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31 Download: 0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시 쓰기 양상 연구

Title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시 쓰기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Poetry Writing Based on Response-based Poetry Writing Program
Authors
표지은
Issue Date
201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성은
Abstract
반응중심 이론은 텍스트에 대한 자신의 반응을 동료들과 부담 없이 즐겁게 나누는 가운데 자신의 생각을 보다 확장시키는 의미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반응중심 이론은 학습자들이 즐겁게 동시 쓰기에 참여하게 하는 촉진제가 되고, 동시 내용을 풍부하고 참신하게 만들어 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어과 목표에서 작품의 수용을 넘어 생산을 강조함에도 불구하고 생산보다 수용에 치우쳐져 있는 현 동시 창작 학습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시 쓰기 학습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시 쓰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우선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시 쓰기 능력을 단계별로 분석하고, 그 뒤에 완성글을 심상, 시어, 운율, 형식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시 쓰기 능력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단계별 쓰기의 양상과 완성글의 양상이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 완성글의 네 영역을 기준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E초등학교 5학년의 한 학급으로 선정하였다.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시 쓰기 학습은 반응중심 교수․학습 모형과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참고로 초등학교 5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적용하였다. 학생들의 결과물은 세 명의 채점자에 의해 채점 기준표 및 척도표를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시 쓰기 학습 시행 결과 ‘반응의 형성’ 단계는 높은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많았고, 이는 주제를 직접 체험하고 관찰할 수 있는 반응의 기회와 주제와 관련된 동시와 상호작용하는 반응의 기회가 주어졌을 때 더 다양하고 참신하게 사고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응의 공유’ 단계는 대다수의 학생이 평균 정도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반응 공유하기’ 과정에서 어려움을 보였는데, 이는 본 연구가 상대적으로 동시의 요소에 대한 지도가 적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보인다. ‘반응의 내면화’ 단계는 전 단계와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평균 정도의 능력을 보였다. 학생들이 대체적으로 고쳐 써야 할 부분은 알지만, 어떻게 고쳐야 할지 고민을 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보아 시적 표현력 증진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고 보인다.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하여 시를 쓴 학생들은 대부분 상, 중 수준에서 동시를 완성했다. 또 영역별로 구분하였을 때 높은 이해도를 보인 ‘운율’과 ‘형식’ 영역의 점수는 높았고, 이해도가 부족했던 ‘심상’과 ‘시어’ 영역의 점수는 낮았다. 이는 동시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도가 완성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시 쓰기의 단계별 쓰기와 완성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심상 영역에서 상 수준의 평가를 받은 학생들은 ‘배경지식 활성화하기’와 ‘시 쓰기’ 단계의 점수가 매우 높게 측정되었고, 중과 하 수준의 학생들은 ‘반응 공유하기’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를 통해 심상 영역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시 쓰기’, ‘반응 공유하기’ 단계에서의 집중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시어 영역은 심상과 비슷한 성격으로 심상에서 보인 양상이 시어에서도 동일하게 드러났다. 상 수준의 학생들이 ‘시 쓰기’ 단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반응 공유하기’ 단계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운율 영역에는 상 수준의 학생들이 많았다. 이들은 ‘배경지식 활성화하기’와 ‘시 쓰기’에서 점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어 운율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배경지식이 활성화되어야 하며, 짜임새 있는 개요를 바탕으로 그 짜임새가 잘 드러날 수 있게 다양한 형태의 반복을 사용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함을 보여준다. 형식 영역에서도 높은 수준을 보인 학생들이 많았으며, 운율과 동일하게 ‘배경지식 활성화하기’와 ‘시 쓰기’에서 점수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주제에 관련한 다양한 생각들을 위계성 있게 정리하는 활동이 연을 나누는 데에 큰 도움을 주기에 배경지식을 활성화시켜주는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개요는 형식의 기본으로 각 연에 무엇을 표현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서가 되어 주기에 탄탄한 개요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형성된 다양한 반응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반응을 공유하도록 지도할 때 완성글의 수준을 높일 수 있고, 둘째, 동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때 완성글의 수준을 높일 수 있으며, 셋째, 단계별 쓰기의 특정 단계를 집중적으로 지도한다면 완성글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이 쓴 완성글의 어느 영역이 부족한지 분석, 판단하여 단계별 쓰기에서 보충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을 활용한 시 쓰기 양상 연구로 동시의 구성 요소에 대한 지도가 상대적으로 부족했고, 모든 활동이 아닌 쓰기 활동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쓰기 활동의 결과물을 분석하여 양상을 파악하였기에 반응중심 시 창작 모형의 각 단계를 쓰기 활동으로만 제한한 문제점이 있으며, 한 학급을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라 그 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점이 연구의 제한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다양한 학년과 보다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통계를 활용하여 단계별 쓰기와 완성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동시 창작에 대한 체계적인 교수․학습 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The response-based theory encourages to widen the perspective while sharing response with one another. It not only promotes students to gladly participate in writing poem, but also extends and embellishes the content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pplied the response-based theory on poetry writing and analyzed students' performance in order to enhance creating skill. To analyze students' performance, the study divided the procedure into three stages, response developing, response sharing, and response internalizing, at first. After analyzing procedural performance, it analyzed the final writing in three aspects; image, poetic diction, rhythm, and form. The relation between procedural and final writing has been found at the end. The study examined one class of fif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daemun Gu. It applied restructured response-based poetry writing program optimized to students' level.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three evaluators using criteria and checklists. At the stage of response developing, the result has shown that students are capable of activating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creating imitative poetry. However, the students showed low level at the stage of response sharing. It suggests that more lesson on the components of poetry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bility, which will help them to share response more effectively. At the last stage, students knew what to correct, but didn't know how to correct. Strengthening the expression skill is needed to advance the quality of poetry. Majority of students showed high level in final writing. However, the image and poetic diction area level were much lower than rhythm and form area. The image and poetic diction were areas where students showed low level of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poetry-writing ability, more lesson on the components of poetry should be provided to help students. The result has shown that there is relation between the procedural writing and the final writing. Thus, students can perform better if they are taught the certain points of the procedural writing. In conclusion, teacher should focus on analyzing students' ability of writing, thus to find weakness in certain aspects and provide more activities on proper procedural poetry writing. However, since the study was to apply the response-based poetry writing program, the lesson on the components of poetry was relatively not enough. The response-based poetry writing activities was limited to written works while other activities could be more effective. Furthermore, the result of study is limited to generalize since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too small. It suggested that the further study should set various grades of many students as subject of study to generalize the result. Using statistic to find relation between procedural and final writing would provide meaningful results. Lastly, developing more constructive and effective teaching program based on response-based poetry writing is needed to enhance the ability of crea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