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인수-
dc.contributor.author김소리-
dc.creator김소리-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32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15-
dc.description.abstract학교폭력은 괴롭힘이 일어나는 공간에 따라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많은 보고서에서 학교폭력이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그 안을 들여다보면 사이버 괴롭힘이 증가하고 있고 괴롭힘 피해 정도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전통적 괴롭힘과는 달리 눈에 잘 보이지 않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이버 괴롭힘으로 피해를 받은 것을 주변에 알리지 않는 속성을 감안한다면, 상당수의 학생들이 사이버 괴롭힘의 피해를 받았을 것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괴롭힘 관련 선행 연구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격성, 자기통제력, 사회적지지, 폭력물 노출, 이 네 가지의 심리·사회적 특성들이 사이버 괴롭힘에 영향을 미칠 때 전통적 괴롭힘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사이버 괴롭힘 가해를 예측, 이를 막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3 청소년 사이버 괴롭힘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초·중·고 학생 총 응답자 11,956명 중 불성실한 응답 3명을 제외, 11,953명의 자료를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가해 경험의 빈도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의 가해 경험 유무에 따른 공격성, 자기통제력, 사회적지지, 폭력물노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전통적 괴롭힘 가해와 사이버 괴롭힘 가해간의 빈도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심리·사회적 변인(공격성, 자기통제력, 사회적지지, 폭력물노출)과 전통적 괴롭힘 가해, 사이버 괴롭힘 가해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심리·사회적 변인(공격성, 자기통제력, 사회적지지, 폭력물노출)이 전통적 괴롭힘을 매개로 사이버 괴롭힘을 예측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분석방법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포함한 일련의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가해 경험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국내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성별에 따라 전통적 괴롭힘 가해와 사이버 괴롭힘 가해에 남학생들의 비율이 우세한 것이 대부분이며 본 연구에서도 남학생이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 모두에서 여학생보다 더 우세한 비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사이버 괴롭힘 가해 비율차이는 1.8%, 전통적 괴롭힘 가해 비율차이는 4.9%로 사이버 괴롭힘 가해에서 여학생의 비율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의 가해 경험 유무에 따라 심리·사회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전통적 괴롭힘 가해 유무와 네 가지 심리·사회적 변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전통적 괴롭힘의 가해학생은 공격성이 높고, 자기통제력이 낮으며, 사회적지지가 낮고, 폭력물노출이 높았다. 또한 사이버 괴롭힘 가해 유무와 네 가지 심리·사회적 변인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사이버 괴롭힘의 가해학생도 공격성이 높고, 자기통제력이 낮으며, 사회적지지가 낮고, 폭력물노출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심리·사회적 변인이 사이버 괴롭힘 가해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전통적 괴롭힘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높은 공격성과 낮은 자기통제력, 낮은 사회적지지와 높은 폭력물노출은 전통적 괴롭힘 가해를 높였으며 사이버 괴롭힘 가해 또한 동일한 독립변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사회적 특성이 사이버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전통적 괴롭힘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매개를 통해 증가한 설명력은 공격성은 6.7%, 자기통제력은 6.8%, 사회적지지는 8.3%, 폭력물노출은 6.0%로 모두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심리·사회적 특성이 직접적으로 사이버 괴롭힘 가해에 영향을 주지만 전통적 괴롭힘 가해는 이를 더 증가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사이버 괴롭힘 가해를 낮추기 위해 심리·사회적 특성을 조절하는 프로그램 개발에도 힘써야 하고 동시에 전통적 괴롭힘 가해를 낮추는 개입도 함께 실시해야 효과적으로 괴롭힘이 줄어들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특성이 전통적 괴롭힘을 매개로 사이버 괴롭힘을 예측하는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사이버 괴롭힘 가해의 증가는 전통적 괴롭힘 가해와 관련이 있음을 밝혀 괴롭힘 연구와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시하였다.;School violence can be categorized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depending on where the violence has taken place. Recent researches show that the frequency of school violence is declining but when closely examined, the frequency of cyber bullying is increasing and the intensity of violence is also severly increasing. As it is not easy to see like traditional bullying and most of students who are the victims of cyber bullying tend to avoid reporting, it can be guessed that a quite large number of students could have suffered from cyber bullying so more accurate research is needed.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investigate if traditional bullying is mediated between the fou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 aggression, self-control, social support, exposure to violent media - which are used commonly among preceding bullying researches, and cyber bullying whe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ffect cyber bullying. So this could help to find ways to predict cyber bullies and stop them. The data used to analyze was from survey data 'Youth Cyber Bullying Survey' conducted by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1,956 students responded and excluded three insincerity response, so 11,953 students materials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21.0.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cross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experience by gender. Secon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aggression, self-control, social support and exposure to violent media about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t-test was conducted. Third, cross-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distribution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Fourth,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aggression, self-control, social support, exposure to violent media),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Fifth, to verify tha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aggression, self-control, social support, exposure to violent media) could predict cyber bullying by the medium of traditional bully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alu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raditional bullies and cyber bullies according to gender. According to the leading domestic researches the majority of traditional bullies and cyber bullies are boys compared to girls and this is also true on this study. However, there was 1.8%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cyber bullying rate and 4.9% in traditional bullying rate which means that the ratio of cyber bully girls are increased. Secon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experiences, I examined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There was significant relevance between traditional bullying and all fou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n other words, traditional bullies have high aggression level, low self-control, low social support and is more exposed to violent media. In addi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yber bullying and the fou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cyber bullies also have high aggression level, low self-control, low social support and is more exposed to violent media. Third,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raditional bullying mediates betwee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cyber bullying. High aggression, low self control and low social support and high exposure to violent media raised the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 bullying has also been found to increase as well. In addition, high aggression, low self-control, low social support and high exposure to violent media raised the traditional bullying and this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leading to cyber bullying. Increased explanation power through the mediated are aggression by 6.7%, 6.8% self-control, 8.3% social support, and 6.0% exposure to violent media which all partially mediated. This result shows that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directly affects cyber bullying but traditional bullying increases this mor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raditional bullies are more likely to become cyber bullies and have high aggression level, low self-control, low social support and more exposure to violent med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 need to strive to develop a program which adjus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to lower the cyber bullying and also put much effort to reduce traditional bully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is regard that it is almost never studied domestically in such a way that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could predict cyber bullying by the medium of traditional bullying. Through this revealed that the increase in cyber bullying is related to traditional bullying and proposed implications for bullying research and the prevention program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D. 연구 모형 8 Ⅱ. 이론적 배경 10 A. 전통적 괴롭힘 10 B. 사이버 괴롭힘 13 C.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특성 18 D. 전통적 괴롭힘과 사이버 괴롭힘의 관계 24 Ⅲ. 연구방법 27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7 B. 측정도구 27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1 Ⅳ. 연구결과 33 A. 기술통계 33 B. 심리·사회적 변인과 사이버 괴롭힘 가해의 관계에서 전통적 괴롭힘 가해의 매개효과 37 Ⅴ. 논의 및 결론 45 A. 요약 및 논의 45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제언 54 참고문헌 56 부록1. 설문지 70 ABSTRACT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45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심리·사회적 특성이 사이버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전통적 괴롭힘의 매개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diating Effect of Traditional Bullying Betwee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Cyber Bullying-
dc.creator.othernameKim, So Ri-
dc.format.pagevii, 75 p.-
dc.contributor.examiner김안나-
dc.contributor.examiner정제영-
dc.contributor.examiner오인수-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