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소연-
dc.contributor.author황성혜-
dc.creator황성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0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25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12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254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ducational directions in Sa-seol-Sijo with emotional experience. Although there is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focuses on ' emotion of the work' or 'emotion of the poetic speaker'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text of the Sa-seol-Sijo, this approach is simply a step in understanding the content. In fact, taking an approach focusing on 'emotion' itself is rare in current education. With such concern, this study emphasizes educational experience that includes feeling of the writer, the emotion of the text stemming from writer's feeling, and newly formed emotion of the learner. In chapter 2, acknowledging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expands the concept of emotion dealt in Sa-seol-Sijo and reviews the emotional facets of Sa-seol-Sijo. To do so, this study first reviews the meaning and perception of general emotion of the time and discusses how this could be efficiently utilized in education along with emotion of modern days. In addition,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negative emotion which often stands out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With the exploration and utilization of emotion of 'Han(恨),'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spects of negative emotion of Sa-seol-Sijo. In chapter 3, aspects of negative emotion of Sa-seol-Sijo is identified and analyzed based on these aspects. For analysis, this study explores various aspects of emotion in Sa-seol-Sijo on 『Cheong-gu-young-eon(靑丘永言)』 and provide an approach to transit these aspects into learners for their own emotional experience. Sa-seol-Sijos with negative emo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poems with only negative emotion and complex poems that are composed of both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The reason for such difference was for clearer perception of emotion by exposing it more efficiently. Positive emotion was an element that allowed the readers to avoid indulging in negative emotion and control emotion by converting the atmosphere. Based on such categoriz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negative-negative' and the 'negative-nonnegative' separately. The 'negative-negative' tended to directly convey negative feelings of the particular situation. By reflecting writer's own feeling into daily subjects or showing vivid situation, it allows the learner to emotionally participate into the particular situation. Also, by involving well-known character or a story, it tends to higher the possibility of sympathy.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nonnegative' tends to put effort on conveying clear perception of emotion and settling them. Problems that require such effort can be divided into problems arising from personal relationships and accidental situations. These problems are not only something that the learners can experience today but also retain educational values in emotional development as they often attempts to settle negative feelings stemming from problematic situations positively with humor and joy. In chapter 4, educational direc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As part of principle of emotional experience, general perception, concretization of feeling through imagination, and finally internalization is suggested. Emotional experience is not duplication of narrator's feeling but rather internalizing and realizing it as a work.