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04 Download: 0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Title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Directors and Teachers about Child care Center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and its Operating System
Authors
서예석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인증 3차지표와 운영체계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 구성요소 항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정원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의 운영체계 및 적용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의 운영체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어린이집 평가인증 3차지표 적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하며, 이는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평가인증 경험이 있는 경기도 7개 도시(과천, 고양, 수원, 양주, 의왕, 의정부, 이천)에 소재한 어린이집 150곳과 서울 8개구(노원, 도봉구, 동대문, 마포, 서초, 성북, 영등포, 중구)에 소재한 어린이집 302곳의 원장과 보육교사 각 1명씩으로 원장 287명, 보육교사 281명으로 총 568명이었다. 본 연구는 2015년 2월 5일 ~ 3월 30일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을 검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 편차를 분석하였고, 교차분석을 하여 χ2검증을 하였다. 변인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는 변인들에 대해서는 Duncan 사후검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직원은 평가인증 3차지표가 평가기준으로서 적절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건강영역과 안전영역의 지표에 대해서 가장 높은 적절성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평가인증 3차지표의 적절성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차이를 보면, 운영관리영역에서는 보육교사가 원장 보다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보육환경영역, 안전영역, 보육과정 운영영역, 운영관리영역의 4개 영역에서 직장 어린이집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육환경영역과 운영관리영역에서 정원 규모가 큰 집단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학점은행제(원격포함)학력집단은 건강영역, 안전영역, 보육활동과 상호작용영역에서 적절성 인식이 낮게 나타나 다른 집단과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교직원들은 평가인증 3차지표의 각 구성요소마다 필요성 정도에 대한 인식이 달랐다. 보건복지부 평정기준에 따라 한 개의 항목이 충족되지 않고도 만점으로 평가될 경우, 어떤 항목이 보육의 질 향상에 적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인식조사에서, 충족되지 않아도 된다고 인식된 구성요소의 응답률 20% 미만을 나타낸 구성요소 항목들로만 이루어진 지표는 전혀 없었다. 50%의 응답률로 필요성이 낮게 인식된 구성요소 항목들이 속한 지표의 수는 9개였고, 70%이상의 응답률을 나타낸 지표는 2개로 나타났다. 필요성이 낮다고 인식된 응답률 20% 이상인 구성요소 항목들은 응답대상 45개 지표 중 총 20개의 지표에서 정원규모에 따른 유의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넷째, 평가인증 3차지표의 개정안인 지표통합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반대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정원규모가 적은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들이 지표통합에 대하여 반대하는 인식이 높았고, 직장어린이집보다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이, 그리고 설명회에 참석하지 않은 경우에 보다 더 반대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관찰 통보주간 변경, 보육일지 확인기간의 단축에 대해서는 배경변인에 관계없이 찬성하는 경향이 많았다. 평가인증 3차지표 등급제 변경, 구성요소 항목의 충족 개수에 의한 평정기준, 평가방법 제시, 현장관찰보고서의 반영비율 상향조정, 구성요소 항목의 필수항목이나 기초항목을 개설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반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등급제에 의한 평가기준에 대해 구성요소의 총 충족수의 범위와 각 지표의 점수의 합이 모두 충족될 수 있는 기준에 의해 등급이 정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평가인증 3차지표의 적용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인식결과를 보면, 자체평가 시 객관적으로 할 것이며 이전에 평가받았던 점수와 별 차이 없는 점수결과를 예상한다고 나타났다. 평가인증 3차지표를 준비하는데 가장 시간을 많이 할애할 영역과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은 보육활동과 상호작용영역이었다. 평가인증 3차지표 적용여부는 평가인증 3차지표 시행 후 결정하겠다고 하였으며, 그 다음 순으로 원장은 2차지표적용을 보육교사는 3차지표적용을 선호 하였다. 평가인증 3차지표 적용 시 원장은 어려움이 있다고, 보육교사는 어려움이 없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더 많았다. 평정기준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은 전체적으로 이해가 어렵다거나 별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40인 이상 정원규모의 어린이집은 이해하기 쉽다고 한데 비해 20인 이하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보육경력 3년 미만의 경우 이해하기 쉽다고 하였으나, 보육경력 10년 이상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나타나 의미있는 인식차이가 있었다. 평가인증 3차지표 적용 시 어려움이 있을 영역에 대해 원장은 보육환경영역, 보육활동과 상호작용영역, 운영관리영역, 보육과정과 운영영역, 안전영역, 건강영역의 순인 반면, 보육교사는 보육환경영역, 보육활동과 상호작용영역, 보육과정과 운영영역, 안전영역, 운영관리영역, 건강영역의 순으로 차이가 있었다. 평가인증 3차지표 적용 시 재직 중인 어린이집이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가장 큰 이유는 기존 공간의 협소함이었으며, 모든 유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평가인증 3차지표 적용 시 조력의 필요성에 대해 모든 영역에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특히 가정어린이집, 20인 이하 정원규모 어린이집과 학력이 낮을수록 조력의 필요성을 높게 응답하였다. 조력이 가장 필요한 영역은 보육활동과 상호작용영역으로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and its operating system. Specific questions for this research for attaining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1-1.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suitability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and is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1-2.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needs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of sub-category item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ize of child care centers capacity? 2.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operating systems and application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2-1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operating systems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and is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2-2 How do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 the application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and is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8 respondents, 302 directors and 287 teachers of accredite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7 cities in Kyunggi Do (Such as Gwangju, Goyang, Suwon, Yangju, Uijeongbu, Yicheon) and Seoul (Nowon-gu, Dobong-gu, Dongdaemoon-Gu, Mapo-gu, Seocho-Gu, Seongbook-Gu, Jung-Gu).