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1 Download: 0

초등미술수업에서 트레핑거의 CPS모형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미술수업에서 트레핑거의 CPS모형이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PS Model on learners’ creative ex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
Authors
김유나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은경
Abstract
In the modern society that rapidly changes, ‘creativity’ has been placed as a major factor of education. In the circumstances of the newly-flooded knowledge and information every day, the capabilities to explore solutions and creative new things by utilizing the existing knowledge multi-dimensionally in actual lives rather than simply possessing it are emphasized. Therefore, the 2009-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uggests the person with creativity based on new thinking and challenge as the desirable image in the future, aiming at personality and creativity for art classes. However, the art classes are still conducted based on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s, although art class is highly effective subject to improve creativity. Thus, the education for enhancing learners’ creativity is insufficient. The specific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for enhancing learners’ creativity are also insufficient in the actual fields. The Treffinger’s CPS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is an effective model to cultivate creativity by utilizing the balanced approach between dispersing thought and convergent thought in each stage after collecting information and clarifying it into specific questions in order to solve unstructured problem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PS Model on learners’ creative expression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s on creativity, creative expression, CPS Model were theoretically reviewed.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art class and CP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reativ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CPS Model were identified. In this context,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 the topic of ‘making co-space’ was developed by applying CPS Model. In order to apply this program, total 53 students from the two classes of the sixth graders in G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Yangcheon-gu, Seou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two classes consisted of 26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27 students in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equival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equivalence examination was performed through the questionnaire on ‘the interests in art and background knowledge’. From March 20, 2015 to April 7, 2015,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designed in the basis of CPS Model was conducted for 8 sessions targeting the experimental group. The art class in the basis of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was conducted for 6 sessions targeting the control group. The assessment tool to measure the creative expression of research participants was produced with the appropriate revisions and compliments from the creativity evaluation factor suggested by Lowenfeld (1993), the achievement standard and achievement level in art clas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suggest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2), and the study of Yun Seong-yeon (2013). Based on the tool, the class outcomes were co-evaluated by three persons including the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by SPSS v. 19.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reffinger’s CPS Model was found to be more superiorly evaluated than the control group applied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creative factor to construct theme express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reffinger’s CPS Model was found to be more superiorly evaluated than the control group applied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creative factor to construct expression method.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o Treffinger’s CPS Model was found to be more superiorly evaluated than the control group applied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in terms of creative factor to construct figur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rt class applied to CPS Model gives positive influences on creative expression of the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to explor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to actual school field and to verify its educational effec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CPS Model on the sixth graders’ creative expression.;다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창의성’은 교육의 핵심요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매일 새로운 지식과 정보로 넘쳐나는 상황 속에서 기존의 지식을 단순히 보유하기 보다는 실생활 속에서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활용하여 해결책을 모색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미술교육의 목표를 인성과 창의성에 두고 새로운 발상과 도전을 바탕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을 미래의 인간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교과가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학교교육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교수법에 의거하여 수업을 함에 따라 학습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창의성 증진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자료도 부족한 실정이다. 트레핑거(Treffinger)의 CPS(Creative Problem Solving)모형은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를 수집하여 구체적인 문제로 명료화한 후 각 단계마다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의 균형 있는 접근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창의성 계발에 효과적인 모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창의성과 창의적 표현력, 트레핑거의 CPS모형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미술수업과 CPS의 연관성, 트레핑거의 CPS모형 적용에 따른 창의적 표현력의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하여 ‘함께하는 공간 만들기’라는 제재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하여 서울시 양천구에 소재한 G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 총 5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개 학급은 실험집단 26명, 통제집단 27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미술에 대한 관심 및 사전지식’설문지를 통해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2015년 3월 20일부터 4월 7일 동안 실험집단에는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바탕으로 설계된 교수-학습프로그램을 8차시에 걸쳐 진행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6차시에 걸쳐 미술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창의적 표현력을 측정하는 평가도구는 로웬펠드(Lowenfeld, 1993)가 제시한 창의성 평가요소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2)에서 제시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미술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윤성연(2013)의 연구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번안하여 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이 수업 결과물을 공동 채점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v.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주제표현을 구성하는 창의성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표현방법을 구성하는 창의성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교수법으로 미술수업을 받은 통제집단보다 조형요소와 원리를 구성하는 창의성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초등학교 6학년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트레핑거의 CPS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실제 학교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