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Title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이 창의적 표현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g to Design Class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Creative Expression
Authors
강다원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사회의 키워드는 세계화·다원화로 요약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복잡화되고 다원화된 양상으로 흘러가는 패러다임 속에서 보다 더 창의적인 인간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발맞추어 교육의 방향 역시 창의적인 인재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사실적인 지식전달, 주입식 교육에 치우칠 수 밖에 없는 교육적 환경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다변화의 시대 속에서 예상할 수 없는 크고 작은 문제들에 매번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부딪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입식 교육에서 배운 공식이나 지식을 대입해서 완벽한 답을 구하기는 쉽지 않으며 혼자서 수많은 문제들을 풀어내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 때문에 상황에 따라 유연성 있는 사고 혹은 다양한 각도에서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 동시에 타인과 협력관계를 맺어 대처하는 능력, 열린 태도로 문제를 해결할 창의적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방법론적 대안으로 구성주의 학습모형 중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 이하 PBL 이라 함)이 제시 되고 있으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도 PBL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문제중심학습(PBL)은 교사 위주의 지식전달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전개되며 학습자 스스로가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인식하고 소규모 구성원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방식이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선택 및 활용하고 여러 구성원들과 상호교류를 맺는 수업 환경을 제공하여 서로의 잠재적 창의성을 자극하고 북돋아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문제중심학습(PBL) 이론이 대두되기까지의 개략적인 체계이론과 구성주의를 살펴보았고 본 논문에서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문제중심학습(PBL) 및 현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 창의적 표현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위개념인 창의성의 이론적 접근을 하였고, 창의적 표현력의 개념 및 11세 아동들의 창의적 표현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 연구 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미술수업에서 PBL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 향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시 서대문구 대현동에 위치한 D초등학교 4학년을 연구대상으로 통제집단 19명 실험집단 19명씩 총 38명을 선정하였다. 수업 진행시 실험집단은 총 8차시에 걸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실기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총 6차시에 걸쳐 교사주도의 실기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도구로는 ‘학교 상징 디자인’이라는 주제를 공모전의 형태로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시각디자인 작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상황 설정하였다. 각각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두 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검사 도구는 Lowenfeld(1993)가 제시한 창의성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창의적 표현력 평가도구는 2009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재구성하여 작성하였다. 최종 실기 결과물 평가를 위해 현직 초등학교 교사 2인과 본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이 창의적 표현력 측정 검사도구 평가기준표에 의거하여 채점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수업 평가지를 통하여 수업과정에 관한 성취도와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응답받아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카이스퀘어검정, T-test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 창의적 표현력은 실험집단이 4.70점, 통제집단이 4.26점으로 나타나 통제집단이 실험집단보다 전체 창의적 표현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표현력(t=3.245)은 p<.01 수준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4학년 대상으로 한 디자인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창의적 표현력 점수가 통제집단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기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미술수업이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하는 미술수업보다 창의적으로 표현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다양한 자료 및 정보를 탐색하고 모둠 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한 과정이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미쳤고, 결과물에 있어서 창의적 표현력의 증진을 가져다 준 것으로 판단된다.;The keyword of modern society that we live in could be described as a globalization and a diversification. The world paradigm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diversifying that the world requires human characteristic with more creativity. Following with this paradigm, current educational path is taking on fostering creative minds. However, our educational environment has limitations, such as it only passes knowledge and teachers crams material to students. Moreover, we often face unexpected problems in the era of diversification. To find the answers for the problems, we face hardship as we try to solve them alone, because we still try to apply formula or knowledge that is learned from so called “cramming education”. Therefore, we need an education that would foster a creative talented person who has a flexible think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situations and raise a person with viewpoints that can look at the problem from various angle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ith current educational systems, problem-based learning (PBL), a part of the constructivism learning methods, is suggested. The current trend of educational method is us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This method does not involv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hich passes knowledge from teacher to student. Rather, the method is student-centered; the student solves the problem by acknowledging the problems that are related to real life situations with other teammates.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solution, individuals actively distinguish information needed for them and apply them to the solution. In addition, an instructor provides a class environment that is appropriate for mutual exchange of knowledge from various members. These methods and environment indicate that it will stimulate room for creativity that will increase possibility of solving problem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asoning, I, the research conductor,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technique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This paper outlined systemized theories and constructivism to realize how the method could affect creative expressions. Furthermore, this paper elaborates elementary school’s education and acourse of study to see how effective it is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order to prove improvement in creative expression, the research theoretically used generic approach of creativity, such as looking at a basic background of creativity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expression of 11 years old children. Based on this, the study laid out a design class that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to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how PBL can affect creative expression of 4th graders. To achieve this, a control group and an experiment group were chosen, and each group consists of 19 children, total of 38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at Daehyeon-dong, Seodaemun-gu, Seoul,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eight practical lessons with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six practical lessons led by a teacher. The object and proposal of the class were to produce a symbolic visual design for school. Preliminary examination was taken for equivalence check for eac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was based on creativity measurement questionnaires suggested by Lowenfeld(1993), and creativity expression was measured by edited version of 2009 National curriculum. Three people, two of current elementary teachers and a study conductor, evaluated the scores based on a creativity expression measurement standard mentioned above. Moreover, self-reported reports were collected for study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PBL techniques. These reports were taken for a descriptive statistic, reliabilit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t-test. The summaries of research results are described as below. In terms of measuring creativity expression,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4.70, while the control group scored 4.26, indicating that the control group had a lower creativity expression, and the t-test and reliability test proves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t=3.245), p<.01 In conclusion, a design class with PBL for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a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creativity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in a process of finding a solution, seeking for diverse information and data, as well as communicating with other members had affected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techniques that we can surely assume that these helped the children to increase their creativity when they are making final produc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