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47 Download: 0

에너지와 육류 소비에 의한 우리나라 환경 영향 추이와 예측

Title
에너지와 육류 소비에 의한 우리나라 환경 영향 추이와 예측
Other Titles
Trends and predictions of the influence of energy and livestock consumption on the environment in South Korea: Predictions of the ecological footprint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resulting from implementation of energy policies and changes in bovine meat consumption behaviour
Authors
여민주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대학원 환경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용표
Abstract
As a result of rapid industrialization, Korea’s demand on nature and its ecological footprint (EF) have experienced a steep increase. Thus, ‘overshoot’ situations, where the total demand for ecological goods and services exceeds the available supply for a given location, are intensifying. The main reason for this overshoot is the consumption of natural resources, such as energy and food. In this study, influences on the environment through the consumption of energy and livestock have been quantified by using the EF as an integrated consumption-based indicator.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follows: (1) Trends in the EF of energy, cropland, grazing land, and livestock consumption for the last 50 years were shown and analytically discussed. The method for estimation of the EF from livestock consumption is described in chapter II, (2) Influences on the environmen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energy policies, as described by the 2nd Energy Master Plan (EMP), were predicted and are presented in chapter III, and (3) Influences on the environment through changes in consumption behavior, i.e., diet choice, are presented in chapter IV. The main results are as shown below. (1) The EF of energy, cropland, and grazing land have increased steadily over the last 50 years. Increasing trends in imports and consumption are noticeable, and the ratio of imports to consumption has also increased. The EF of energy, cropland, and grazing land are results of livestock consumption have increased continuously. (2) The NF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for the Business As Usual (BAU) and Targeted (TAD) case were calculated for 2025 and 2035. If the target suggested in the 2nd EMP is achieved, the EF would be reduced by 2035 by a quantity corresponding to 70% of the sum total of the EF of cropland and grazing land in 2009. However, the NF in 2035 would increase markedly compared to the EF in 2009, even in the case where the target suggested in the 2nd EMP is achieved. (3) The EF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resulting from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were calculated for the last 50 years, following scenarios for the reduction of the consumption of bovine meat. The EF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imported bovine meat were larger than those from domestically produced bovine meat. Thus, the proportional reduction of the EF, the supportable population number, and the reduction of the carbon dioxide emission amount were all largest in accordance with the scenario for the reduction of the consumption of imported bovine meat’. The EF trends by land type from the consumption of energy, crops, and livestock at a national scale presen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e useful for future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policy. Also useful in climate change plans and policy are the predictions of carbon dioxide emissions estimated by applying the prediction results of energy demands from the 2nd EMP and the recomme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greenhouse gases reduction target in response to the post-2020 climate change regime. The quantific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effect on the self-sufficiency rate of crops by livestock consumption are expected to be meaningful. A particularly significant feature of this study was the attempt to adopt a consumption-based approach. It was thus possible to quantify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hanges in consumer behavior and to estimate the effects on the self-sufficiency rate of food. The effect of behavioral changes in bovine meat consumption on the environ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consumers’ choices and related policies in the future.;현재 우리나라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수요가 생물학적인 공급 또는 회복 능력을 초과할 때 발생하는 오버슈트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간의 식량과 에너지 등 환경자원 소비가 오버슈트를 심화시켜왔다. 본 연구는 오버슈트가 심화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에너지와 육류 소비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에 기반한 통합지표인 생태발자국(Ecological Footprint, EF)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1) 우리나라의 지난 50여 년간 에너지와 농작물, 육류에 의한 환경 영향 추이를 살펴보았고, 육류 소비에 의한 환경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방법론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2) 에너지 정책에 의한 환경 영향을 예측하고, (3) 쇠고기 소비 행태 변화를 통한 환경 영향을 예측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에너지와 육류 소비에 의한 환경 영향을 II장에서 살펴보았다. 육류 소비에 의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방법론을 추가 및 수정하여 정리하였고, 정량화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지난 50여 년간 환경자원 소비에 따른 에너지발자국(Energy Footprint, NF), 경작지발자국, 초지발자국은 지속적으로 증가해왔으며, 세 부문 모두 특히, 수입과 소비에 의한 증가가 두드러졌다. 그리고 소비에서 수입에 의한 비중 역시 증가해왔다. 육류 소비에 의한 경작지발자국, 초지발자국, NF는 지난 50여 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육류 소비가 부문별 EF에 기여한 비중을 살펴본 결과, 육류 소비로 인한 수입의 발자국들이 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육류 소비 증가가 경작지발자국, 초지발자국, NF의 수입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에너지 정책에 의한 환경 영향을 III장에서 살펴보았다. 2014년에 발표된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시하는 2030년과 2035년의 에너지 수요 기준량(Business As Usual, BAU)과 목표량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NF를 산정하였다.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제시하는 2035년 최종에너지 수요 저감 목표가 달성된다면,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NF는 크게 저감된다. 하지만, BAU 값 자체가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20 국가온실가스 감축 목표에 비해, 그리고 2009년 EF에 비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 쇠고기 소비 행태 변화에 의한 환경 영향의 변화를 IV장에서 살펴보았다. 환경 영향과 자급도 측면에서 우려가 되는 쇠고기 소비에 의한 지난 50여 년간 환경 영향 추이를 EF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살펴보았고, 쇠고기 소비 저감에 의한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각 시나리오별 EF와 이산화탄소 배출량 결과를 살펴보았다. 쇠고기 소비 저감 시나리오별 EF와 이산화탄소 배출량 결과를 살펴보면, 수입 쇠고기의 환경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입 쇠고기의 소비만 줄이는 시나리오에서 EF 저감 비율과 오버슈트 저감율이 가장 높았고, 지탱가능한 인구수도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량 역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국가 규모의 에너지와 농작물, 육류 소비에 의한 부문별 EF 추이는 앞으로의 환경 관리 및 정책방향 설정에 유용할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서 전망한 에너지 수요를 반영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예측한 결과와 이를 통해 신기후 체제(Post-2020)에서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설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것은 관련 국가 정책과 계획 수립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그리고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은 육류 소비에 의한 환경 영향을 정량화하여 살펴보고, 가축 소비가 곡물 자급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한 것은 앞으로의 식량 관련 정책에 의미있는 결과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는 소비에 기반한 접근을 시도한 점이다. 소비에 기반하였으므로 소비자의 행동의 변화에 의한 환경 영향을 정량화할 수 있었고, 식량자급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볼 수 있었다. 쇠고기 소비 행태 변화에 의한 환경 영향 결과를 통해 행동의 변화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다는 것을 파악한 것은 향후 소비자의 선택과 관련 정책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환경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