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인령-
dc.contributor.author송혜지-
dc.creator송혜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32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32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건반악기 연주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능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해 I지역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을 이용 중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주 2회 40분씩 14회기 동안 연구자가 계획한 건반악기 연주활동을 실시하였다. 건반악기 연주활동은 과제분석을 통해 활동을 세분화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건반악기는 멜로디언, 전자키보드, 그랜드피아노였고, 지적장애아동은 연구자가 제작한 2선 악보와 색깔악보를 보면서 건반악기를 연주하였다. 또한 매 회기마다 신체활동과 유율타악기 연주활동을 병행하여 신체기능, 색깔 구별, 계이름 인지, 악보 읽기와 같은 능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했으며, 마지막 회기에서는 연주발표회를 진행하여 과제수행능력의 변화를 최종적으로 확인하였다.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건반악기 연주활동을 진행하기 전·후에 한국판 K-ABC(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의 6가지 하위 검사,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 아동 색 선로 검사(Children’s Color Trails Test, CCTT)를 실시하였다. 또한 건반악기 연주활동 진행 과정과 기관 내 수업시간에서의 대상자들의 과제수행태도를 관찰하여 내용분석을 통해 태도가 변화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건반악기 연주활동에서의 대상자들의 과제수행태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이 건반악기 연주과제수행에 참여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자발성, 착석행동, 적응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수업시간에도 일관성 있게 관찰되었고, 척도검사결과에도 반영되어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에 과제수행능력이 증진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건반악기 연주활동이 과제수행에 필요한 시·청각적 정보의 처리능력, 주의력, 판단능력을 향상시켜 과제수행태도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반악기 연주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유용한 전략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교수법을 함께 활용했을 때 효과성이 높아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상을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경도 지적장애아동으로 한정하고, 건반악기를 중점적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is case study explores how a 'keyboard instrument activity program' can improve the task performance cap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that end, a 'keyboard instrument activity' was conducted on 3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y were using a rehabilitation facility for the disabled in I region. The 14-session activity was conducted 40 minutes a day, twice a week. The activity with detailed items was creat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a task analysis. As for keyboard instruments, melodion, electronic keyboard, and grand piano were use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played the keyboard instruments while looking at 2-line sheet music and colored sheet music created by the researcher. During each session, physical activities and melodic percussion instrument activity were also conducted to improve the following in a stepwise manner: physical functions; color distinction; syllable name recognition; reading sheet music. During the last session, a recital was held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ir task performance capability. Such changes in their task performance capability were measured as follows, First, 6 sub-tests of 'K-ABC(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Stroop Word-Color Association Test' and 'Children's Color Trails Test(CCTT)' were conducted. All the testing was done through Korean versions before and after the 'keyboard instrument activity'. Also, the activity process and task performance attitude of the subjects were observed in a class of their institution. By analyzing those aspects, the changes in their task performance capability were examin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When their task performance attitude was analyzed, the time spent on engaging in the activity tasks increased over time. Also, their spontaneity, seating behavior, and adaptive behavior were improved. Such effects were observed consistently in the class. The scale test also showed that their task performance capability was improved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findings confirm the following. The keyboard instrument activity actually improved their ability to process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attention, and judgement. As a result, it improved their task performance attitude. The findings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Keyboard instrument activity can be used as a useful strategy to improve the task performance cap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lso, the effectiveness can increase when multiple teaching methods are used together. The significance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targeted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eiving integrated education in a elementary school. Second, it used keyboard instruments as the main tool in the activ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용어의 정의 6 1. 지적장애아동 6 2. 과제수행능력 6 3. 건반악기 연주활동 6 Ⅱ. 이론적 배경 7 A. 지적장애와 인지 7 1. 지적장애의 개념 및 분류 7 2. 지적장애아동의 인지적 특성 8 B. 과제수행능력과 과제분석 9 1. 과제수행능력의 개념 9 2. 과제분석의 개념 9 3. 지적장애아동과 과제수행능력 10 C. 건반악기 연주활동의 치료적 접근 12 1. 건반악기 연주활동의 치료적 활용 12 2. 건반악기 연주활동과 과제수행능력 13 Ⅲ. 연구방법 15 A. 연구대상 15 1. 대상자 선정 15 2. 대상자 배경정보 16 B. 측정도구 18 1. 한국판 K-ABC 18 2. 한국판 스트룹 아동 색상-단어 검사 20 3. 한국판 아동 색 선로 검사 21 4. 과제수행도 비교 21 5. 과제수행태도 비교 22 C. 연구 설계 23 1. 연구 기간 및 절차 23 2. 프로그램 구성 23 3. 프로그램 진행 전략 27 Ⅳ. 결과 및 논의 30 A. 연구결과 30 1. 과제수행능력의 변화 30 2. 과제수행태도의 변화 44 B. 논의 51 Ⅴ. 결론 및 제언 56 A. 결론 56 B. 제언 58 참고문헌 60 부록 65 ABSTRACT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368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능력 증진을 위한 건반악기 연주활동 적용 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ses of Using Keyboard Instrument for Improving the Task Performance Cap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c.creator.othernameSong, Hye Ji-
dc.format.pagev, 94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contributor.examiner송인령-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