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예진-
dc.creator김예진-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18Z-
dc.date.issued2015-
dc.identifier.otherOAK-00000011147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20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1147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overall satisfaction of actual state of wearing and functions of baseball uniforms worn for the games, investigating injuries and inconveniences during the game, and developing baseball uniforms for social baseball players with excellent appearance and movement function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actual state of wearing condition and problems of baseball uniforms for social baseball player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male baseball participants of the ages between 20 to 40. This study found out the preferred designs, colors, functionality, complaints, and improvement needs of materials of baseball uniforms. This study selected an existing uniform and developed a new one for social baseball players with improvement in function and appearance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new baseball uniform was evaluated on its movement and appearance by baseball participants of community and experts of in apparel field and was compared to existing uniform. Further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n the baseball uniform suitable for baseball movement. The detailed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 actual state of wearing of baseball uniforms for people of community and the result of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armpit and back patches got wet with perspiration the most, and patches around knees were likely to be worn out because of frequent sliding. Consequently, participants were most dissatisfied with poor protective function and quilted pads around knees were needed. Answers for a question on injuries during games indicated that shoulder injuries due to pitching or batting and abrasion owing to sliding were most common and knee injuries were also frequent. As for the wearing satisfaction of uniform, they want elasticity and breathability of textile to be improved; they are not satisfied with its design and fit because they think top and bottoms are much too long and uncomfortable; they often find dirt inside of the uniform during games. Besides, they found it very difficult to remove dirt from the uniform even after washing. They preferred raglan sleeves, no-collar neckline, open adjustment style, textile without pattern, and straight leg pants for the designs and white for both top and bottom for the color. 2. Design of test apparel A first sample uniform was made and the experts evaluated the uniform through an interview. Based on their comments, a second uniform was made. In case of the testing uniform material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uniforms, this study used more polyurethane mixed fabrics for the top to improve flexibility, mesh materials for under the arm, back, and tail edge of the top, side line of the bottom, and pocket areas, and added quilted materials on the knee areas to improve durability and protection. For the patterns and designs, this study used gusset for under the arm to help moving the arm more comfortably, and reduced the length of the top and circumference of tail edge to decrease the unnecessary remaining parts. For the pants, this study used a gripper with improved function of waistband to help avoiding the shirt being untucked, added darts behind the knees to make bending movement comfortable, and supplemented additional fabrics at the tail edge of the bottom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getting in when worn inside the socks. In addition, the testing uniform by reducing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ants. 3. Evaluation on Wearing comfort Fit evaluation was divided into appearance evaluation by experts and on-site-wearing test by baseball players. As the result of evaluation, the testing uniform received higher evaluations than the existing uniform in all sections,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top, it showed high satisfaction in the questions regarding the breast width ease and the shoulder width ease, and amount of tail edge to tuck into the pants, and for the bottom, high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questions about materials, length of pants, and the ease