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Title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rends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Research Studies : Based on treati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Korea from 1995 to 2013
Authors
정수연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곽삼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학술논문 및 박사학위논문 분석을 통해, 지역평생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3년까지 평생교육 관련 국내 학술논문 및 박사학위논문 중에서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동향이 시기별로, 주제별로, 연구방법별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평생교육학연구>, , <평생학습사회>, <교육종합연구>, <평생교육・HRD연구> 학술지의 학술논문 및 박사학위논문 중에서 지역평생교육과 관련한 논문 총 124편을 선정하여, 각각의 기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시기별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대 들어 연구물들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2000년대 중반 이후의 증가는 <교육종합연구> 학술지가 2003년, <평생교육・HRD연구>, <평생학습사회> 학술지가 2005년 발행을 시작한 영향도 있으며, 2001년 시행된 평생학습도시사업을 포함하여 정부의 지역평생교육진흥을 위한 다양한 제도와 정책 집행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2007년 전면 개정된 평생교육법이 2008년 시행됨에 따라 국가, 광역, 기초 자치단체 단위의 평생교육 체제 구축, 즉 지역평생교육의 추진 체제 구현을 위한 법제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는 지방자치기구들의 지역평생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촉진시켰고 지역평생교육에 대한 연구 또한 더욱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다. 주제별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틀로서는 기존의 평생교육 및 성인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되, 지역평생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한 분석기준을 구안하였다. 각 논문의 내용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키워드를 추출하고 개방코딩을 실시한 후 유목화 함으로써 귀납적으로 분석기준을 도출하였다. 기준은 ① 지역평생교육 개념 및 이론적 토대, ② 지역평생교육제도, 정책 및 체제, ③ 지역사회기반 평생교육프로그램, ④ 지역 학습공동체, ⑤ 지역 연계 및 네트워크, 다섯 개의 주제영역으로 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주제별 분석 결과, 전체 논문 총 124편 중 지역평생교육 제도, 정책 및 체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 다음으로는 지역 연계 및 네트워크 관련 연구, 지역 학습공동체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기반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평생교육의 개념 및 이론적 기초에 관한 논문은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주제영역별 논의를 다시 시기에 따라 살펴본다면, 1995-2000년 시기에는 지역사회기반의 평생교육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로서 뚜렷한 특징을 보이지 않았으나, 2000년대 들어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가 눈에 띄게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2001년-2007년 시기에는 평생교육 제도, 정책 및 체제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01년 평생학습도시 정책이 시작되고, 「제1차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 수립 등 지역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으로 제도 및 정책을 추진한 시기로 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2000년대 후반, 2008년부터 2010년에는 지역 연계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특히 증대되었다. 이는 사회 전반적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기도 하였으며, 평생교육 영역에서도 다양한 학습 자원의 활용과 연계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평생학습을 진흥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기존의 평생학습도시 정책 등의 성과 등을 검토하고 재평가하는 연구들도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마지막으로 최근 3년 동안은 지역 학습공동체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진정한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주민들의 삶과 학습에 관심을 기울임에 따라 학습공동체 및 학습 마을 등에 관심이 증대되었으며, 그 공동체 속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에 더욱 초점이 맞춰지게 된 것이다. 연구방법에 따른 연구동향 분석은 선행연구의 분석기준을 토대로 ① 문헌 연구, ② 양적 연구, ③ 질적 연구, ④ 혼합 연구, 네 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중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문헌 연구, 양적 연구, 혼합 연구 순으로 연구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질적 연구방법은 2000년대 이후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0년대 후반 및 최근 3년 동안 더욱 많이 사용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학습공동체에 대한 연구와 지역 연계 및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시기이다. 지역평생교육의 현장 속에서 의미 있는 사례를 발굴하여 분석하는 사례 연구 또는 참여관찰을 통한 연구방법이 주로 활용되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또한 2000년대 들어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함께 활용하는 연구도 종종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주된 연구방법으로서 양적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질적 연구방법에서는 면담과 사례연구 방법이 집중적으로 활용됨을 알 수 있었는데,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연구방법이 활용될 필요가 있겠다. 지역평생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지역평생교육 연구의 흐름은 2000년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던 ① 지역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반 조성에 관한 연구, 그리고 꾸준히 연구물이 증가하여 특히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3년 동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던 ② 지역사회기반의 평생학습 참여에 관한 연구,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해볼 수 있었다. 첫째는 지역평생교육을 사회구조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며, 제도, 정책 시행 및 체제 구축, 그리고 네트워크 조성 등을 통해 체계적인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지역 주민들을 위한 학습 기회 제공을 확대시키는 데 중점을 두는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기반의 평생학습에 대한 연구는 실제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활동 및 과정 등에 초점을 두어, 지역 학습 공동체 및 평생학습 마을 등에서 이루어지는 주민들의 학습에 대해 분석한 연구이다. 이에 대한 연구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기 평생교육 정책을 통한 중앙정부 중심의 추진체제 구축과 지원은 외형적 확대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참여를 이끄는 인식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지역 내 다양한 기관과 협력함으로써 지역 네트워크를 조성하여 주민들의 학습기회를 확장시켜주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인공적이고 조직적인 학습경관을 넘어 자연스러운 학습문화가 풍경으로, 풍토로 조성되는 진정한 학습생태계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평생교육정책은 국가차원의 평생교육 계획을 지역 단위로 나누어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생활권・공동체로서의 각 지역사회의 평생학습 요구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계획을 세우고 진행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효과적일 것이며, 주민들의 자발적인 학습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의 삶의 질 향상 및 지역사회발전을 추구하는 과정에서는 각 개인과 집단의 학습과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주민과 집단이 학습을 통해 성장하고, 동시에 학습의 성과가 지역을 위해 활용될 때 지역공동체는 더욱 성숙해지는 것이며, 이것이 곧 추구해야 할 지역사회기반의 평생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지역학습공동체, 평생학습마을 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역동적으로 변모하고 있는 현장과, 이에 대하여 구축 과정 및 학습 성과 등에 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로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교육과정 및 학습 내용 그리고 이를 위한 교육자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였다. 