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5 Download: 0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 분석

Title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Recognition in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uthors
강미선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종희
Abstract
가치는 하나의 체계를 이루어 전승되며 개인의 행위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정의적 개념이다. 학업성취도 국제비교평가에서 한국 학생들은 수학에 대한 높은 인지적 성취도에도 불구하고 정의적 성취도는 낮았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이러한 인지적․정의적 영역 간의 불균형 현상은 교육자 관점의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으로는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학습자 관점의 수학학습가치 인식을 중심으로 이러한 원인을 규명하고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가치 인식은 우리 사회의 집단적 가치관을 포함하여 세대 간에 전달되는 특성이 있다. 이에 우리나라 학생들의 긍정적 수학학습가치 인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학생과 학부모를 함께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 이유는, 학습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시기에 형성된 가치 인식은 이후 학습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중요하며 초등학생들은 자신만의 확고한 가치 인식을 형성하기 이전에 부모가 인식하는 가치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수학학습가치 인식이 수학학습관여행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한 탐색은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불균형 현상에 대해 실제적 맥락에서의 이해를 높이고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의 쌍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수학학습가치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과 동시에 수학학습관여행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부모용과 학생용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와 초등학교 학생용 수학학습관여행위 검사 도구를 개발한다. 둘째,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수학학습가치 인식의 특성과 수학학습가치 인식에 대한 부모-자녀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셋째,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수학학습관여행위의 특성과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부모-자녀의 상관관계를 규명한다. 넷째,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의 상관관계와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수학학습가치 인식의 영향을 탐색한다.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양적 분석과 질적 분석 두 가지를 사용하였다. 양적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초등학교 학부모용과 학생용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와 초등학생용 수학학습관여행위 검사 도구를 개발한다. 수학학습가치의 경우 문헌 분석을 토대로 하위요인과 문항을 구성하여 학부모용과 학생용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수학학습관여행위의 경우에는 학부모용 기존 검사 도구인 Cai(2003)을 번안․수정한 후 이를 활용하여 학생용 수학학습관여행위 검사 도구를 새로 개발한다. 이에 대해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한다. 다음으로, 196쌍으로부터 수집된 총 4가지 자료에 대해 각각 요인 평균을 구하고 빈도 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의 특성을 파악한다. 또한 Kendall’s τ 상관계수를 사용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부모-자녀의 관계를 파악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수학학습가치 인식의 영향을 탐색한다. 질적 분석 방법으로는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 4쌍에 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양적 분석 결과에 대한 실제 맥락에서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사회의 집단적 가치가 포함된 초등학교 학부모용과 학생용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와 초등학생용 수학학습관여행위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학부모가 인식하는 수학학습가치의 하위요인은 내재가치, 사회적도구가치, 개인미래가치, 사회적의무가치, 타인가치, 자신감가치 등 6개로 확인되었고,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수학학습가치의 하위요인은 내재가치, 사회적가치, 개인미래가치, 타인가치, 자신감가치 등 5개로 확인되었다. 수학학습관여행위의 하위요인은 직접지도, 관리와 대화, 학습방법연구, 체험학습환경조성, 격려와 신뢰 등 5개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부모가 인식하는 내재가치, 사회적도구가치, 개인미래가치, 타인가치가 자녀에게 전달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학부모가 인식하는 수학학습가치와 자녀가 인식하는 수학학습가치 사이의 서열에 대한 비모수 상관분석 결과 학부모의 내재가치와 자녀의 내재가치, 학부모의 사회적도구가치와 자녀의 사회적가치, 학부모의 개인미래가치와 자녀의 개인미래가치, 학부모의 타인가치와 자녀의 타인가치, 학부모의 타인가치와 자녀의 사회적가치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수학학습가치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의 우선 가치가 달랐는데, 학부모의 우선 가치는 자신감가치였고 초등학생의 우선 가치는 개인미래가치였다. 질적 분석 결과, 학부모가 자신의 우선 가치를 자녀에게 전달하는 방법은 주로 언어적인 설득이었으며 부정적인 언어 표현을 동반한 경우가 발견되었다. 셋째, 초등학교 학부모가 가장 많이 하는 수학학습관여행위와 학생이 가장 원하는 수학학습관여행위가 서로 같았지만 그 내용은 달랐다. 학부모가 자녀에게 수학학습관여행위로 가장 많이 하고 있다고 인식한 행위는 격려와 신뢰였으며 초등학교 학생이 부모에게 가장 바라는 행위도 격려와 신뢰였다. 하지만 질적 분석 결과, 부모는 격려를 하였다고 인식하였지만 자녀는 이를 진심이 아닌 것으로 받아들이는 등 학부모와 학생 인식 간에 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상관분석 결과 초등학교 학부모와 학생 모두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 간에 강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학부모의 경우에는 사회적도구가치 인식이, 학생의 경우에는 내재가치 인식이 다양한 수학학습관여행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행위는 같지만 그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 인식은 학부모와 자녀가 서로 달랐으므로 행위의 의도와 내용에 있어 학부모와 자녀 간에 인식 차이가 있음이 드러났다. 다섯째, 초등학교 학부모와 초등학생 자녀 4쌍에 대한 심층 면담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이 높은 인지적 성취를 이루기 위해 수학학습 행위를 하는 실제적인 이유가 부모에게 기쁨을 주고 인정을 받고 싶다는 타인가치 인식에 따른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행위에 자녀의 가치 성향이 반영되지 못한 경우 부모-자녀 사이에 갈등이 생겼으며 이는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학습가치 검사 도구는 한국 사회의 집단적 가치가 포함된 종합적 검사 도구로서 다른 나라와는 다른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불균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수학학습가치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측정할 수 있으므로 학부모와 학생의 개별 가치 성향을 파악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생용 수학학습관여행위 검사 도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불균형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실제적 대안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국 학생들의 인지적 성취는 한국 사회의 집단적 가치에 속하는 타인가치 인식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타인가치는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여 기쁨을 주고자 하는 마음과 관련 있다. 