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Integrated Approach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 to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 A Case of Picture Autobiography Making Activity
Authors
임수연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As adolescents should prepare for an independent life of a full grown person, they are given an important task of establishing appropriate self-concept. A crisis in an adolescent period can lead to the pathology of identity even in adult life. As they establish new perspectives and visions on themselves with rapid physical change and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s, school education should aim to form desirable self-concept in free self-expression and amiab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in the information age of the 21th century, as we need capacity to eclectically adopt flooding diverse media and information, the education field is required not to obtain fragmentary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to pursue collective knowledge. To rationally resolve many different phenomena and problems in modern society,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s required, rather than divisional education system. To resolve a complicated problem, a prerequisite is smooth, flexible ability to react that equips with integrated accumulated knowledge in many different fields. To develop such an ability, an integrated approach should be utilized in education. Integration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 can enhance general insight and thinking ability from many different perspectives by developing self-expression and creativit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subjects. As they have characteristics to deliver ideas, and enhance self-concept through self-expression. Based on this assumption,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grated approach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 on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looking back on their past, grasp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planning the future, designed was the 'picture autobiography making' program where in-depth self-exploring and various self-expression activities. To achieve this, a prerequisite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subject integr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an integrated approach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 and contemplate the meaning of self-concept and theoretical basis of this research by summarizing the importance of self-concept formation of the adolescent period. Further, after analyzing textbooks of the two subjects and establishing class units, developed was the 'picture autobiography making' teaching-learning program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 In this research, 1st-year students of two classes at D middle school located in Yeongdeungpo-gu, Seoul, participated for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following groups by clas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fulfill research objectives and outlines, the program through integrated approac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the conventional divisional class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homogeneity on 28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subjects of the control group, and after class, a post self-concept test, practical skill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were conducted. For a measuring tool, used was the self-concept scale of Song In-sub (1982) that was corrected and supplemented for this research, meanwhile for practical skill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were conducted by devising a score criterion table with questionnaire items based on accomplishment criterion of art and Korean subjects. For statistical data processing on quantitative outcome, SPSS Ver. 21.0,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and for a part that cannot be analyzed by statistical verification, results was deriv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herein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n which program was conducted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art and Korean subjects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post test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which conventional divisional class was conducted. Although the self-concept is improved in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ittle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5 subordinate domains (i.e. general, study, society, family, and emotion) of the self-concept and the overall self-concep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art and Korean subjects applied to this research exerted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results obtained from analysis on practical results based on score criterion by factor of practical skill evaluation demonstrates that a distribution chart belonging to a level of high accomplishment showed noticeab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score in a domain of topic selection. This indicates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fineart and Korean subjects showed improvement in a level of practical results, which notably exerted positive effect on a domain of topic selection. Third, results derived from analysis on self-assessment demonstr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 score in all items such as self-exploring evaluation, practical skill evaluation, and attitude evalu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indicates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art and Korean subject affected satisfaction in class, and exerted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class by motivating learners to lear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an integrated approach of art and Korean subjects exerted positive effect on self-concept form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served as a role in improving a level of practical skill result, motivation, and interest. Ultimately, the author expects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in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valuable alternative for actual education spots, and th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e development of more effective, quality teaching-learning program in education spots in future with consistent research efforts on an integrated approach of fine art and Korean subjects.;청소년기는 완전한 성인이 되어 주체적인 삶을 살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하므로 올바른 자아개념의 확립이라는 중요한 과업을 가진다. 이 시기의 위기는 성인이 된 이후에도 정체성의 병리로 이어질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급격한 신체변화와 인지적, 정의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자아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전망을 확립하게 되기 때문에 학교에서도 자유로운 자기표현과 원만한 인간관계 속에서 바람직한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에 교육의 목적을 둘 필요가 있다. 한편, 21세기 정보의 시대에서는 쏟아지는 다양한 매체와 정보 속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취사하여 선택하는 능력이 필요하므로 교육현장에서도 단순한 지식과 정보의 획득이 아닌 총체적 지식의 추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현대사회의 다양한 현상이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과주의적인 교육형태보다는 통합주의적인 교육체제가 필요한 것이다. 복합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 여러 분야에서 통합적으로 축적된 지식들을 동원하는 유연하고 융통적인 대처능력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능력의 개발을 위해서는 통합적인 접근을 통한 교육이 유용하다.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은 두 교과의 공통적 특징인 자기표현과 창의성 개발을 통해 총제적 안목과 다양한 관점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교과는 의사를 전달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어 자기표현을 통해 자아개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중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자신의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를 탐색한 후에, 미래를 계획하면서 깊은 자기탐색과 다양한 자기표현 활동이 이루어지는 ‘그림 자서전 만들기’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과통합의 개념 및 필요성과 유형, 중학교 미술과와 국어과의 내용체계와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의 의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자아개념의 의미와 청소년기의 자아개념 형성의 중요성을 정리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두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수업의 단원을 설정한 후,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그림 자서전 만들기’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영등포구에 소재한 D중학교 1학년 두 학급의 학생으로, 학급별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통합적 접근을 통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분과식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실험집단 28명과 통제집단 28명의 학생의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수업이 끝난 후 사후 자아개념 검사와 실기평가,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송인섭(1984)의 자아개념 측정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실기평가와 자기평가는 미술과와 국어과의 성취기준에 의거한 문항으로 채점기준표를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양적 결과에 대한 통계적 자료처리는 SPSS Ver.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으로 분석이 어려운 부분은 질적 분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로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분과식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보다 자아개념 사후검사에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자아개념이 향상되었으나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일반, 학업, 사회, 가족, 정서 자아개념의 5개의 하위영역 모두와 전체 자아개념에서 유의미한 향상도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적용한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실기결과물을 실기평가 요소별 채점 기준표에 의거하여 분석한 결과, 높은 성취수준에 속하는 작품의 분포도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눈에 띄게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집단은 주제선정의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실기결과물 수준의 향상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주제선정의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기평가지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탐색평가, 실기평가, 태도평가’의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수업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여 수업에 대한 참여도와 흥미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중학생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실기결과물 수준의 향상과 동기유발과 흥미향상에 도움을 주었음을 검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현장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앞으로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이고 질 높은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