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기숙-
dc.contributor.author박혜경-
dc.creator박혜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04:08:39Z-
dc.date.available2016-08-26T04:08:39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otherOAK-0000000896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112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8961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과 만 3세 언어발달의 전반적인 경향 및 관계를 살펴보고, 가정환경과 부모의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이 만 3세 언어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과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과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이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따라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4차년도(2011년) 데이터를 사용했다. 측정 변인 관계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조건에 부합하는 362 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가정환경검사(Early Childhood -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와 언어발달검사(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는 훈련 받은 면접조사원이 가정방문을 하여 면담과 관찰을 통해 측정했다.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교육 경험은 부모 대상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수집된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반적 경향과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최소값, 최대값,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의 적률 상관 계수를 산출했다. 상대적 영향력은 상관관계 측정 결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 설명변인을 투입하여 위계적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3세 유아의 가정환경자극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보다 다소 높았다. 반면 아버지와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행동은 서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유아의 한글 사교육 참여는 월별 평균 1시간 27분이었으며, 사교육 비용은 평균 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용 기간은 평균 9개월 정도였으며, 시작 시기는 최소 19개월에서 39개월로 평균 30개월이었다. 유아의 언어발달은 수용어휘능력이 표현어휘능력보다 먼저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행동, 한글 사교육 경험과 만 3세 언어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교육 경험을 제외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에서는 가정환경의 반응성과 다양성이 유아의 수용어휘능력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가정환경의 학습자료와 학습자극은 유아의 표현어휘능력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부모의 양육행동에서는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수용어휘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반면 한글 사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유아의 언어발달은 차이가 없었으며, 한글 사교육 참여 시간, 한글 사교육 비용, 이용 기간, 시작 시기 정도는 유아의 언어발달과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언어발달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가정환경과 부모의 양육행동을 설명변인으로 보고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유아의 수용어휘능력은 가정환경의 다양성, 아버지의 긍정적 양육행동, 가정환경의 학습자극 순으로 높은 영향을 받았다. 유아의 표현어휘능력에서는 가정환경의 학습자료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유아기 언어발달은 이후 인지적, 사회․정서 발달 형성에 중요한 기초능력이다. 따라서 발달에 어려움을 겪는 유아가 없도록 풍부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올바른 양육행동 형성을 지원하여 균등한 양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회의 장․단기적 노력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relations, and relative effects of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and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that are set up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and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Second,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Third, what are the relative influences of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and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This study used the 4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In order to conduct an accurat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is study selected 362 families as subjects which corresponded to conditions based on a preceding study. Trained interviewers carried out both the Early Childhood -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and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based on personal interviews and observations through paying a visit to the families. Questions relating to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experiences of privat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for parents. This study calculated the minimum and maximum value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panel data. When it comes to relative influence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injecting with variables that witness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home environmental stimulation of 3-year-old children showed a generally high standard. Regarding parenting styles, the standard of maternal positive parenting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paternal positive parenting. In contrast, the controlling parenting were similar between fathers and mothers. The participation time of children in private education of Hangul, the Korean alphabet, reached an average of one hour and 27 minutes a month,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amounted to ₩40,000 on average. Also, as for the period of usage, it was about nine months averagely, and the starting period of private education of Hangul was between the ages of 19 months and 39 months so that the average was the age of 30 months.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receptive vocabulary appeared to develop in advance of the expressive vocabulary. Seco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there was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parenting styles with the language development, excepting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environment an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the pride and affection and variety of experience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eceptive vocabulary ability. The positive relationship was also found between toys and learning materials and academic stimulation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f children. In terms of parenting styles, positive parenting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eceptive vocabular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the language developmen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divided by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of Hangul, and the same was true of the participation time, expenses, the period of usage, and the starting period of private education of Hangul. Third, with respect to relative influences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regarding home environment and parenting styles as explanatory variable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s between them. The receptive vocabulary was highly affected by the variety of experiences, paternal positive parenting, and academic stimulation of the home environment in order. Also, the influences of toys and learning materials of home environment on the expressive vocabulary were verified.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is an essential basic ability to form a future language,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hort- and long-term efforts of society to create proper home environment and parenting style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due to their unequal nurturing environment. Also, taking this opportunity, hopefully more active studies will be conducted regarding the influences of the general private education including that of Hangul and its learning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언어발달 5 1. 언어발달 5 2. 유아기 어휘력 7 B.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9 1. 가정환경 9 2. 부모의 양육행동 11 3. 사교육 14 Ⅲ. 연구방법 17 A. 연구 대상 17 B. 연구 도구 20 1. 가정환경 20 2. 부모 양육행동 22 3. 한글 사교육 경험 24 4. 언어발달 25 C. 연구 절차 27 D. 자료 분석 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A. 측정 변인의 일반적 경향 29 B. 가정환경,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과 언어발달의 관계 32 1. 가정환경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 32 2.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 33 3. 사교육 경험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 34 C. 가정환경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36 Ⅴ. 논의 및 결론 41 A. 논의 41 1. 측정변인의 일반적 경향 41 2. 가정환경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 43 3.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 45 4. 사교육 경험과 유아의 언어발달 관계 46 5. 가정환경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48 B. 결론 및 제언 50 참고문헌 55 부록 76 ABSTRACT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006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가정환경, 부모의 양육행동, 사교육 경험이 만 3세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Home Environment, Parenting Styles, and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on the Language Development of 3-year-old Children-
dc.creator.othernamePark, Hye Kyoung-
dc.format.pagev,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1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