초등학교 학부모들은 타인가치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학생들은 타인가치에 의해 학부모의 수학학습 행위를 따르고 있으며 이는 높은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수학학습가치 교육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때 형성된 학생들의 수학학습가치 인식이 중학교와 고등학교 과정에서의 수학학습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초등학교 학부모 대상 수학학습가치 인식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학생들의 긍정적 가치 형성을 위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행위를 학생들의 정의적인 특성 함양을 위한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행위가 학생의 정의적인 성취 함양보다는 높은 인지적 성취를 위한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학생에 대한 학교에서의 정의적 특성 함양 교육이 실제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도 같은 방향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학생들의 인식 사이에 괴리가 있었으며 이로 인한 갈등과 역효과가 발견되었다. 학부모가 자녀의 가치 성향과 자녀가 원하는 수학학습관여행위의 유형과 내용을 파악하여 자신의 행위에 반영하는 것은 행위의 효과를 높이고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 형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수학학습관여행위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집단적 가치가 포함된 종합적인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한국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불균형 현상에 대한 원인을 가치의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더불어 학생들의 긍정적인 수학학습가치 형성을 위한 대안으로 학부모의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학부모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는 가치와 행위라는 관점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교육적 결과에 미치는 초등학교 학부모의 수학학습가치 인식과 수학학습관여행위에 대한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의 균형적 발달을 위한 실제적 대안 마련을 위하여 수학학습가치와 수학학습관여행위에 주목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Value is an intellectual and an affective concept that influences behavior. It does not exist individually but is conveyed through generation with some system. Korean students showed high achievement scores in spite of low emotion in mathematics learning. The objects of value recognition ought to be extended to social value as well as mathematics for balancing intellectual and affective features. Since the value formed at the first step in mathematics learning keeps its influence even after learning, it is important to form a positive recognition in the value. As it is hard for young learners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form their own values,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may be reflected on kids' mathematics learning value. A study on forming positive recognition of the value is required on both the students and parents. A study on the relation recognition of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will figure out the imbalance in the intellectual and affective features, which are going to help us understand and find an alternative plan for that imbalance. The following three topic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to analyze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First, develop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parental involvement instrument in mathematics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recognition of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the corre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Third,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involvement and the correl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Fourth, investigate the effect on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the correlation of parental involvement mathematics learning.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velopment of mathematics learning value instrument for elementary students and parents was based on multiple analysis. For this, I conformed sub-factors and items. Cai's instrument(2003) was translated in Korean and revised in order to develop the parental involvement mathematics learning instrument. Second, the instruments' reliance and validity were verified with data. Third, Kendall's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finding the characteristics, relation and influence between parents and kids. Fourth, an interview with 4 pairs of students and parent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clarify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instrument included social valu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nd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eveloped. 6 factors of parents' mathematics learning value have been found.; inherent value, social instrument value, individual future value, social duty value, others-oriented value and self-confidence value. In addition, 5 factors of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value have been found. 