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국어 내포문 교육 내용 연구

Title
국어 내포문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tent of Korean Embedded Sentence Education :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nstruction and awareness aspects of embedded sentences of korean secondary learners
Authors
송소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은성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the content of embedded sentence edu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aspects of embedded sentences of learners with a focus on their thinking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uch sentences. Secondary learners use a lot of embedded sentences in their writings, but not all of them construct correct embedded sentences with few of them recognizing them when they use them. That is, they construct embedded sentences intuitively without fully adjusting and monitoring them in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present study assumed that they should be able to use embedded sentences consciously in their language life by perceiving them as a method of expression. Conscious uses of embedded sentences must follow the ability of constructing correct embedded sentences. The study thus tried to devise educational content to help secondary learners increase their abilities of constructing correct embedded sentences. Chapter II made an approach to the educational values of embedded sentences in the aspect of language and thinking development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mbedded sentences including the linguistic forms of thinking expansion, strategies for economic and logical expressions, and complexes of grammar knowledge. The chapter also analyzed the current curriculums and textbooks, confirming that the current education for embedded sentences was dealt with in sentence education but recorded a very low percentage, being discussed as a method of sentence expansion, with a focus on the syntactic knowledge of embedded sentences in terms of educational content. Chapter III carried out data gathering and experimentation to prepare concrete educational content and analyzed the construction and awareness aspects of embedded sentences among secondary learners. The construction aspects of embedded sentences were analyzed in the structural dimens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embedded sentences and types of their errors according to the number, location, and embrace form of embedded clauses based on the data of learners. The analysis results were then used to design an experiment to examine the awareness aspects of embedded sentences. In an experiment of assessing the abilities of composing embedded sentences, the learners' awareness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embedded sentences were examined to figure out their aspects. Their abilities of constructing embedded sentences were evaluated with tasks of constructing embedded sentences only with short sentences based on the inventories used in the previous language test instruments and judging grammaticality based on the syntactic knowledge of embedded sentenc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condary learners constructed embedded sentences with a focus on the meanings of sentences, made use of grammar knowledge in the revision process of embedded sentences, and lacked in the awareness of relations within embedded sentences, recognition of components of embedded clauses, and meta-cognitive abilities. Chapter IV devised a construction direction for educational content and then educational content itself based on the results about the construction and awareness aspects of embedded sentences among learners in Chapter III in order to propose educational content helpful for their construction of correct embedded sentences. Learners had a shortage of experiences with making active use of their grammar knowledge even though the knowledge was inherent in them. Their shortage was also observed in monitoring i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embedded sentences. The present study thus set “experiences with making conscious use of grammar knowledge” and “meta-monitoring experiences with embedded sentences” as directions for the content construction of embedded sentence education and proposed education on the awareness of functions of embedded sentences, construction of embedded sentences by making use of grammar knowledge, and meta-monitoring attitude for embedded sentences based on the materialization of the direction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d on the learners' abilities of constructing embedded sentences in the aspect of language development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when making an approach to the education of embedded sentences and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embedded sentences among learners through the construction process of such sentences with a focus on their thinking rather than analysis in the structural dimension. The study, however, needs follow-up discussions about the overall aspects of communication since its discussions focused only on written language situations. There are also limitations with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to the entire population of secondary learners since the scope of subjects was restricted only to high school students, which raises a need for follow-up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as well. The study will hopefully lead to more active discussions about grammar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thinking process of secondary learners.;본 연구는 내포문 구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자의 사고에 주목하고 내포문 구성과 인식 양상 분석을 통해 내포문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중등 학습자들은 내포문을 많이 사용하지만 내포문을 정확히 구성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는 많지 않으며 내포문을 의식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드물다. 즉 학습자들은 내포문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조정·점검을 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내포문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중등 학습자들이 내포문을 표현 방법의 하나로 인식하고 자신의 언어생활에서도 의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내포문 구성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에 중등 학습자들의 정확한 내포문 구성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내포문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자 언어·사고 발달 차원에서 접근하여 사고 확장의 언어 형식, 경제적이고 논리적 표현 전략, 문법지식의 복합체라는 내포문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 여 현재 내포문 교육이 문장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문장 확대 방법의 하나로 논의되고 있어서 그 비중이 매우 적고, 교육 내용 또한 내포문의 통사적 지식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자료 수집과 실험을 통해 중등 학습자들의 내포문 구성과 인식 양상을 분석하였다. 내포문 구성 양상은 학습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내포절의 수와 위치, 안긴 형태에 따른 내포문 유형과 오류 유형을 제시하여 이를 기준으로 구조적인 차원의 내포문 구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내포문 인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실험 설계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내포문 인식 양상은 내포문 구성 능력 평가 실험을 통해 내포문 구성 과정에서 일어나는 학습자들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내포문 구성 능력 평가 실험은 기존의 언어 검사 도구에서 사용되는 검사 방법을 참고하여 내포문을 단문으로 구성하는 과제와 내포문에 대한 통사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문법성 판단 과제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중등 학습자들은 의미를 중심으로 내포문을 구성하고, 내포문 수정 과정에서 문법지식을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내포문 안에서의 상위문과 하위문의 관계에 대한 인식, 내포절 구성 요소에 관한 인식, 메타인지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중등 학습자들의 정확한 내포문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Ⅲ장의 학습자들의 내포문 구성과 인식 양상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 구성 방향과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학습자들은 문법지식이 내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험이 부족하였으며, 내포문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점검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이에 내포문 교육 내용의구성 방향을 ‘문법지식의 의식적 활용 경험’과 ‘내포문의 메타적 점검 경험’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구체화하여 내포문의 기능 인식, 문법지식을 활용한 내포문 구성, 내포문의 메타적 점검 태도 교육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내포문 교육에 대한 접근을 기존의 관점이 아닌 언어발달 차원에서 학습자들의 내포문 구성 능력에 주목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들의 내포문 구성 특성을 구조적인 차원에서만 분석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사고에 주목하여 내포문 구성 과정을 통해 파악하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다만, 문어적 상황에만 중점을 둔 논의라는 점에서 의사소통 전반에 관한 후속 논의들이 필요하며, 연구 대상을 고등학생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중등 학습자의 언어 발달적 측면까지 고려하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을 중학생까지 확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중등 학습자들의 언어발달과 사고 과정에 주목한 문법 교육 논의들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