernameHa, Hye Jeong-
dc.format.pagexi, 82 p.-
dc.contributor.examiner신은경-
dc.contributor.examiner김영희-
dc.contributor.examiner조은미-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무용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