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3 Download: 0

미술과와 연계된 자유학기제 선택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과와 연계된 자유학기제 선택프로그램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n Career Identity, an Art-Based Free Semester Program For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조은혜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매번 PISA(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최 상위권의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들의 주관적 행복지수는 연속 OECD 최하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교육 방향이 이제는 입시결과 중심이 아닌 학생 각 개개인의 행복 추구에 맞추어져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이런 필요에 발맞춰 정부에서 내놓은 교육정책이 ‘자유학기제’이다. 자유학기제는 학생들의 꿈과 끼를 발견하고 찾아내어 행복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는 전국적으로 25%의 학교에서 시범·운영 중에 있으며 2016년에는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 될 예정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자유학기제의 운영에 대한 준비와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교육방법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미술교과와 연관된 체험 중심의 선택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에서 비교적 강조되어 있는 편이긴 하지만 타 교과와의 연계, 융합을 통해 적절한 진로 선택을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그 연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 수업을 위해 연구 개발한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이 진로교육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데 두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문헌과 선행연구 결과들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진로교육과 그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미술교육과 연관된 중학 과정에서의 진로교육의 의의와 그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토대로 자유학기제의 배경 및 기본적인 정책사항을 살펴보고 중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였다. 둘째, 미술교육과 연관해 새롭게 개발한 자유학기제 선택프로그램을 가지고 12차시 수업을 2014년 8월 초부터 10월 말까지 서울시 소재 S중학교의 자유학기제 광고 디자인 반을 선택한 중학교 1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실제 적용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 시행한 프로그램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수업 시작 전과 수업 끝에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진로성숙도 검사지를 이용,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 검증을 분석하고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파악,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연계한 자유학기제 선택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전과 사후 진로성숙도의 총점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능력영역의 총점 및 세 가지 하위영역의 평균이 사전검사 평균보다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검사결과 능력영역의 세 가지 하위영역이 모두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므로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검증이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의 자기성찰 능력과 현실적인 정보탐색 및 희망직업에 대한 지식이 실제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행동영역의 총점 및 하위영역의 평균이 사전검사 평균보다 상승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5). 이를 통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탐색 준비행동에 대한 탐색과 준비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검사결과 행동영역의 사후 평균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므로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검증이 확인되었으며, 학생들의 미래에 성공적인 진로와 직업을 선택하기 위한 실천과 행동의 준비단계에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자유학기제 선택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진로 선택을 할 때 나아갈 방향에 도움을 얻고 미래를 설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Korea has ranked lowest among OECD member states in terms of the recent global teenagers happiness index, although Korean students have performed highest in the PISA(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study. It suggests that the Korean education system has been focused on the process of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inations, rather than cater for the dreams and happiness of their students. The government has created a new educational policy, the "Free Semester System" to cater for this other need. The free semester system is a policy to help students find their dreams, discover their talents, and pursue education for knowledge's sake. It has been given a trial run in 25% of Korean schools. This system will be implemented in every middle school in 2016. However, the search and study about effective way for the substantial progress of the system are rare. Because of the various art-related programs based on practice, the importance of studying educational methods is growing for helping students to seek their careers throughout the connection with art-major and others. This study was proposed to examine the art-related free semester program, and determine whether it is effective in providing career guidance for Korean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First, past studies and documents were used to review existing middle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 conception and significance of art and career education, the study clarified the importance of the career program in the middle school. Second, an art-related free semester program (a design & advertisement class) was developed. Thirty-three students from 1st Grade in the S Middle School in Seoul were enrolled in this program from early August 2014 to late October 2014. Third, the program was monitored using the Career Identity Inventory (CMI) test provid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o measure the 33 students before and after this program. From th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with in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SPSS 22.0, drawing a meaningful conclusion of this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