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고등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 적용이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등학교 디자인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모형 적용이 문제해결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pplication in High School Design Class on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ment
Authors
조민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현대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 중 하나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여 학습자가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사회의 요구에 능동적 으로 자신의 의사를 결정하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하는데 있다. 학습자는 다원화되고 급변하는 사회에서 자신이 부딪히는 문제를 자기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해야 한다. 이에 학교는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외부의 다양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주체의식을 길러주고 문제해결에 요구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실제 사회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함양하는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 선행연구를 통해 고등학교 학습자들이 미술교과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사의 일방적인 지시에 따라 표현하는 단순 표현 위주의 수업 운영에 따른 낮은 학습자의 수업 참여도를 대답하였다(이종길, 2010). 또한 연구자는 교육현장에서 미술 수업을 하며 많은 학생들이 미술과 실생활과의 관련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수동적인 태도로 수업에 임하는 것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였기에 실생활에서 학습자가 경험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문제해결력을 키워주는 과정을 통해 미술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시각을 확장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인 고등학교 시기는 학습자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로웬펠드의 표현발달에 따르면 환경을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기이며 피아제의 발달이론에 따르면 추상적 사고, 추론, 가설이 가능한 시기이다. 따라서 개인적 표현을 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주제를 발견하고 소통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사회적 역할을 인지시키고 그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발견하게 하는 경험이 중요하다. 이는 2009개정 교육과정 개정 방향, 추구하는 인간상을 통해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수업모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문제중심학습모형이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문제중심학습모형의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으며 이를 위해서 구성주의적 학습인 문제중심학습모형(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한 고등학교 1학년 대상의 새로운 디자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문제해결력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문제해결력을 재 정의한다.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 문제중심모형의 교육적 의의와 문제해결력과의 연계성을 살펴본다. 이후 연구대상을 선정 후 교육과정과 문제중심학습모형의 교수-학습 과정을 바탕으로 총 7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한다. 비교대상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Heppner와 Peterson(1982)이 고안한 문제해결력 인식 검사(Personal-Problem Solving Inventory)를 대학생을 대상으로 번안, 수정한 송윤희(2007)의 검사지를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한다. 이를 연구 대상인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3반을 선정한다. 이후 총 7차시 수업(각 50분)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는 동일 수업으로 교학사 ‘미술’(노용 외, 2010)의 대단원 ‘함께하는 미술’, 소단원 ‘3. 만화와 애니메이션’ 이 단원이 제시하는 학습목표와 내용을 바탕으로 독도, 동북공정 역사왜곡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카툰으로 표현하는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이 적용된 수업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일반적인 교사 중심의 미술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수업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평가 결과를 통계적 검증 및 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의 결과가 측정되었다. 문제해결력의 사후검사 결과를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M=138.37)이 통제집단(M=126.33)에 비해 문제해결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집단 간 문제해결력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2.718, p<0.01). 또한 각 하위영역인 자신감, 접근 회피 스타일, 자신의 통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 실험집단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켰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자발적 참여도를 높였으며, 미술 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만족도 설문지를 실시한 결과 ‘미술 활동이 흥미로웠으며, 즐거웠다, 흥미가 높아졌다.’ 라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 실험집단의 72%로 미술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학생은 인상 깊었던 활동을 표시하는 항목에서 문제해결계획, 실행, 관련 자료 탐색 항목, 모둠활동을 통한 활동, 브레인스토밍 활동 등에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그 외 의견으로는 “자신이 스스로 학습에 대한 자율적인 선택 기회를 가질 수 있어서 좋았다, 표현 위주의 수업이 아니다, 내가 원하는 주제를 선택하고 원하는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등의 학생의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문제중심학습모형은 사회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학습자에게 선택의 자율성을 주어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학습자가 책임의식을 가지고 학습에 임하는 태도를 함양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집단의 학생들의 작품에서 ‘주제표현’, ‘표현방법’, ‘표현과정’, ‘조형요소와 원리’ 영역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 많았으며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었다는 응답자 수가 높아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뿐 아니라 인지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높은 학업성취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종합하면,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효과적이며, 해당 하위 영역에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주었다는 교육적 의의를 제시한다. 또한 만족도 설문지를 통해 학습자의 자발적 학습 태도, 학습 내용에 대한 흥미, 학업 성취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알 수 있어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된 수동적 학습자의 태도에 변화 가능성을 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모형을 적용한 미술 수업이 학습자의 문제해결력 함양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현 시대가 요구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함양하는데 문제중심학습모형은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성주의 학습모형의 특징인 학습자 중심의 학습은 유의미한 학습의 시작이며 현 시대가 요구하는 창의적이고 주체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해결력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수업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한 질적 연구가 병행되며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다양한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소수의 표집 집단의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제한을 받았지만 학년, 인원, 지역 등을 고려한 많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학년에 적용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 보편화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One of ultimate major purposes of school education in modern society is to allow students to develop an ability to solve problem by taking a leading role by actively making their decision along with future social demand as well as the present through applying the contents they learned at school to the problems they meet in the society by maintaining a close rela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that time. Students should build up the ability to actively solve problems they run against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refore, school should build up sense of identity for students to adjust to the external various changes they experience and provide them with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a preceding research, most of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biggest problem of art subject is low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along with simple expression oriented class operation where they express according to teachers' one-sided directions (Lee, jong-guil, 2010). Also, the researcher intends to proceed classes which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let them extend the view of the role and the function of art through the process of fostering problem solving ability against the problems they can experience in reality, since the researcher perceived the point as the most serious problem, while teaching at the educational spot, that students