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3 Download: 0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및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 어휘학습 활동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및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 어휘학습 활동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and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on the Vocabulary Learning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고현영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종임
Abstract
최근 컴퓨터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어휘 교육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 학습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멀티미디어 자료가 어휘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Al-Seghayer, 2001; Chun & Plass, 1996; DeRidder, 2000). 또한 학습자가 컴퓨터를 활용하여 어휘학습 자료의 저작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것이 교사로부터 제공된 자료를 단순히 활용하는 것보다 어휘 학습과 정의적인 태도에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Kramsch et al, 2000; Kubota, 1999; Milone, 1995; Nikolova, 2002). 그러나 어휘 학습에서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를 입증한 연구는 컴퓨터상의 독해 과정에서 멀티미디어 어휘 주석이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멀티미디어 자료의 저작을 통한 어휘학습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명시적인 어휘학습 환경에서 컴퓨터상의 멀티미디어 어휘 학습 자료의 저작 활동이 어휘 학습과 정의적 태도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우리나라 중학교 어휘 교육에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및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 어휘학습 활동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학습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 영어학습자 72명을 연구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두 개의 실험집단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총 5차시의 어휘 수업 동안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어휘를 단순 암기하며 학습하였고, 실험집단 A는 그림사전을 저작하면서 어휘학습을 하였고 실험집단 B는 학습과제를 저작하면서 어휘학습을 하였다. 매차시마다 어휘평가를 실시하였고, 2주후 장기어휘평가를 실시하여 기억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전반적인 어휘학습과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학습 활동에 대한 태도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의 단기 기억 측면에서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 그리고 단순암기라는 세 가지 학습방법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및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이 단순암기 집단보다 단기 어휘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는 했으나, 그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세 집단 모두 70%대의 목표어휘를 기억한 것으로 보아 세 가지 어휘학습 방법 모두 단기 기억에 동일하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수용적 이해와 생산적 사용 능력 향상에도 세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세 집단에서 모두 수용적 이해를 묻는 어휘가 생산적 사용을 묻는 문항보다 더 잘 기억되었다. 이는 웹기반 어휘 학습 활동이 어휘 학습 과정을 정교화하고 처리 과정의 깊이를 주어 어휘 습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한다(Channell, 1988; Craick와 Lockhart, 1972; Laufer와 hulstijin, 2001). 또한, 품사별 효과에서도 세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 집단에서 모두 명사 어휘가 가장 잘 기억되었으나, 동사, 형용사 순으로 잘 기억되었다. 형용사, 명사, 동사의 순서로 잘 기억이 되었다. 이는 명사, 형용사, 동사의 순서로 어휘학습이 쉽다는Rodgers(1969)의 연구와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둘째, 어휘의 장기 기억 측면에서도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 그리고 단순암기라는 세 가지 학습방법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및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이 단순암기 집단보다 장기 어휘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는 했으나, 그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세 집단 모두 40%대의 목표어휘를 기억한 것으로 보아 세 가지 어휘학습 방법 모두 장기 기억에 동일하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수용적 이해와 생산적 사용 능력 향상에도 세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세 집단에서 모두 수용적 이해를 묻는 어휘가 생산적 사용을 묻는 문항보다 더 잘 기억되었다. 또한, 품사별 효과에서도 세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 집단에서 모두 명사 어휘가 가장 잘 기억되었으나, 동사, 형용사 순으로 잘 기억되었다. 셋째,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학습 활동에 대한 사전·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어휘학습에 대한 태도’에서는 집단내 유의미한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어휘학습’에 대해서는 두 실험집단 모두 ‘흥미도’와 ‘향후 활용 의지’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멀티미디어 어휘학습 활동이 특히 ‘의미’와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 활용 어휘학습 활동에 대한 개방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멀티미디어 활용 어휘학습 활동이 ‘의미’와 ‘철자’를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며 단어를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상위집단의 경우, 시간 대비 학습하는 어휘가 적어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지적하였으며, 하위집단의 경우 수행해야할 과제가 너무 많아서 귀찮고 힘들다는 반응을 보였다. 본 실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그림사전 제작 및 웹기반 학습과제 저작 어휘학습 활동이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학습에서 학습자의 주도적인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용할 만한 어휘학습의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다. 한국 중학교 영어 학습자들은 입시 위주의 수업 방식에 따라 어휘만을 분리시켜 다량의 어휘를 주입식으로 암기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놓여있다. 그러나 실험 연구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다양한 어휘 활동을 수행하면서 자연스럽게 어휘 학습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저작 어휘학습 활동을 개발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어휘학습 활동을 매 수업시간마다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여러 가지 공간적인 제약과 시간적인 제약이 따르고 방대한 양의 어휘를 다루기에는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매 수업시간에 활용하기 보다는 수행평가 도구 또는 방학 숙제 등으로 활용하거나, 수업 시간 외에 학습자들이 개별적으로 어휘 활동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과업을 부여하는 것도 효과적인 학습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제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수업 자료를 제작하는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ies, view on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is changing.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using multimedia materials i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Also, studies have shown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authoring web-based materials has positive effects on both vocabulary acquisition and affective asp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uthoring tasks in which students can involve actively in learning a new word while promot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and authoring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venty two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traditional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and authoring web-based vocabulary activities, respectively. Two different vocabulary post-tests were administered: one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to examine the retention of the acquired vocabulary, and the other two weeks later to examine the effects on recall. In addit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short-term memory. All three groups showed high short-term memory rate, meaning that all three methods were effective in learning a new word.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long-term memory. Third, the result of the attitude questionnaire revealed that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ttitudes toward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udents answered that authoring activities were helpful especially in remember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uthoring multimedia dictionaries and authoring web-based vocabulary activity have posi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s vocabulary learning. This suggests that activities of authoring multimedia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used in and out of class to promote learners' active vocabulary learn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