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 from Feb.5 to March 30 in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χ2 verification to analyze the research questions No. 1 and No.2. Th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of suitability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depending on the variables. Duncan post-verification was used for the significantly different groups after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considerably well perceived that the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is suitable for the child care centers in Korea particularly in health and safety domain. Second, the perception of suitability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is higher than that of directors in management domain. Perception of accreditation index of sub-categories presents environment, safety, child care curriculum, management domains highly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corporations. Also it presents highly in environment and management domains in larger size child care centers. Directors and teachers with educational background of academic credit bank system (including distance learning program) showed lower perception of suitability in health, safety,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domains and showed a difference than group of other educational background. Third, the perception of needs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of domain is not equal. There is no accreditation index of sub-categories regarding to the lower perception less than 20% response rates according to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ating standard about perception research of which item the least effective to the accreditation system is. There are 9 accreditation index of sub-categories regarding to the lower perception of 50% response rates and 2 accreditation index of sub-categories regarding to the perception of more than 70% response rat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needs in 20 accreditation index among 45 index of sub-categories regarding to the perception of more than 20% response rates. Fourth, there is a tendency of disagreement regarding to the revised plan of integration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In specific, directors and teachers in smaller size child care center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oppose the integration of the accreditation index. The directors and teachers in smaller size child care centers showed a higher tendency to oppose the integration of the accreditation index. Also the directors and teachers in family child care showed a higher tendency than in child care centers operated by corporations to oppose the integration of the accreditation index. The directors and teachers who did not participated in explanatory meeting showed a higher tendency to oppose the integration of the accreditation index. They showed a higher tendency to agree to the notice of change the field visit observation schedule and shorten the length of child care center journal on evaluation regardless of the variables. They opposed the change of the degree of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evaluation standards in sub-categories, evaluation methods, greater emphasis on field visit observation report, and basic or critical items of criteria in general. They perceived that the ratings should be set up by standards of total items scores and sub-categories. Fifth, directors and teachers showed no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f scores between self-evaluation and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The most time-consuming and the most difficult areas to prepare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were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domains. They wanted to decide to apply the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after its enforcement. The directors preferred second accreditation system index and teachers preferred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The directors tended to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but teachers tended to have no difficulties. Directors and teachers perceived the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criteria of the third accreditation system. Directors and teachers of facilities with children capacity more than 40 had no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ird accreditation system but directors and teachers of facilities with children capacity below than 20 had difficulties to understand. Also directors and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more than 10 years had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ird accreditation system but directors and teachers who had teaching experiences less than 3 years had no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directors tended to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with child care environment, child care activities, intera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child care curriculum, safety, health domains in order. While the teachers tended to have difficulties with child care environment,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child care curriculum and operation, safety, operation and management, health domains in order. They would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because of the small area of child care centers regardless of type of institution. Directors and teachers need the support for all domains in applying third accreditation system index, especially those of family daycare, child care centers with capacity less than 20 and with less academic career highly responded the need of support. The most needed support areas are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domai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