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김잔디-
dc.creator김잔디-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07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5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4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5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신입 음악치료사들이 현장에서 사용하는 음악치료 관련 기술의 활용도와 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음악치료 관련 기술은 음악기술, 치료기술, 치료외적기술 세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조사는 현장 경력 3년 이하의 신입 음악치료사 70명에게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65부 중 정규 자격증 발급 기관를 통해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취득한 60명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항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각 연구 문제에 따라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음악기술 영역에서는 가창기술의 활용도(3.33)와 요구도(3.43)가 높았고, 치료기술 영역은 치료계획의 활용도(3.46)와 요구도(3.69)가 높게 나타났다. 치료외적기술 영역의 경우 상담기술의 활용도(2.98)과 요구도(3.64)가 높게 조사되었다. 이와 같이 음악치료 기술들의 활용도와 요구도가 높은 기술들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상자들이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들을 적절히 파악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입 음악치료사들의 활용도와 요구도 응답이 특정 기술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자들이 주로 장애관련기관(55.4%)에서 근무하므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기술과 필요한 기술을 유사하게 인식함을 보여준다. 음악치료 관련 기술의 활용도 수준은 치료기술(3.04), 음악기술(2.81), 치료외적기술(2.4) 순으로 높았다. 요구도 수준은 치료기술(3.47), 치료외적기술(3.35), 음악기술(3.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과정에서 훈련받는 음악기술, 치료기술이 현장에서 적절히 활용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치료외적 기술인 상담기술, 직무 스트레스 관리기술은 교육과정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지만,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치료외적 기술의 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진입 전 교육과정에서 훈련이 필요한 기술들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신입 음악치료사들의 현장 내 요구 조사는 예비 음악치료사들에게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use and needs of music therapy skills of novice music therapists in clinical practice.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in this respect. Music therapy skills were scrutinized in 3 subcategories, i.e. musical skills, therapeutic skills, and extra-therapeutic skills. The questionnaire was delivered to 70 music therapists, who had less than three years of professional practice experience and a total of 65 responses were collected. Therefrom only 60 music therapists certifi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Music Therapists and the Korean Music Therapy Association was included for analysis. Ch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measurement reliabilit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as carried out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singing skills were the most highly used (3.33) and needed (3.43) skills among musical skills and skills in treatment planning were the most used (3.46) and needed (3.69) skills among therapeutic skills. Regarding extra-therapeutic skills, counselling skills were rated to be most used (2.98) and needed (3.64). Thus music therapy skills most needed coincided with the skills most used. This indicates that novice music therapists were able to recognize skills most needed in clinical practice and apply it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most music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mostly engaged in similar clinical settings, dealing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may had an influence on this result. The most used music therapy skills among the subcategories were therapeutic skills (3.04), musical skills (2.81) and extra-therapeutic skills (2.4) followed subsequently. Moreover the most needed music therapy skills among the subcategories were therapeutic skills (3.47), extra-therapeutic skills (3.35) and musical skills (3.20) followed subsequent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training of musical skills and therapeutical skills in the music therapy academic programs are appropriately exploited. Extra-therapeutic skills such as, counselling skills and work-related stress management are not exclusively incorporated in music therapy academic programs, however the results stress the needs for training regarding this area. The results presented may provide information on demands of training areas in music therapy academic programs and aid preservice music therapis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음악치료 교육과정 7 1. 음악치료 교육과정 7 2. 음악치료사의 전문성 9 B. 음악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역량 10 1. 음악치료사의 임상기술 10 C. 신입 음악치료사의 중요성 14 1. 신입 음악치료사의 어려움과 극복요인 14 Ⅲ. 연구방법 17 A. 설문 대상자 17 B. 설문지 구성 및 내용 17 C. 연구절차 20 1. 예비 조사 20 2. 본 조사 21 D.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2 Ⅳ. 결과 및 논의 23 A. 신입 음악치료사의 설문지 분석결과 23 B. 음악기술, 치료기술, 치료외적기술의 활용도 28 1. 음악기술의 활용도와 활용수준 29 2. 치료기술의 활용도와 활용수준 30 3. 치료외적기술의 활용도와 활용수준 31 C. 음악기술, 치료기술, 치료외적기술의 요구도 32 1. 음악기술의 요구도와 요구수준 32 2. 치료기술의 요구도와 요구수준 33 3. 치료외적기술의 요구도와 요구수준 34 D. 음악기술, 치료기술, 치료외적기술의 활용도와 요구도 35 1. 음악기술의 활용도와 요구도 순위비교 35 2. 치료기술의 활용도와 요구도 순위비교 37 3. 치료외적기술의 활용도와 요구도 순위비교 38 4. 전체 영역의 활용도와 요구도 비교 39 E. 논의 42 Ⅴ. 결론 및 제언 44 A. 결론 44 B. 제언 45 참고문헌 46 부록 54 ABSTRACT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71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신입 음악치료사가 자각하는 임상현장 내 음악기술 및 치료기술 활용도와 요구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se and Needs of Musical and Therapeutic Skills of Novice Music Therapists in Clinical Practice-
dc.creator.othernameKim, Jan Di-
dc.format.pageviii, 66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contributor.examiner송인령-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