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 is an efficient way for emotional development as one can identify and learn how to control it. Thus, such educational approach can provide an experience that help individuals for their self-formation.;본 연구는 정서 체험을 위한 사설시조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설시조 개별 텍스트에 대한 이해를 위해 작품에 드러나는 ‘작품의 정서’ 혹은 ‘화자의 정서’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그것은 텍스트의 내용 이해에 도달하기 위한 단계일 뿐, 사실상 정서 자체에 주목하여 교육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는 드물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고는 작자의 감정과 그것이 형상화되어 표현된 텍스트의 정서, 그리고 새롭게 형성되는 학습자의 정서 모두를 포괄하는 체험을 강조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문학교육의 목적을 고려하여 고전시가 텍스트에서 다루어지는 정서의 개념을 확장하고, 그중에서도 사설시조의 정서적 측면을 새로이 검토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전문학 전반에 흐르는 당대 정서의 의미와 인식들을 검토하고, 이것이 사설시조의 장에서는 현대의 정서 논의와 더불어 어떻게 더 효과적인 교육으로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의 주요 대상이 되는 청소년 시기에 유독 부각될 수 있는 부정적 정서에 주목하였는데, 이를 위해 한(恨)의 정서를 새로이 탐색하여 사설시조의 부정적 정서의 양상을 살피는 데 활용하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사설시조 텍스트의 부정적 정서 양상을 분류하고, 그것을 토대로 사설시조 텍스트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진본 『청구영언』 소재 사설시조들을 대상으로 정서의 양상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피고, 이를 학습자의 정서 체험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부정적 정서를 가진 사설시조 텍스트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는데, 부정적 정서만 드러나는 텍스트와 부정과 긍정의 요소가 혼합된 복합적 성격의 텍스트이다. 이는 각각 부정적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 명확히 인식하기 위한 노력이었으며, 부정적 정서에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긍정의 요소로서 이를 차단하고 분위기를 전환하여 정서를 조절하고자 하는 의도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각 유형을 ‘부정-부정’과 ‘부정-탈(脫)부정’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도한다. 전자의 경우는 상황과 관련한 부정적 감정을 느낀 그대로 전하려는 의도가 강하였다. 이에 따라 자신의 느낌을 일상의 대상에 비추어 보이거나 실감나는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학습자가 상황 자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유명한 인물이나 이야기를 제시함으로써 공감의 가능성을 높이려는 모습을 보인다. 후자의 경우는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은 물론 이를 해소하려는 노력의 태도를 강하게 드러낸다. 이러한 노력은 크게 개인적 관계에서의 문제와 불가항력적 상황에서의 문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때의 상황적 조건들은 현대의 학습자들도 충분히 겪어볼 수 있는 일들이며, 따라서 각각의 문제 상황들로 인한 부정적 감정들을 웃음과 유희로 풀어나가고자 했던 긍정적인 태도는 정서 교육적으로 충분한 의의를 가진다. Ⅳ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실질적인 교육의 내용을 마련한다. 정서 체험의 원리로서 보편성 인식과 상상을 통한 감정의 구체화, 마지막으로 내면화를 제시하였다. 정서를 체험하는 것은 작자가 느꼈던 감정을 지금 그대로 느끼는 일이 아니라,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내면화하여 하나의 작품으로서 새롭게 실현하는 일이다. 부정적 정서를 체험하는 일은 정서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정서 발달의 면에서도 효과적인데, 이는 결국 스스로의 자아관을 형성하는 경험이라는 점에서 교육적인 의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 B. 선행 연구 검토 5 C. 연구 대상 및 방법 13 II. 고전시가의 정서 체험 교육을 위한 이론적 전제 16 A. 고전시가 정서의 교육적 재개념화 16 1. 문학교육에서의 정서 논의 검토 17 2. 소통과 공감을 위한 체험으로서의 정서 21 B. 사설시조에 나타난 부정적 정서의 의미 고찰 26 1. 사설시조 정서의 복합성 27 2. 부정적 정서 한(恨)의 양면성 30 III. 사설시조 텍스트의 부정적 정서 내용 분석 34 A. 사설시조 텍스트의 부정적 정서 양상 선정 34 1. 정서적 측면에 따른 사설시조 텍스트 추출 35 2. 사설시조의 부정적 정서 양상 분류 39 B. 묘사와 제시로 드러나는 부정적 정서 45 1. 일상의 대상과 장면 묘사 46 2. 역사적 사건 및 인물 제시 51 C. 유희와 웃음으로 해소되는 부정적 정서 55 1. 개인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해소 56 2. 불가항력의 상황 안에서 발생하는 감정의 해소 64 IV. 부정적 정서 체험을 통한 사설시조 교육 내용 72 A. 사설시조 교육에서의 정서 체험 원리 72 1. 문제 상황 인식을 통한 보편적 공감대 형성 73 2. 상상과 재구성을 통한 감정의 구체화 76 3. 주체적 성찰을 통한 정서의 내면화 78 B. 부정적 정서 체험을 통한 정서 발달의 의의 80 1. 부정적 정서 인식을 통한 내면의 발견 81 2. 부정적 정서 조절을 통한 자아의 확립 84 V. 결론 87 참고문헌 89 부록 95 Abstract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245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사설시조의 정서 체험 교육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ducational directions in Sa-seol-Sijo for emotional experience-
dc.creator.othernameHwang, Seong Hye-
dc.format.pagevii, 102 p.-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contributor.examiner권순희-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