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이명화-
dc.creator이명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5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501-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necessary use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t also increases develop education programs and support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However, all of these programs and supports are blamed for the way to educate and support them. Because they are only in a material and temporal way to educate and support, and also there is no educational program and support which is motivating students’ internal technical interest, then making them choose their major based on it and persist their major to get their job that is related to major. In this respect, it is needed to look at the personal variables that might influence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persist their major and prepare their career into their major. The output variables of this study are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sides, personal variables that have an impact on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re explored according to the interest model from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a relationship among engineering self-efficacy,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technical interest,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in engineering majo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the proposed model including influence from engineering self-efficacy,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chnical interest; is valid on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2. Are there direct or indirect effects among influence from engineering self-efficacy, technical interest, and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on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4-yea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Computer Engineering in capital area,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ajor classes for 3 weeks in March, 2015. A total of 428 cases were used in the stud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goodness of fit of the proposed model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found to support the proposed model which included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fluence from engineering self-efficacy,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chnical interest. Ther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odel was fitting for Korean students, and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has proven validity in Korean culture. As a second part of the findings, the direct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First, engineering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and technical interest as previous researches’ results. But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didn'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echnical interest. It implies that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does not influence engineering students’ technical interests. Third,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ngineering self-efficacy. It implies engineering self-efficacy influences to all predicted variables. Thus, it indicat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hich enhance engineering self-efficacy are needed. Fourth,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nfluenced b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echnical interest. It means technical interest influences to all predicted variables.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hich enhance technical interest are needed. Fifth, only major persistence inten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are influenced b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It implies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have higher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because of the high employment rate, but it doesn't affect their technical interest. According to the result, it indicat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hich enhance technical interest by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are nee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solely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n capital area, implies it doesn't represent the whole group of domestic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Also, reconfirming adequacy of the proposed model needs to be followed through attaining more data. Second, since this study measures only by quantitative measure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measure by qualitative measurements. Third, the measurements to analyze engineering outcome expectation, technical interest, and major persistence intention should be developed which is moderated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in Korea. Lastly, the variables that predict major persistence inten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are used personal variables.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add more contextual variables to see what those variables’ influences in the proposed model, and also it would develop the proposed.;대한민국의 미래를 이끌 과학도 육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면서 공과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원이 물질적․시간적 지원에만 국한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으며, 개인의 내적인 흥미를 유발하여 전공을 선택하고 학업을 유지하여, 전공과 관련된 직업을 선택하고, 선택한 직업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교육적․심리적 지원이 부족함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삼원 상호작용모형을 토대로 개인적 요인과 맥락적 요인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학업과 진로와 관련된 흥미, 목표선택 및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Bandura(1986)의 가설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사회인지진로이론(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의 흥미모형을 바탕으로 공학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를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공과계열 대학생이 전공을 유지하여 학업을 지속하는 학업지속의향과 전공 관련 직종으로 진로를 준비하고 계획하는 능력인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 및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공학교육 지원전략의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공학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간의 구조적 관계가 적합한가? 