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윤하휘-
dc.creator윤하휘-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4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9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9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98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치료적 관계에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과 음악치료에서의 치료적 경험에 관한 청소년 내담자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학교, Wee 센터, 청소년 보호시설에서 그룹 음악치료를 경험한 14세부터 19세까지의 청소년 73명이었다. 연구는 음악치료사와 치료적 관계에 관한 설문지를 통하여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배경, 치료적 관계 척도, 치료적 관계 형성에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에서의 치료적 경험에 관한 의견 등 총 4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각 연구 문제에 따라 독립표본 t-검정, 빈도 분석, 교차분석,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청소년 내담자는 음악치료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장기 참여 청소년 내담자가 단기 참여 청소년 내담자보다 치료사와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은 단·장기 참여 청소년 내담자 모두 ‘개인 내적 요인’, ‘관계적 요인’, ‘전문적 요인’ 순으로 응답하였고, 각 요인의 하위 요인에서는 ‘공감적인’ 특성, ‘편한 친구 같은’ 특성, ‘의사소통 능력’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음악치료사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게 된 계기는 ‘음악 경험’, ‘친화적 태도’, ‘신뢰도’, ‘시간의 흐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내담자는 음악치료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과 ‘기분 전환’, ‘협동심 향상’ 등의 치료적 경험을 했다고 인식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치료사의 성격적·태도적 요인이 중요함과 소통에 대한 청소년 내담자의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청소년 내담자와의 관계 형성에 있어서 치료사의 음악적 역량과 친화적이고 신뢰를 주는 태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음악치료가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개입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효율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음악치료사의 개입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저항적이고 비자발적인 특성을 띄는 청소년 내담자와 치료 초기 단계 중재에 있어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향후 청소년 내담자를 보다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및 중재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 therapist factors in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perception of adolescent clients of therapeutic experiences in music therapy. Participants were 73 adolescents aged between 14 and 17 years. They had experienced group music therapy in schools,Wee Center, and youth protection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is study was based on a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music therapist factors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This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our categories: general backgrounds of clients, therapeutic relationship scale, effective therapist factors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personal opinions on music therapists and therapeutic experience in music therapy. Reliability of items in the collected data were measured,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each category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dolescent clients tende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music therapists. The adolescent cli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music therapy for a longer period tended to take the relationships with music therapists to be more positive than the adolescent clients with shorter period. Secondly, regardless of their participation period, adolescent clients tended to take an 'individual internal factor' to be the most effective therapist factor in the formation of therapeutic relationships, 'relationship factor' to be the second most effective one, and 'professional factor' to be third most effective one. In terms of sub-factors, they tended to take 'empathetic' quality to be the most important one, 'familiar friend' quality to be the second most important, and 'communication ability' to be the third most important. With this outcome, the individual internal factor (i.e. personality and attitude) of music therapists may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formation, and adolescent clients have an urge for communication. Thirdly, the opportunities for adolescent clients to form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music therapists are ‘musical experience,’ ‘friendly attitude’, ‘reliability,’and ‘duration’. Based on the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music tends to play a centr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s and clients, and the musical competence, and friendly and reliable attitudes of therapists are significant factors in adolescent music therapy. Finally, adolescent clients tended to agree that they have come to have therapeutic experiences such as ‘emotional stability,’ ‘affect change,’ and ‘improvement of cooperation’ through music therapy. This indicates that music therapy is an effective approach for social and emotional purposes for adolesc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offer some vital information on the effective intervention of music therapists in the therapy for adolescents and contribute to a synthetic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dolescent clients in the future. It can be especially helpful to provide effective music therapy for adolescent clients with defiant and contra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o the earlier stage of music therapy. They can be also utilized as baseline data for research of, and intervention in, adolescent cli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문제 5 C. 용어정리 6 D. 연구 범위 7 Ⅱ. 이론적 배경 8 A. 청소년 내담자 7 1. 청소년 내담자의 특징 7 2.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11 B. 치료적 관계 14 1. 치료적 관계의 개념 및 정의 14 2. 치료적 관계의 중요성 15 3. 음악치료에서 치료적 관계의 중요성 17 C. 치료적 관계에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 18 1. 치료적 관계에 효과적인 음악치료사 요인 20 2. 청소년 내담자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 23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대상 26 B. 조사 도구 및 내용 29 1. 설문지 구성 29 C. 연구 절차 34 1. 타당도 검증 34 2. 예비 조사 34 3. 설문 조사 34 D. 자료 분석 35 Ⅳ. 결과 및 논의 37 A. 결과 37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37 2. 음악치료사와의 치료 관계 정도 40 3. 치료적 관계에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 41 4. 음악치료사와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의견 및 인식 46 B. 논의 55 Ⅳ. 결론 및 제언 59 A. 결론 59 B. 제언 62 참고문헌 64 부록 78 ABSTRACT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259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음악치료에서 청소년 내담자가 인식하는 치료적 관계에 효과적인 치료사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dolescent Clients’ Perception of Effective Therapist Factors in Therapeutic Relationship in Music Therapy-
dc.creator.othernameYoon, Ha Hwi-
dc.format.pagev, 87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contributor.examiner곽은미-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