지역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제도적, 정책적, 체제 기반 조성을 위한 노력이 그동안 활발히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더 나아가 지역 주민들의 학습이 삶과 더욱 밀접한 관련맺음과 동시에 더욱 성숙한 지역사회 공동체 구축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후속 작업 및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지역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담당 전문가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교육과정의 개발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이루어지는 학습동아리 및 평생학습마을 등 사례 발굴 및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평생교육의 현장과 다양한 연구들을 관통하여 설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이론적 토대 구축과 탐색작업이 필요하다.;This study aims at analyzing a research tendency on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in treati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the domestic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For this research aim, it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research tendency by period, theme and method of the research in the domestic scientific treati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on lifelong education from 1995 to 2013. As for a reference frame to analyze a thematic tendency, this study devised analytic criteria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based on precedent studies on the lifelong and adult education research tendencies. Analytic criteria were derived inductively after extracting key words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each dissertation and conducting an open coding with categorization. So this study analyzed theses according to the analytic criteria of five thematic domains including ① concept and a theoretical basis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② system, policy and a regime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③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a community, ④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and ⑤ local linkage and a network. As the result of the thematic analysis, it showed that studies on the system, policy and the regime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are given the greatest weight in the total 124 theses. Next, there are theses on the local linkage and the network, followed by on the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and on the role and task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in order. In addition, it showed that there are fewer studies on the concept and the theoretical basis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mmunity. If inspected discussions according to the thematic domain by period, studies on the concept and the theoretical basis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were conducted mainly between 1995-2001 when discussions about lifelong education based on the community began in earnest along with community school research in the local linkage and network domain. In the mid 2000s, studies focused mainly on the system, policy and the regime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Studies on the local linkage and network increased in the late 2000. Furthermore, recently studies on the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have been done most frequently. As for the research tendency by the method, analysis was done in terms of 4 criteria including ① literature research, ② quantitative research, ③ qualitative research, and ④ mixed research based on the analytic criteria by precedent studies. As for the method in the research on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most frequently, literature, quantitative and mixed research in order. As for the period,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more frequently after late 2000s and for recent 3 years. This period mainly focused on research on a learning community, local linkage and network, showing the most use of case study or participant observation to find out and analyze meaningful cases in the field of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Since 2000s,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to u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ogether. However, it shows that quantitative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questionnair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interview and case study as the central research method. It is necessary to use more various research methods to achieve a research aim effectively. As the result of analyzing a research tendency on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flows of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research may be divided into ① researches on constructing a basis for activation of the community lifelong education that occupied the most since 2000s and ② researches on participation of the lifelong learning based on a community that increased continually and particularly occupied the most for recent 3 years from 2011 to 2013. In a process pursuing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it is regarded that a learning process of each individual and group is very important. When residents and groups grow up through learning and make use of learning outcome for a region, a local community becomes mature, forming lifelong education based on a community to be pursued. Recently, with critical consciousness and interest in a community learning community and a lifelong learning village, studies related to a dynamically changing field, its construction process and learning outcome are increasing gradually. However, there are still few studies on a curriculum and learning content based on a community. In order to create a true learning ecosystem that natural learning culture is formed as a landscape or a climate beyond an artificial and organized learning scenery, lifelong education policy for the communal development may be efficient when community needs for lifelong learning are analyzed as a zone of life, adequate plan is worked out rather than dividing national lifelong education planning into the community, inducing authentic residents' participation. Based on analytic findings above, this study gives suggestions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develop and research various programs and curricular reflecting community characteristics and commonality. Also there is need for the case study on a learning club and a lifelong learning village done by resi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together with construction and exploration of a systemic theoretical foundation explainable through researc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