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미술교육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Title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미술교육 어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Appli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 Focus in Intergrated Curriculum for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rt and Ethics Education
Authors
조현진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과거에는 지식이 곧 절대적인 진리였다. 하지만 오늘날 현대사회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정보검색기능을 갖춘 스마트기기를 통해 쉽게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많은 학자들은 인재의 필수 역량으로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 시민의식, 정보기술역량을 꼽고 있다. 이러한 시대상황은 교육 환경과 교사, 학습자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생들이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습득하며, 교사는 안내자 역할을 하는 데에 정보통신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시작으로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교육, 즉 스마트교육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교육 현장으로의 새로운 기술의 도입과 그러한 기술을 이용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미술교육에서도 이러한 디지털시대를 뒷받침 하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태블릿PC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해 봄으로써 미술과 스마트교육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현재 학교교육의 화두는 창의·인성 교육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이러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미술교육도 창의성 증진과 동시에 인성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중학교 3학년 미술, 도덕 통합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서, 미술과를 통한 창의력신장과 도덕과를 통한 인성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예시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미술교육 태블릿PC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개발 및 적용하는 실험을 하며 향후 미술교육 어플리케이션의 개발 방향과 더불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스마트교육의 정의와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학자들마다의 교과 통합의 정의 및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 본 후, 2007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과, 2007개정 중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중학생의 스마트교육을 위한 교과 통합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야 하는 세 가지 요소를 첫째, 의사소통기능, 둘째, 감상활동기능, 셋째, 표현활동기능으로 선정하였고, 그를 바탕으로 전체적인 어플리케이션을 기획 및 설계하였다. 디자인작업을 거쳐 어플리케이션개발 업체인 S사와 함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는 과정으로 중·고등학생들과 비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총 4회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각 회마다 참여자는 2명씩, 총 8명과 면담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보고,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는 과정을 녹취하여 전사하였다. 중학교 3학년 미술, 도덕 통합 교수-학습프로그램 개발은 Fogarty의 공유형을 바탕으로 설계하였으며, 핵심주제는 ‘공감’으로 선정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크게 교사평가, 학생평가로 나뉘며 교사평가는 어플리케이션 상에 저장되는 학생들의 작품을 모은 포트폴리오평가, 전체평가로 나뉘며, 학생평가는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진행되는 상호평가와 자기평가로 나뉘어 평가된다.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어플리케이션을 평가하는 비구조화된 면담에 참여했던 참여자들은 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수업에 모두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미술교과 특성상 다양한 준비물이 필요하고 비용이 소모되지만, 본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수업하면 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적일 것 이라는 의견이 과반수이상이었다. 또한 그림을 그리고, 지우는 것이 실제 도화지에 하는 것 보다 쉽고,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릴 때는 도화지에 그림을 그릴 때 보다 부담스럽지 않아, 자신 있게 표현활동에 임할 것이라고 실험 참여자들은 예상하였다. 하지만 본 어플리케이션의 단점으로 실험 참여자들은 수업의 집중도가 낮을 것이라 예상했다. 또한 미술수업은 실제 도화지에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여 손으로 그림을 그리는 방법이 더 적합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감상 및 평가하는 과정에서는 학생들이 진지하게 임하지 않고 비방하는 글을 적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교 미술교육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시에는 학습자 학년의 수준, 기기사용능력 등을 파악하여 개발해야 하며, 학습자들이 몰입할 수 있도록 컨텐츠를 구성해야 한다. 또한 학습도구로서 스마트기기의 사용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풍요로운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하며, 실제 교실 현장에 적용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In the past, knowledge was absolute truth. Yet, in modern society, people can easily obtain and use knowledge through smart devices with information search fun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CT. With this change, many scholars pick up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bility, collaboration ability, civic consciousnes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as the core competencies of talent.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 have great influences on educational environments, teachers and learners. ICT is used for students in obtaining knowledge by themselves through a series of process of asking questions themselves and solving the problems and for teachers in playing a guiding role. Since ‘Smart Education Promotion Strateg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South Korea has continued studying education using smart devices, that is, smart education. Introducing new technologies to educational fields and developing practical teaching-learning programs using those technologies are required. Art education should develop teaching-learning programs supporting this digital age. Thus, this study will develop an application for tablet PCs, which can be used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topics of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include creative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is sense, art education using these smart devices also should be able to contribute personalit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model of a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creativity through art and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morals by developing a teaching-learning program integrating art and morals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the developed application. To sum up,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n application for tablet PCs which can be used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propose a teaching-learning program integrating art with morals for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using the developed application to provide the learners with creative and personality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and reinforcing their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to develop their critical thinking.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necessity and definition of subject integration by scholars were investigated, and then based on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revised in 2007 and middle school moral curriculum revised in 2007, the significance of subject integration for smart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ree element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application were selected, and based on which the overall application was designed and planned. Through a designing work, the application was developed jointly with S. Company, an application developer. As a process of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an unstructured interview was carried out on middle/high school students. It was conducted four times total, and a total of 8 participants: 2 participants in each session were interviewed. The processes in which the students used the application and proposed their opinions freely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integrating art and morals of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as designed based on Fogarty’s shared type, and key topic of ‘sympathy’ was selected. Evaluation methods are broadly teacher evaluation and student evaluation: the teacher evaluation is divided into portfolio evaluation of the students’ works stor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overall evaluation while the student evaluation is divided into mutual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carried out on the appl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All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unstructured interview to evaluate the application responded that the class using this application was positive. By the nature of the subject of art, various materials are necessary, but 5 out of 8 persons presented an opinion that using this application in class would be economical. The subjects expected that drawing and erasing easily would allow students to start painting easily and express without the burdens. However, all students predicted a weakness of this application tha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n the class would be low.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drawing pictures using various materials on drawing paper would be more appropriate for actual art class. Also, some were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that in the mutual evaluation between the students on the application, they might write slander instead of engaging themselves seriously. In conclusion, develop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rough an application using tablet PCs necessitates teachers’ instruction so that the students can focus on the class. In addition, for the learners to engage themselves in mutual evaluation activities seriously, clear evaluation criteria and to restrain them from using inappropriate language, in other words, education of etiquette and manners that should be kept in the virtual space should prece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