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49 Download: 0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지도 내용 조사 연구

Title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와 지도 내용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Teaching Contents of the Piano Class for Musical Specialty Aptitude Program in After-School Education : Targeting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수미
Abstract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현직 피아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공교육에서 운영되고 있는 방과후학교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방과후학교에서 피아노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향을 지도 내용과 방법의 측면에서 제시하는데 중점을 둔다. 또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방과후학교 피아노 교육의 지도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개선 사항과 보완점을 도출하여 함께 제시하였다. 설문 조사에 앞서 본 연구자는 방과후학교 음악 특기적성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초등학교 전체 597개교와 직접 통화하였고, 이 중 72개교의 초등학교에서 피아노 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2013년 11월 기준). 조사된 72개교의 초등학교에서 방과후학교를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본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을 요청하였으며, 이 중 이메일로 설문에 응답한 13명의 피아노 교사와 연구자가 직접 37개교의 초등학교를 방문하여 배부한 설문지(39부)들 중에 회수된 설문지 응답자인 28명을 포함한 총 41명의 피아노 교사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참여하였다. 응답자들은 현재 44개교의 초등학교에서 지도하고 있는 피아노 교사들이었으며, 이들에게 각 학교의 교육 현황과 지도 내용 및 방법을 조사하였다. 또한 응답한 피아노 교사들이 지도하는데 있어서 어려운 점과 개선 사항들을 서술하도록 하여 보다 확대된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전반적으로 디지털 피아노 랩(Lab)의 수업 환경에서 피아노 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36개교, 전체 중 81.8%). 또한 다수의 학생들로 구성된 클래스 안에서 대부분의 피아노 교사들이 본질적인 클래스 피아노의 지도 유형이 아닌 짧은 시간의 개인 지도를 통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피아노 수업에서 사용되는 교재는 제한적이었으며, 피아노 교사들의 지도 내용은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수업 명칭과 학습 목표에 일치하지 않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클래스를 지도하는데 있어서 수업 환경의 장점을 이용한 앙상블 및 그룹 연주나 디지털 피아노의 기능을 활용한 수업을 하는 교사는 거의 드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수준이나 학년에 관계없이 다수의 학생들로 구성된 클래스로 인하여 교사들이 실제 수업에서 동시에 학생들을 지도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상황과 더불어 클래스 피아노 지도 유형에 대하여 교사들의 인식과 이해가 부족한 실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것은 피아노 교육 프로그램의 클래스 구성에 있어서 수준이나 학년에 따른 명확한 기준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며 클래스 피아노 유형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가 방과후학교 피아노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선행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방과후학교 피아노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운영 아래 사교육과 차별화된 내용의 수업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 실제 클래스 피아노 유형의 지도가 수업에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클래스 피아노 지도가 방과후학교의 피아노 교육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교사 훈련이나 전문 교사 양성 제도와 같은 국가적인 지원과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한 교재 개발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방과후학교의 피아노 교사들이 클래스 피아노 유형을 인식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도 방향으로 나아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based on a survey targeting current piano teachers of the piano class for musical specialty aptitude program in after-school education, to grasp the status of piano education being managed by public school, and to suggest measures for activating after-school piano education in the aspects of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In addition, through analyzing collected data, it also drew and suggested improvements and complements for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after-school piano education. First, it grasped that, among the total 597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number of schools that are presently performing the after-school musical specialty aptitude piano education program is 72. Among the 72 elementary schools, piano teachers of 44 school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subject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statuses, an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each school through them. And it received helps from them in seeking more extended measures by having them state their difficulties in providing piano education and improvement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investigated schools are generally performing piano education in the class environment of the digital piano lab. And it also could be found that teachers are proceeding with their classes through short private lessons, not the fundamental class piano teaching type, in a classroom consisting of many students. Here, teaching materials were limited, and piano teachers were focusing on teaching contents not fitting to class titles or learning goals. Moreover, it was investigated that teachers who are giving classes by using ensembles or group performances taking advantage of class environments or by using the function of a digital piano are very rare. This indicates that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give group lessons due to classes consisting of many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levels or grades, and that teachers lack of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lass piano lesson type. This implies that a clear standard should be established urgently in creating the piano education program, and that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lass piano type is a prerequisite for after-school piano education to be activated. In conclusion, in order for after-school piano education to be more activated, classes differentiated from privat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under more systematical management. This implies that teaching contents of the class piano type should be offered in actual classes, and piano teachers need to study development of educational trainings and teaching materials for more effective teach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after-school piano teachers recognize the class piano type and realize more effecting teaching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