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8 Download: 0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서 PBL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서 PBL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Application of PBL to Design Class for High School Freshmen on their Creative Expression
Authors
김정아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숙영
Abstract
현대의 다변한 사회에서 학교 교육은 근본적으로 지식의 전이를 고려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학습자는 자신의 실생활 속에서 활용 가능한 지식을 학습해야 하고, 이러한 지식은 그와 유사한 상황의 문제 해결을 통해 쌓을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학교 교육에서는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지식의 전달의 방식을 따르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현행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가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기 위하여 지식 전달식, 교사중심적, 개별학습 중심의 학습 환경을 지양하고, 삶과 연계시킨 통합적 접근의 교육환경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개인 학습자의 개별성은 물론 동시에 타인과의 소통과 같은 관계성을 중시하도록 그 방향성을 설정하고 있다. 그 방법론적 대안으로 구성주의의 학습모형 중 하나인 문제중심학습모형(Problem based Learning; 이하 PBL이라 함)이 실제 교육현장에 대두되어 많은 실제적 연구 사례를 보이고 있다. PBL은 실생활과 관련된 실제적 과제(authentic task)의 성격을 가진 문제를 가지고 학습자가 자기주도적이고 협동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모형으로써 다양한 성취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여러 구성원들과의 사회적인 상호교류는 서로의 잠재적 창의성을 자극하고 발현시키며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PBL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발현되는 창의성과 디자인프로세스와의 관련은 학습자의 창의적인 수행 과정을 고무시켜 창의적 산출물을 내는데 있어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창의성과 미술의 창의적 표현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PBL을 적용한 다양한 디자인 수업의 사례들을 고찰하였다. 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과 창의성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신혜림(2009)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디자인수업을 통하여 창의적 표현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고, 강인애(2010) 또한 PBL에 기반한 디자인 수업을 통해 초등 고학년의 창의 인성 능력 함양에 관하여 검증하였다. 현민영(2009)과 남신해(2009)는 회화 표현 미술 수업에 PBL을 적용하여 창의적 표현력과의 관계를 밝혔다. 박경숙(2003)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 입체조형 수업에서 PBL의 적용이 창의성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하였다. 종합하면, PBL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에서 창의적인 미술 표현과의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상대적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 사례가 적은 편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문화 과목에의 적용사례 연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의 디자인수업에서 PBL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Y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각 2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 각 집단에 대해 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과, 전통적 실기수업 방식의 디자인수업을 총 8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업도구로는 실제 학교의 상황과 관련이 된 디자인 관련 과제를 공모전의 형태로 시나리오를 제시하여 교내 카페의 홍보를 위한 시각디자인 작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상황 설정을 하였다. 시각 디자인 작업을 위해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문제해결계획을 세우고, 자료를 탐색하며 실제 실행가능 한 형태로 제작해 봄으로써 창의적인 표현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각각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사전 검사를 통해 동질성을 검증한다. 그리고 Lowenfeld(1993)가 제시한 창의성의 구성 요소를 토대로 용재현(2008), 조화영(2009), 윤성연(2013)이 제시한 창의적 표현력 검사지를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작성하였다. 이 후 수업 결과물은 2인의 현직 미술교사와 본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이 평가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수업과정에 관한 성취도와 만족도를 설문을 통하여 응답 받았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SPSS(S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수업에서 PBL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주제표현과 관련한 평가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미한 증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수업에서 PBL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표현방법과 관련한 평가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미한 증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수업에서 PBL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은 조형요소와 원리와 관련한 평가항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아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더 유의미한 증진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 수업에서 PBL의 적용은 학습자의 창의적 표현력 증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디자인수업에서 PBL의 적용이 창의적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PBL을 적용한 디자인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입시위주의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미술과 수업의 실천사례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를 갖는다;In ever-changing society of modern times, the school education should, essentially, be the one considering the transformation of knowledge. Learners should learn knowledge they can practice in their lives, and they can build up this knowledge through solving problems in a similar situation. However, the school education, still, follows the method of providing abstract and conceptual knowledge. Accordingly, the current art curriculum emphasizes educational environments of integrative approach linked to life to develop autonomous and creative men required in the 21st century, while it rejects knowledge transmission, teacher-focused and individual learning-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In addition, its direction has been set up so as to attach importance to relationships like communication with others as well as each learner’s individuality. Problem Based Learning (hereafter, “PBL”), one of the learning models of constructivism came to the fore as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cases of practical study. PBL is a learning model in which learners solve problems through a series of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courses with an issue of an authentic task related to their daily lives, which has a variety of achievement goals. In particular, social interaction with various members stimulates and reveals each other’s potential creativity,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problem-solving. In additi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PBL and design process encourages the learners’ creative process of performance, so it may bring about a considerable synergy effect in producing creative works.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and creative expression in art and discussed various examples of PBL-applied design class. To look at the preceding studies of PBL-applied design class and creativity, Shin Hae-rim (2009) proved that a PBL-applied design class improved creative expression in the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Kang, In-ae (2010) also verifie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and creativity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a PBL-based design class. Hyeon, Min-yeong (2009) and Nam, Shin-hae (2009) applied PBL to an art class of painting expression and identified its relationship with creative expression. Park, Kyeong-suk (2003) explained in a three-dimensional molding class for th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at the application of PBL had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To sum up,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BL-applied art class and creative art expression. However, currently, there are relatively less instructional practice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ase studies of its application to high school art and culture course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us,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the impacts of the application of PBL to a design class for high school freshmen on the improvement of their creative expressions. For this purpose, 50 freshmen in Y. High School located in Paju, Gyeonggi-d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25 students each, and a PBL-applied design class and a traditional practice-based design class were conducted a total of eight class hours. As a teaching tool, a scenario of design assignment related to the actual situation of the school was suggested in the form of a public invitation: the production of a work of visual design for the public relations of the school cafeteria. It aims to improve the learners’ creative expressions by taking the lead to set up problem-solving plans for the work of visual design, exploring materials and producing a work that can be practicable.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s verified through a pre-test. In addition, the creative expression test proposed by Yong Jae-hyeon (2008), Cho Hwa-yeong (2009) and Yun Seong-yeon (2013) based on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proposed by Lowenfeld (1993) was modified fo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n, the results of the class were evaluated by three persons, two in-service art teachers and the researcher. In addition, responses to a survey 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ere collected through the learners’ self-evalu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S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er 20.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the PBL-applied design class as the students got higher scores in evaluation item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them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the PBL-applied design class as the students got higher scores in evaluation items related to the method of express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hird, it turned out that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the PBL-applied design class as the students got higher scores in evaluation items related to molding elements and principle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PBL to a design class for high school freshmen has very positiv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ers’ creative expressions. Like abov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PBL-applied design class by looking into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PBL in design class for high school freshmen on their creative expressions. Also, it has significance as a basic material to expand practical examples of art class in academic high school focused on college entrance ex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