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음악활동을 통한 자폐성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Title
음악활동을 통한 자폐성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uthors
윤정림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물놀이 악기를 중심으로 한 음악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반응을 분석, 비교함으로써 민속적 음악요소의 치료적 효용성을 연구해 보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3명의 자폐성 아동을 대상으로 개별세션이 이루어졌으며 기간은 10주에 걸쳐 총 21회가 실시되었다. 이를 위한 음악활동은 오르프 음악치료의 다중 감각적 접근에 근거하여 구조화하였으며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의 반응은 정서(눈맞춤, 찡그림, 미소), 신체, 음악, 언어(발성적, 구어적 언어)적 영역별로 측정되었다. 이를 통하여 세션 진행에 따른 전체적 경향성과 초기, 후기 반응 빈도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음악활동을 통한 자폐성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의 결과는 초기와 후기의 평균 반응 빈도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84, p<.0001). 또한 각 개인 아동에 있어서도 부정적 정서표현 이라 할 수 있는 찡그림과 구어적 언어를 제외한 각 영역별 반응의 증가를 나타냈다. 사물놀이 악기에 대한 반응은 타악기의 리듬요소에 의한 반응 뿐 아니라 악기자체의 신체적 접촉에 의한 촉감적 자극에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이렇게 민속적 음악요소라 할 수 있는 사물놀이 악기를 이용한 구조화된 음악적 자극이 자폐성 아동의 외부세계 인식 및 상호작용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은 우리의 민속적 음악요소가 치료에 유용한 수단으로 기능 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자폐성 아동의 특성과 발달정도를 고려한 보다 구조화된 치료전략 하에 우리의 정서와 결부된 민속음악 사물놀이의 요소를 치료적으로 개발, 연구하여 활용한다면 이들에게 다양한 음악적 자극을 통하여 외부세계에 대한 인식력 향상과 함께 다양한 상호작용 경험을 통하여 사회성 발달까지 가져다 줄 것이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usical environment using traditional Samulnori instruments can be used for children with autism to facilitate interactions with the environment and its awareness. Three children with autism participated and they were case-studi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r 21 consecutive sessions. The main therapeutic model used was Orff music therapy with emphasis on its multi-sensory approach. The interactive behaviors measured were emotional (eye-contact, facial expression), physical(reaching, distancing), musical (imitating, dialoging), and communication(vocalizing, verbalizing). Each measurable behavior was defined with appropriate criteria for each cas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frequency recording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interactive behavior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musical instruments were provided in various interactive means when the first and the final session were compared(t=7.84, p<.0001). Both frequency and quality of children s interaction with musical environment increased by showing positive physical interaction with Samulnori instrument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d that use of traditional Samulnori instruments were effective in facilitating interactions from the children in musical environment. Various physical features of instruments were effective for both physical and tactile stimulation. This further brought increase in children s cognitive and perceptiv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The results also implied that ethnic character of the instruments were effective in establishing familiarity and reinforcing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in music therapy sess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