cannot recognize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the reality. Research object, high school period, is a very important time when the students' identity is formed. According to Lowenfeld, that time is the period that students can perceive the environment critically and according to Piaget's developmental theory, it's possible for them to make abstract thinking, deduction and hypothe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let the students to perceive their social role and have the experiences to find one's value therein through the activities to search the themes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s well as communicate by going further than personal expression. This is emphasized through the direction of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its pursuing human character, along with this, it is necessary to suggest a new class model. For this, the researcher intended to suggest a new design teaching method which utilizes problem-based learning, which is constructive learning, and research its influence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format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preceding research, along with this, the researcher intended to investigate how the art classe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fluence problem solving ability of 1st graders of high school. The procedure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was to be verified in this research was redef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problem solving ability as the theoretical environment of this research. After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problem-based learning model,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problem-based model and the connectivity with i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repared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based on teaching-learning process. Also, the researcher corrected and supplemented Song, yun-hee's inventory(2007) in July, 2013 suitable for high school students, which adapted and corrected Personal-Problem Solving Inventory which Heppner and Peterson(1982) devised targeting the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er selected each 3 classe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led group who were verified their equivalence by implementing preliminary inspection with this targeting 6 classes of 1st graders of high school, who were the objects of the research. Hereafter, the researcher performed total 7-time classes(50 minutes each). And performed the classes to express social problem regarding historical distortion with cartoons based on the aim of the lesson and its content which this unit suggests along with the large unit 'Sharing art', and the small unit '3. cartoons and animation' of Gyohaksa 'Art'(No-yong, etc. 2010)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s the equal clas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clas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and for the controlled group, the art class with general teacher-oriented lesson was implemented. After finishing the demonstration clas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9.0 program for statistical verification and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clas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ould measure the result of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of 1st graders of high school. Compared with the controlled group which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and the result was analyzed that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in the areas of subordinate scope, e.g. confidence, approach avoidance style, self-control. Second, the art clas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1st graders of high school, as well, raised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art activity. As the result of satisfaction questionnaire implementation, 72% of the students responded 'Art activity was interesting and enjoyable, and could get higher interest' among the whole experimental group so that the interest level in art appeared higher. Third, the students who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showed positive response to the activities e.g. problem solving plan, practice, exploration activity of relevant material, activity through group activity, brainstorming activity, etc. in the items which display the impressive activities, and students' other opinions were "It was good to have autonomous choice opportunity of study by oneself, It wasn't a class of expression orient, I could select a theme that I want and can express in the method that I want", etc. Therefor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an improve sociality as well as provides students with autonomy of selection so that the learner oriented class is possible. Also, it can provide a positive effect that learners can build up the attitude to participate in learning with responsibility. Fourth, lots of pieces among the students group who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gained high evaluation in the areas of 'theme expression', 'expression method', 'expression process', 'modeling element and principle', also, they showed high response that they could learn effectively, so that it enables high academic achievement by giving a positive effect in students' affective area as well as cognitive area. To conclude, the art clas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was effective in the cultivation of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1st graders of high school, all of the whole relevant subordinate scope showed meaningful results. Therefore, it suggests an educational meaning that the art clas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 educational spot presented a positive effect i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Also, through the satisfaction questionnaire,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gi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voluntary learning attitude, interest in learning content, academic achievement, etc., it provides a possibility of change in passive students' attitude who come to perceive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In conclusion,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art class which appli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was effective i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cultivation. Therefor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can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 in cultivating 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which this period requires, also, students-oriented learning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constructive learning model is the beginning of meaningful learning and can suggest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can foster the creative and autonomous men whom this period requires. However, for the class to give more positive effect in problem solving ability,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nsiders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 should be combined, also, continuous, organized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 should be supported. Also, this research requires to exert efforts to generalize through proceeding follow-up study which can universalize by applying to various graders through the research on many students considering grades, number, region, etc., though this research was restricted to the 1st graders of high school as a small sample grou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