at the calf areas. As the result of movement adaptability evaluation, it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for the parts of ‘the top does not come untucked from the bottom’ and ‘foreign substances do not get in’. Base on the fit evaluation, further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suitable baseball uniform of social baseball uniforms.;본 연구는 사회인 야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경기 시 착용하는 야구복에 관한 착용 실태와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파악하고 경기시 상해와 불편사항을 조사하여 외관과 동작 기능성이 우수한 사회인 야구복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야구복 착용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인 야구 참여자 20~40대 남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선호하는 야구복의 디자인, 색상, 소재의 기능과 불만사항 및 개선사항을 파악하였다. 기존복을 선정하여 설문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능성을 향상시킨 사회인 야구복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야구복은 사회인 야구 참여자와 의류학 전문가에게 동작 착의 평가와 외관 평가를 실시하여 기존복과 연구복의 차이를 규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사항을 추가하여 야구 동작에 적합한 사회인 야구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회인 야구복 착용실태 및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 설문 결과, 야구복 착용 시 겨드랑이와 등 부분에서 땀이 가장 많이 났으며, 구매 시 맞음새를 중요하게 여기고 야구복의 보호기능이 약하다는 이유로 불만족하였다. 부상 유형으로는 찰과상이 38.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부위는 무릎(48.8%)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해지는 부위로도 무릎부위로 나타났으며 응답자의 80.5%가 누빔을 필요로 하였다. 야구복 착용 만족도를 살펴보면 상, 하의 모두 소재의 흡한성과 통기성과 슬라이딩 후 세탁에 관련된 문항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상의의 경우 ‘길이가 길다’, ‘바지 안으로 넣는 상의가 접혀 불편하다’의 문항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하의는 ‘슬라이딩 시 하의 안으로 흙이 들어와 불편하다’는 문항에서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야구복 디자인으로는 라글란 소매, 칼라가 없는 디자인, 오픈형 여밈, 무지 패턴, 일자형 바지를 선호하였으며, 상, 하의 모두 흰색 색상을 선호하였다. 2. 실험복 설계 실험복은 1차 샘플 실험복을 제작하였고 전문가 면담을 통해 수정 보완하여 2차 실험복을 제작하였다. 실험복 소재의 경우, 기존복보다 폴리우레탄이 혼방된 소재를 상의에 사용하여 신축성을 향상시켰으며, 겨드랑이, 등, 상의 밑단, 하의옆선, 주머니 부분에 메쉬소재를 사용하였고, 무릎부위에 누빔을 추가하여 내구성과 보호성을 향상시켰다. 패턴과 디자인은 겨드랑이에 무 형태를 사용해 팔의 움직임을 편안하게 돕고 상의 길이와 밑단 둘레를 줄여 불필요한 여유량을 감소시켰다. 하의의 경우 허리밴드에 기능이 향상된 그리퍼를 사용하여 상의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돕고 구부리는 동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 무릎 뒤 다트를 추가하였으며 하의밑단에 추가적인 원단을 더하여 이를 양말 안으로 넣어 착용하면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바지통과 길이를 줄여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착의 평가 착의 평가는 전문가 외관평가와 현장 착의 평가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착의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실험복이 기존복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유의차가 나타났다. 상의의 경우 앞품, 뒤품의 여유량, 바지 안으로 넣는 밑단 분량에 대한 문항에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하의의 경우 소재, 바지의 길이, 종아리 부위 여유량에 대한 문항에서 높게 나타났다. 동작 적응성 평가 결과, 상의가 하의에서 빠져나오지 않는다, 이물질이 발목 안으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문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착의 평가 내용을 토대로 개선사항을 수렴하여 최종적으로 야구 동작에 적합한 사회인 야구복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C. 연구의 범위 3 II. 이론적 배경 4 A. 야구복의 일반사항 4 1. 야구복 종류 4 2. 야구복 규칙 8 B. 야구복 설계시 고려할 사항 10 1. 소재에 요구되는 특성 10 2. 디자인과 패턴에 요구되는 특성 12 3. 색상에 요구되는 특성 15 C. 야구 상해 15 1. 프로 야구 선수들의 운동 상해 15 2. 사회인 야구 참여자들의 포지션별 상해 16 D. 시판 사회인 야구복의 현황 및 주문과정 19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3 A. 사회인 야구복 착용실태 조사 25 1. 조사 목적 및 설문지 구성 25 2. 조사 대상자 및 조사 기간 26 3.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26 B. 야구 동작에 적합한 사회인 야구복 설계 27 C. 착의 평가 27 1. 전문가 집단 외관 평가 27 2. 현장 착의 평가 28 3. 자료 분석 29 D. 야구 동작에 적합한 사회인 야구복 제안 29 IV. 연구결과 및 고찰 30 A. 사회인 야구복 착용실태 설문조사 결과 30 1. 사회인 야구자의 일반적 특성 30 2. 사회인 야구복 착용에 관한 일반적 사항 32 3. 야구 경기시 부상 실태 38 4. 야구복 착용 만족도 41 5. 야구복 구성 부문별 디자인 선호도 45 6. 소비자 불만족 경험 및 개선 요구사항 48 B. 야구 동작에 적합한 사회인 야구복 설계 51 1. 실험복 설계 방향 51 2. 기존복 설계 53 3. 소재 설계 54 4. 실험복 디자인 설계 56 5. 패턴 설계 및 제품 치수 비교 62 C. 착의 평가 결과 66 1. 전문가 집단 외관 평가 결과 66 2. 현장 착의 평가 결과 72 D. 야구 동작에 적합한 사회인 야구복 제안 82 V. 결론 및 제언 85 A. 결론 85 B.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87 참고문헌 89 부록 93 ABSTRACT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42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기능성 사회인 야구복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signing a Functional Uniform for Social Baseball Players-
dc.creator.othernameKim, Ye jin-
dc.format.pagex, 116 p.-
dc.contributor.examiner김동은-
dc.contributor.examiner김은경-
dc.contributor.examiner최혜선-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학과-
dc.date.awarded201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