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정민-
dc.contributor.author고은지-
dc.creator고은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42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64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78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6479-
dc.description.abstractAs information technology has impacted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ers can access and utilize educational resources from the internet. It indicates learners are creative knowledge producers, and also respond to the others’ activities. Especially, since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has settled in as an important place to communicate for people, everyone can easily share their knowledge. In this respect,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influence of SNS to students in education as well. So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learners’ knowledge creation and sharing. The output variable of this study is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eside,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predicting factors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re explored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whether the learning engagement(cognitive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can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oes the learning engagement(cognitive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medicates to predic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y participative motivation(learning-oriented, activity-oriented, goal-oriented) of learners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2. Does the learning engagement(cognitive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medicates to predic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y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of learners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To prove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learners in a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A total of 81 cases were used th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1986) mediated effect verificat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learning-oriented motivation of participative motivation predicte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t indicates that since adult learners want to learn what they aim to learn, the learning environment should be designed free to share high-quality contents. Also, cognitive engagement completely mediated betwee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emotional engagement completely mediated between learning-oriented motivation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t indicates that learners who consider learning to be important can actively share when learners evaluate themselves in regards to how much they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s and are interested in knowledge sharing.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predicte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Since the learners who have high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recognized the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participated in knowledge sharing. This indicates that learning strategies which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re needed. Furthermore, learning engagement does not have mediator effect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Even though learning engagement does not have a mediator effect, learning strategies enhance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activities by themselves. Because learning engagement has a direct effect 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 First, a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solely a SNS community, which implies it does not represent the whole group of domestic learners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generalize these findings. Second, since this study was measured only by quantitative measure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the measure by qualitative measurements. Third, this study analyses predictability of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terms of cognitive side is based on individual differences, and also did not consider specific quality and environment of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sider specific quality and environment of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and construct a learning community platform. This study set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s factors that predict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and verified a mediator effect of learning engagement. This study purposes to offer a basic research to vitalize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and expects to be the source activation of further thoughtful researches and positive learning community.;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공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수동적이었던 학습자는 능동적인 참여자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창조적인 지식의 생산자이며, 다른 사람들의 활동에 반응하는 소비자임을 의미한다.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가 사람들 간의 중요한 소통의 공간으로 자리 잡으면서 누구나 손쉽게 지식을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학계에서도 SNS가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요인을 규명하는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가 학습자들의 지식창출과 공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식공유를 측정할 수 있는 준거변인으로 지식공유의도를 설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참여 동기(학습지향형 동기, 활동지향형 동기, 목표지향형 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설정하였다. 또한, 학습몰입(인지적 몰입, 감성적 몰입)이 참여 동기 및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SNS기반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참여 동기(학습지향형 동기, 활동지향형 동기, 목표지향형 동기)가 지식공유의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학습 몰입(인지적 몰입, 감성적 몰입)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2. SNS기반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지식공유의도를 예측함에 있어서 학습 몰입(인지적 몰입, 감성적 몰입)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SNS에서 자발적으로 형성되어 활발하게 지식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공동체 중 스마트교육 관련 학습공동체를 선정하여 그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85부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 4부를 제외한 81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계적 자료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연구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동기의 유형 중 학습지향형 동기유형이 지식공유의도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성인학습자는 자신이 목표하는 바를 학습하고자 하므로 학습몰입을 강화하고 양질의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자유로운 분위기의 학습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또한, 참여 동기 중 지식공유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한 학습지향형 동기유형과 지식공유의도 사이에서 인지적 몰입은 완전 매개하며, 감성적 몰입은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이 목표한 학습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해 스스로 평가하고 지식공유에 대해 흥미를 느낄 때, 학습자체를 중시하는 구성원들에게 활발한 지식공유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지식공유의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이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구성원이 지식공유의 효과를 실감하여 지식공유에 적극적으로 임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반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지식공유의도에 대한 학습몰입의 직접적인 영향이 유의하므로 학습자가 자발적으로 지식공유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대상인 학습공동체에서 구성원의 일부를 분석한 결과이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점을 가진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다양한 학습공동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선정된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응답자의 지각과 실제 상황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게시 글 수 등의 다양한 측정방법을 보완하여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선정된 변수들은 구성원 개인에 초점이 맞추어 있어 개인적 차이에 기반 한 인지적 측면에서의 지식공유의도에 대한 예측력을 분석하고 있고, SNS기반 학습공동체의 구체적 특성과 상황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의 범위를 확장시켜 SNS의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여 학습공동체 구성을 위한 플랫폼 구축에 대한 연구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SNS기반의 학습공동체에서 지식공유의도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참여 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설정하고,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지식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SNS 기반의 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한데 그 의미가 있으며, 자발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깊이 있는 후속연구와 학습공동체 활성화에 대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1. SNS기반 학습공동체 5 2. 참여 동기 5 3. 자기주도학습능력 6 4. 학습몰입 6 5. 지식공유의도 7 Ⅱ. 이론적 배경 8 A. SNS기반 학습공동체 8 B. 참여 동기 9 1. 성인학습자의 참여 동기 9 2. 참여 동기의 유형 11 C. 자기주도학습능력 13 D. 학습 몰입 15 E. 지식공유의도 17 1. 지식공유 17 2. 지식공유의도 19 F. 관련 선행 연구 21 1. 참여 동기와 지식공유의도 21 2.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도 22 3. 참여 동기와 학습몰입 23 4.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 25 5. 학습 몰입과 지식공유의도 26 G. 연구가설과 모형 27 Ⅲ. 연구 방법 29 A. 연구 대상 29 B. 연구 절차 30 1. 선행연구 분석 30 2. 설문조사 실시 31 3. 결과 분석 31 C. 연구 도구 32 1. 참여 동기 32 2. 자기주도학습능력 34 3. 학습 몰입 35 4. 지식공유의도 36 D. 자료 분석 방법 37 Ⅳ. 연구결과 42 A. 기술통계 42 B. 상관분석 45 C. 다중회귀분석 46 1. 참여 동기와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 47 2.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 51 Ⅴ. 결론 및 제언 55 A. 결과에 대한 논의 56 1. 참여 동기와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 56 2.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 58 B.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59 참고 문헌 63 부록 73 ABSTRACT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5433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SNS 기반 학습공동체 구성원의 참여 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식공유의도의 관계에서 학습 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 eng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dc.creator.othernameKo, Eun Ji-
dc.format.pageix, 83 p.-
dc.contributor.examiner정재삼-
dc.contributor.examiner조일현-
dc.contributor.examiner이정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dc.date.awarded201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