5 factors for parental involvement mathematics learning were also found; direct instruc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learning way research, building up experience setting, trust and courage. Second, the parents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h as inherent value, individual future value and others-oriented value conveys to their ki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arental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the kid's mathematics learning value, there are correlations on inherent value on both parents and students. Moreover,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others-oriented value of parents and the individual future value of students. Parents replied that their superior value was self-confidence. In contrast, the superior value of elementary students was the individual future value. Based on the result of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way parents convey their superior value to their kids was mainly by linguistic persuasion with often an accompaniment of negative expression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regarding involvement mathematics learning. Parents knew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involvement were trust and courage. Elementary students expected to get trust and courage from their parents. However, the contents were different. Parents compliment their kids when they did well. In contrast, students expected courage when they made a mistake.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a gap was found between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parents. Fourth,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learning value for element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However, the types of recognition in mathematics learning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on both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the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recognition between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parents and the inherent value of students. Fifth, the interview analysis proved that the others-oriented value of students have an influence on the practical effect of a student's own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instrument developed in this study, which includes social value, is appropriate to explain a students' imbalance of intellectual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building up alternative plans for practical improvement of those imbalances on intellectual and affective features of Korean students. Second, it is possible that the intellectual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others-oriented value in particular. Since recognition of the others-oriented valu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ds the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they follow the parental mathematics behavior for making their parents happy. That can be a reason why students get high achievement scores. Third,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is used not for affective feature but for intellectual feature. The concern of parents is that they can't improve the inherent value of their kids. Also,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causes much trouble when it comes to the practical context for the intellectual achievement of their kids. The characteristic of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and phenomenon in practical context would be one reason for the imbalance. Fourth, the recognition of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have an influence on secondary school learning. Therefore, education for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required. Parents focus on the self-confidence value instead of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have a strong anxiety on mathematics. They also have a low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when it comes to future jobs. They use negative expressions to kids. Nowadays, mathematics learning focuses more on intellectual achievement than affective achievement. Because of this imbalance, we must give consideration to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learning more. As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parents is reflected on their kids, training programs are needed by parents in order to help form their positive value. Finally,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s meaningfully on their own expectations of their parents. If parents follow their children's expectations, students improve their own emotion and behavior. The suitable parental involvement in mathematics learning is a good way for having balance between affective feature and intellectual feature. The instruments that included social value of Koreans were developed. And value and behavior were investigated on the view of unbalance reason. A consultant and a training program are suggested as alternative plans for building a positive value. This study can provide a basis on the view of the mathematics learning value and parental involvement mathematics learning which influences the educational result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as well. It is expected from the following studies that focus on improv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on mathematics learning of Korean students is beneficia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