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8 Download: 0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Title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Other Titles
Analyz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am Leadership, Team Process and Team Effectiveness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Authors
김진희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재삼
Abstract
Although reliance on teams has increased drastically since the 1980s, for being flexible and swift in responding to the rapid change of management surroundings and dealing with conflict task problems, the research surrounding teams has not been able to keep pace with the growing need for understanding how teams can achieve more effective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research of team leadership as the input factor of teams have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The existing leadership studies primarily have focused on the personal effect of leader, without examining the leadership roles of each team member. Moreover, there has been some research that team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to team effectiveness, however team process has not been delineated including the definition, component, and mediating effects. Furthermore, the study of team process also has been focusing on the leading change by a team leader, without examining the leading role of each team member. In addition, more research of team effectiveness is needed for not only team output but also team commitment. Furthermore, the team input-process-output mechanism has not been as widely researched empirically. In this study, I proposed the model including influence from team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through team process, and attempted to ver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team leadership, team process, and team effectiveness. Team leadership is defined as the influence of the team interaction while all team members perform leadership roles. Team process refers to the interaction of team members for achieving team goals, which is composed of communication, conflict, and trust. Team effectiveness is defined as the degree of achieving the project goal, which is categorized into two dimensions- team performance and team commitment.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 proposed model including influence from team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through team process valid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2. Are there direct effects among team leadership, team process, and team effectiveness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3. Are there indirect effects among team leadership, team process, and team effectiveness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in the study, I collected data via a survey with the sample of 107 project teams of the engineering college, comprising 325 respondent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sed model including influence from team leadership on team effectiveness through team process is valid in project-based learning for engineering students. Second, communication and team commitment directly effected team performance, and trust directly effected team commitment. Additionally, team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conflict, and trust. Third, team leadership indirectly effected team performance through communication and effected team commitment through trust. The research provid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 proposed the structural model which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m leadership, team process, and team effectiveness and identified empirically. Second, this study provided specific guidelines for high team performance and team commitment in the team project. The results proposed in this study must be validated by further research in diverse research settings. Several studies have called for diverse components of team process and the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for the team unit research.; 오늘날 조직은 급박하게 변화하는 경영 상황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다. 조직의 복잡한 과업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1980년대 이후 팀에 대한 의존성이 급격히 증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팀의 효과적인 성과 산출방법에 대한 팀 관련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팀의 투입요소로서 팀 리더십, 과정요소로서 팀 프로세스, 산출요소로서 팀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리더십 연구는 팀 리더의 개인적인 영향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팀 구성원 전체의 리더십 역할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또한 팀 투입요소들이 팀 산출에 미치는 영향에만 초점을 두고 팀 투입과 팀 산출을 연결하는 메커니즘으로 팀 프로세스에 대한 정의와 구성요소에 대한 합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다. 팀 프로세스에서도 리더 중심의 변화를 다루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구성원의 주도적인 역할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또한 팀 리더십이 팀 프로세스를 통해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 팀 효과성에 대한 연구에서도 팀 성과뿐 아니라 태도적 요소로서 팀 몰입에 대한 효과검증이 필요하다. 이상의 팀 리더십이 팀 프로세스를 통해 팀 효과성으로 이어지는 팀 투입-과정-산출에 대한 전반적인 메커니즘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팀 리더십이 팀 프로세스를 통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규명한 구조모형을 구안하고,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 간의 직ㆍ간접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팀 리더십을 집합적 리더십(collective leadership)에 초점을 맞추어 팀 구성원 전체가 리더십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팀 전체에 미치는 상호 영향력으로 정의했다. 팀 프로세스는 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으로 정의하고 의사소통, 갈등, 신뢰를 구성 요소로 보았다. 팀 효과성은 프로젝트 목표를 성취한 정도로 정의하고, 이를 팀 성과와 팀 몰입으로 보았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의사소통, 갈등, 신뢰),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모형은 적합한가? 둘째,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의사소통, 갈등, 신뢰),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 간에 직접효과가 존재하는가? 셋째,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의사소통, 갈등, 신뢰),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 간에 간접효과가 존재하는가?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가설과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 Y대학 공과대학에서 2014학년도 2학기와 2015학년도 1학기에 개설된 팀 프로젝트 중심으로 진행하는 종합설계(Capstone Design)과목의 수강생 107개 팀(325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을 구성하여 측정변인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구조모형을 설정한 후 모형의 부합도를 평가하고, 최종 구조모형의 직ㆍ간접효과를 분석하고 유의성을 검증했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 투입요소로서 팀 리더십, 과정요소로서 팀 프로세스에는 의사소통, 갈등, 신뢰, 산출요소로서 팀 효과성에는 팀 성과와 팀 몰입으로 구성모형을 구안했고, 이에 대한 모형의 부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의사소통, 갈등, 신뢰),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 간의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의사소통과 팀 몰입이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가 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팀 리더십이 의사소통, 갈등, 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대상 프로젝트 기반학습에서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의사소통, 갈등, 신뢰), 팀 효과성(팀 성과, 팀 몰입) 간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팀 리더십이 의사소통을 통해 팀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팀 리더십이 신뢰를 통해서 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팀 리더십, 팀 프로세스, 팀 효과성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안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은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팀 리더십과 팀 프로세스의 요소를 검증하여, 팀 프로젝트에서 팀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모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향후 모형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영역의 팀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와 기타 팀 프로세스 구성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실증적 연구의 필요성, 팀 단위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