둘째,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공학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간에는 직․간접 효과가 존재 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을 캠퍼스분리 형태로 운영하고 있는 수도권 소재 4년제 A대학교 컴퓨터공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이상의 연구에 따른 연구방법은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에서는 적합도지수들이 RMSEA 값은 .069, CFI 값은 .985, TLI 값은 .976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에 연구모형이 부합함을 확인한 후 연구가설 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를 연구가설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학업지속의향,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학 자기효능감이 결과기대, 흥미,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공학 자기효능감은 결과기대와 흥미, 진로준비행동 모두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과기대가 학업지속의향과 흥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결과기대는 학업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흥미에는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흥미가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흥미는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 모두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학 자기효능감과 흥미, 공학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속의향 사이에서 결과기대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공학 자기효능감과 흥미 사이에서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학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속의향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공학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속의향, 공학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흥미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공학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속의향, 진로준비행동 사이 모두에서 흥미가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결과기대와 학업지속의향, 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흥미의 간접적인 영향을 검증한 결과, 결과기대와 학업지속의향, 진로준비행동 사이 모두에서 흥미가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초기 구조모형은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흥미모형에 근거하여 공학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흥미→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이르는 모형을 상정하였다. 검증된 모형의 이론적 배경인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흥미모형이 우리나라 공과계열 대학생에게도 유효하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공학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흥미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되었다. 둘째,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흥미모형을 기반으로 상정한 개인적 요인인 공학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흥미의 관계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같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결과기대에서 흥미로의 직접적인 관계는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의 흥미모형과는 다르게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선행연구(김민선 외, 2009; 양난미, 2005; 이혜진, 2007; Lent et al., 2008)의 결과를 지지하는 결과이며, 이는 우리나라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 수행 결과에 대한 기대가 전공분야에 대한 흥미를 갖는 것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나타난 결과로 사료된다. 셋째,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공학 자기효능감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되었다. 이는, 공학 자기효능감이 본 연구에 상정된 모든 변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Bandura(1997)는 자기효능감이 성공경험, 대리경험, 언어적 설득에 따라 향상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전공 학습에 대한 체계적인 성공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전공과목의 각 과정을 수준별로 세분화하여 전공 학습에 대한 지속적인 성공 경험의 환경을 제공하고, 담임 교수제도를 이용하여 교수와 학생의 정기적 만남을 통한 지속적 관심과 상담을 통해 전공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대학 정책 및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 내 각 센터와 연계한 다양한 인턴십/현장실습의 활성화로 전공 직무 관련 대리경험을 통하여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의 폭을 넓혀주고, 소셜 네트워크 기반 학습과 문제기반학습을 접목한 팀 프로젝트 활동과 같은 새로운 학습 환경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생들이 학습과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는 원동력을 제공하여 다른 학습자와 교수자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자각하고 전공 수업에서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학생들이 쏟는 정신적 에너지와 노력의 질이 높아질 수 있도록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의 팀 활동을 제공하여 팀활동 효능감과 창의성 효능감을 향상 시키는 대학 정책전략 및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넷째,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흥미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흥미가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공학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효과적인 위계적 교육과정을 위하여 전공지식의 강화와 더불어 전공 흥미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논의된 기존의 캡스톤 프로젝트와 같은 팀 프로젝트 형식의 협동학습(Johnson & Johnson, 1989; Kagan, 1989) 기반의 전공 수업이나 창의적 공학 설계와 같은 창의적 문제해결기반학습(Adesoji, 2008; 홍순원, 이용섭, 2008)형식의 전공수업의 증설 및 개설을 통하여 전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전략을 적용한 대학 정책 및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섯째, 공과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에만 결과기대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결과기대와 흥미의 관계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기 때문에 진로준비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따라 대학에서는 학생 개인의 학업에 대한 결과기대가 전공에 대한 흥미로 발전 할 수 있도록 학업을 마친 후 기대할 수 있는 전공과 관련된 근무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공과계열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둘 수 있는 원동력을 제시하고, 이와 함께 전공에 대한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통하여 학업지속의향뿐만 아니라 진로준비행동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학교와 타 전공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공학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간의 구조모형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측정 방법은 자기보고식 설문에 기반한 양적연구로 진행되었기에 향후 인터뷰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보완한 심층적인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우리나라 공과계열 학생들의 실정에 맞는 결과기대와 흥미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작업 수행을 통해, 보다 정확한 변인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검증된 구조모형에 개인적 변인들 이외에 맥락적 변인들을 추가하여, 이들이 공과대학 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들 간의 복합적인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모형으로의 발전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4 1. 공학 자기효능감 4 2. 결과기대 5 3. 흥미 5 4. 학업지속의향 6 5. 진로준비행동 7 Ⅱ. 이론적 배경 8 A. 사회인지진로이론 8 1. 흥미모형 9 2. 선택모형 10 3. 수행모형 10 B. 공학 자기효능감 11 1. 공학 자기효능감의 개념 11 2. 공학 자기효능감 구성요인 12 가. 전공지식 12 나. 직업의식 12 다. 팀활동 13 라. 창의성 13 3. 공학 자기효능감 관련연구 14 C. 결과기대 15 1. 결과기대의 개념 15 2. 결과기대 관련연구 16 D. 흥미 17 1. 흥미의 개념 17 2. 흥미 관련연구 18 E. 학업지속의향 19 1. 학업지속의향의 개념 19 2. 학업지속의향 관련연구 20 F. 진로준비행동 22 1. 진로준비행동의 개념 22 2. 진로탐색과 직업탐색행동 23 3. 진로준비행동 관련연구 23 G. 관련선행연구 25 1.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개인적 요인 관련연구 25 2. 개인적 요인과 학업지속의향, 진로준비행동 관련연구 26 H. 연구 가설과 모형 29 Ⅲ. 연구방법 31 A. 연구대상 31 B. 연구도구 32 1. 공학 자기효능감 33 2. 결과기대 35 3. 흥미 36 4. 학업지속의향 37 5. 진로준비행동 38 C. 연구절차 39 D. 자료분석방법 40 Ⅳ. 연구결과 42 A.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결과 42 1. 기술통계 42 2. 상관분석 44 B. 측정모형 검증 45 1. 측정모형의 적합도 분석 45 2. 측정모형의 타당도 분석 46 C. 구조모형 검증 51 D. 수정모형 검증 54 E. 간접효과 검증 59 Ⅴ. 결론 및 제언 62 A. 결론 및 논의 62 B.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66 참고 문헌 68 부 록 84 부 록 1 : 설문지 84 부 록 2 : 측정방정식 모형 90 부 록 3 :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 91 Abstract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345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공과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공학효능감과 결과기대, 흥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ructural Relationship for Influencing Major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dc.creator.othernameLee, Myung Hwa-
dc.format.pagexii, 98 p.-
dc.contributor.examiner김영수-
dc.contributor.examiner정재삼-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