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지은-
dc.creator김지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5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5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0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36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018-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icular contents and members of missionary school by analyzing the cases of missionary school which is based on christianity and to implicate on christian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ried to figure out how mission school contains the curricular contents regarding christianity and how those curricular contents regarding christianity were understood and affected by teachers and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the Christian school curriculum of center A? 2. How is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Christian school curriculum of center A? 3. How does child form th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Christian school curriculum of center 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A early childhood center located in Seoul. This center has characteristic of missionary school and runs the curriculum based on Christianit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case study which is a kind of qualitative study. For collecting the data regarding Christian school curriculum run in center A, all the lesson data, event data of last year, photos, and reports from 2nd, March, 2014 to 30th, August, 2014 were collected and lesson observing was done. To figure out the practice of curriculum run by center A, 3 times of interview were done on April(individual), June(group), and September(individual). Also, researcher participated on the class meeting about lesson planning for twice a month which is usually held once a week between class teachers. Various aspects of data were also collected by informal interviews which were done in ordinary times. By integrating the collected data, researcher read the documented data, subdivide, categorize and read the meaning of the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school curriculum of center A which is a missionary school is composed of various contents. Participating on seasonal events based on liturgital year, operating the activity which is repeated on everyday life, containing elements of christianity among the subject-based activity planned for class, and containing elements of christianity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were contained in specific curricular contents. The curriculum is composed of various activities which can affect children directly. This means the curriculum is composed with appropriate experiences for children.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Christian school curriculum can be divided into 3 types. First type is 'Following' type teacher who feels loss of not knowing what Christianity is, who shifts one's work on Christian teacher, and who runs the activity depending on the data. Second type is 'Trying' type teacher who thinks it's enough for teacher to deliver knowledge to children as much as they know, who thinks one can teach children Christian school curriculum in the way that doesn't burden on their moral level, and who thinks one could do it better if there's an assistant. Third type is 'Acting' type who starts to understand what Christian school curriculum is and apply it gradually to their activity. Teacher's understanding appears to be related to teacher's religion and teaching experience. Third, Christian school curriculum of missionary school affects the way child builds one's relationship with God. Everyday experience like talking about Bible story, listening to Bible picture book, walking outside, and making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 near child became the pathway for child to know more about God. Also, the more one knows how to pray by oneself, the more one becomes to manage one's active and individual relationship with God. Child also becomes to practice God's love by having experience of caring and sharing with each other among relationships.;본 연구는 기독교 유아교육기관 가운데,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미션스쿨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 유아교육과정의 내용 및 미션스쿨의 구성원인 교사와 유아를 이해하고 이를 기초로 기독교 유아교육의 시사점을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미션스쿨에서 기독교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어떻게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미션스쿨의 교육내용이 교사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교육내용을 통해 유아가 경험하게 되는 ‘하나님과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A기관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2. A기관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A기관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을 통해 유아가 형성해가는 하나님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한 A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6명의 교사들이다. 선정된 기관은 미션스쿨의 성격을 띄고 있으며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먼저 A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의 실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4월의 개인면담과 6월의 집단면담, 10월의 개인면담의 총 3차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주 1회 진행하는 학급회의에 월 2회 정도 연구자가 함께 참여하여 교육계획 관련 회의를 하고,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는 비형식적인 면담을 실시함으로써 다각화된 자료를 수집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교육과정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2014년 3월 2일부터 2014년 8월 30일까지 진행된 모든 수업자료와 전년도 행사자료, 사진과 보고서 수집, 수업 관찰 등을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합하여 문서화된 자료를 읽고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자료를 범주화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션스쿨인 A기관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은 다양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교회력에 따른 절기를 중심으로 한 행사에 참여하거나, 일상생활 속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운영하거나, 교실에서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 안에서 기독교적인 요소를 포함시키거나, 환경 구성에서 기독교적인 요소를 반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유아에게 적합한 다양한 경험들로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독교 세계관이 무엇인지 몰라 막막함을 느끼거나, 기독교 교육은 기독교 교사가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미루거나, 자료에 의존하여 활동을 진행하는 ‘따라가기’ 유형이다. 다음으로는 교사가 아는 만큼만 유아에게 가르치면 된다고 생각하거나 도덕적인 수준에서 부담가지 않는 방법으로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을 실시하면 된다고 생각하거나 조력자가 있으면 더 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시도하기’ 유형이다. 마지막으로는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시작하고, 조금씩 자신의 교육활동에 적용시켜보는 ‘실천하기’ 유형이 있다. 이러한 교사의 인식은 교사의 종교와 교육경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션스쿨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은 유아가 하나님과의 관계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일상적으로 나누는 성경말씀 이야기나 성경동화 들려주기와 같은 활동과 산책이나 주변 환경으로부터 맺어지는 관계를 통한 경험이 유아가 하나님을 알게 하는 매개체가 되었다. 또한 유아가 스스로 기도하는 것을 알게 됨으로써 하나님과 능동적이고 개별적으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유아가 서로의 관계 안에서 돌보고 나누는 경험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게 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기독교 유아교육 5 1. 유아 신앙발달 5 2. 기독교 교육 11 B. 기독교 세계관과 유아교육과정 13 1. 기독교 세계관 13 2.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유아교육과정 재구성 15 3.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유아교육과정의 내용 21 Ⅲ. 연구방법 27 A. 사례연구 27 B. 연구대상 28 1. 연구 참여자 28 2. A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의 특징 30 3. 연구자 30 C. 연구절차 33 D. 자료 분석 35 Ⅳ. 연구결과 37 A. A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 37 1. 절기 중심의 연간행사에 참여하기 37 2. 일상생활의 활동 속에서 경험하기 39 3. 활동 주제에 기독교적인 요소 포함시키기 43 4. 환경구성 활용하기 48 B. 유아교사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 인식 52 1. 따라가기 52 2. 시도하기 56 3. 실천하기 60 C.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교육과정을 통해 형성된 유아와 하나님과의 관계 63 1. 다양한 경험을 통해 하나님 알기 63 2. 기도를 통해 하나님과 관계 맺기 69 3. 나눔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기 71 Ⅴ. 논의 및 결론 73 A. 논의 73 B. 결론 및 제언 77 참고문헌 81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87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A기관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미션스쿨에서의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실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ractice of Christian school curriculum of missionary school by examining the case of center A-
dc.creator.othernameKim, Ji Eun-
dc.format.pagevi, 92 p.-
dc.contributor.examiner홍용희-
dc.contributor.examiner정혜욱-
dc.contributor.examiner박은혜-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