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86 Download: 0

시각 장애인 피아노 교육을 위한 점자 학습 자료 개발 연구

Title
시각 장애인 피아노 교육을 위한 점자 학습 자료 개발 연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about Braille Learning Materials for The Piano Educ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 Dong-il Sheen “Suite for Piano Yellow Umbrella”
Authors
박민재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수미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시각 장애인의 피아노 교육을 위해 국내 피아노 점자 악보 현황을 조사한 후, 피아노 점자 교육 자료를 개발하여 실제 시각 장애 학습자에게 지도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을 위한 피아노 문헌의 확대에 기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먼저 국립 장애인 도서관에 2011년 5월 18일부터 2013년 12월 13일까지 소장되어 있는 1,258권의 점자 음악 자료를 수집하여 국내 피아노 교재 점역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점역되어 있지 않은 교육용 중급 피아노 작품 중에서 한국 작곡가 신동일의 피아노 모음곡 “노란우산”을 본인이 임의로 선정하였다. 이 작품은 모음곡으로 13곡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변주곡으로 작곡되었고 모티브가 반복되는 통일성과 셈여림, 분위기 등이 변화되는 다양성을 지니고 있다(신동일, 2008). 또한 음악 점자의 점역 시 습득하여야 하는 기술들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패시지의 반복이 빈번하여 시각 장애인이 학습할 때 더 용이하게 점독 및 암기를 할 수 있는 작품이다. 다음으로 2013년 1월부터 6개월 동안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소재한 영광 모바일 도서관에서 피아노 악보의 점역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윈도우즈용 점역 프로그램인 “점사랑”을 사용하여 신동일의 피아노 모음곡 “노란우산”을 점역하였다. 총 13곡의 음악적 특징을 악장별로 분석한 후 점역에 필요한 기술들이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점역 및 점독할 때의 유의할 점을 서술하였다. 이를 토대로 신동일의 피아노 모음곡 “노란우산”을 시각 장애 학생에게 지도하였다. 점독을 할 때 학생이 습득해야 하는 기술과 함께 처음에 제시되는 테마가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되는지 살펴보았으며, 스토리가 있는 제목을 교사가 묘사함으로써 흥미로운 수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상력이 풍부한 국내 작곡가의 작품으로 학습하면서 시각 장애 학생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점자 악보를 촉각으로 직접 읽게 됨으로써 청음으로만 듣고 학습할 때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연주하게 되었다. 셋째, 점자 악보에서 사용되는 반복 기호로 빠르게 곡을 습득하고 암기하게 되었다. 넷째, 변주곡 형식의 모음곡으로 학습하면서 패턴을 생각하며 연주하는 구조적인 이해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자는 시각 장애 학생을 지도하면서 학생이 대중 앞에서 연주하는 것을 즐기고, 간단한 곡이지만 자신이 직접 작곡한 음악을 피아노로 연주하는 모습을 보면서 교사로서 보람을 느낀다. 특히 점자 악보를 사용하여 피아노를 학습한 이후로 학생의 집중도가 향상되었으며, 청각으로 듣고 모방하여 연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 자신이 자발적으로 점자 악보를 읽고 연주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 연구는 시각 장애인에게 효과적으로 피아노를 지도하기 위하여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는 작품을 점자 악보로 점역하고, 시각 장애 학생에게 적용하여 지도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시각 장애 학습자를 위한 피아노 점자 악보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piano teaching material about braille and to contribute its literature expansion in order to instruct the visually impaired after surveying the present situation about piano braille in domestic. Before everything, I collected and arranged the national library's 1,258 volumes of piano braille for the visually impaired which had been stor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the visually impaired from 18th May in 2011 to 13th December in 2013, and then I surveyed the present situation about piano braille in domestic. On a basis of it, “Yellow Umbrella(it was untranslated as Braille)” as one of middle-level pieces for piano education which was written by a korean writer “Dong-il Sheen”. I selected it temporarily for braille. The all composed 13 pieces(kinds of piano site) were as a large form of variation which contained the unity with repetitive motive and the diversity like mood and dynamic were changed(Sheen, 2008). I thought that the visually impaired could read and remember 13pieces easily whenever they want to learn because of the frequently repetitive passages upon “Yellow Umbrella”. Also, the skills which the visually impaired must acquire, evenly were already spread upon “Yellow Umbrella”. Next, I received training how to translate braille for nearly 6months from January to June in 2013 through Yeong Gwang Mobile library which was located in Seo Dae Mun-Gu, Seoul. and I used the windows program for braille translation called as “JeomSarang” & translated “Yellow Umbrella(suite for piano-13pieces)”as braille. After I analyzed their features by each movement, I tried to make the required skills for Braille translation be evenly spread upon Braille the same as the original “Yellow Umbrella”, but also I gave a description about a teaching method how teachers could instruct visually impaired and what factors they handle carefully when teachers translated it for them. On a basis of it, I taught my visually impaired student with yellow umbrella written by “Dong-il Sheen” as middle-level pieces. when I read braille, I checked how the initially presented the me had been changed and developed upon it, what the required skills which student had to learn were and then I progressed the class interestingly with her by my giving a description about each story upon Braille. Consequently, First, by means of a domestic writer's work full of imagination, I found the fact my visually impaired student began to study actively with strong interest more and more. Second, she could play Braille by reading it with her tactile sense more accurately than she used to do it by only auditory sense. Third, she could more quickly memorize music including a lot of musical signs which were used repeatedly upon braille than before. Fourth, it was possibile for her to play thinkingly by means of variation forms so that she could improve her constructive understanding to think the patter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