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05 Download: 0

피아노 교육에서의 음악맵핑을 기초로 한 시각적 암보방법 연구

Title
피아노 교육에서의 음악맵핑을 기초로 한 시각적 암보방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Visual Music Memorizing Method in Piano Teaching Basedon Music Mapping
Authors
최빛나
Issue Date
2014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피아노교수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권수미
Abstract
성공적인 연주에 있어 정확한 암보는 전반적인 음악적 지식 및 이해를 바탕으로 음악적 재능과 표현을 펼칠 수 있도록 하며 무대에서 청중과 함께 음악을 공유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적 구조와 음악적 패턴을 인지하고 도법화하여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인지하는 암보방법인 '음악 매핑'을 통해 효과적인 피아노 암보 학습 및 지도 방법 개발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음악매핑 학습의 적용에 적합한 악곡 선정 방법으로는 Jane Magrath(1995)저자의 "The Pianist's Guide to Standard Teaching and Performance Literature"을 참고하여 다양한 시대별 스타일과 형식 그리고 악곡의 난이도를 고려해 총 4개의 악곡을 선정하였다. 한편, 음악맵핑 도법 개발을 위해 'Mapping Music by Rebbeca Payne Schockley'(2002)를 참고하여 위의 선정된 4개의 악곡으로 학생 암보지도를 위한 교재 자료를 개발 하였다. 위 개발된 음악맵핑 자료의 타당성을 검증 받기위하여 전문가 3인에게 암보지도를 위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그 조언을 바탕으로 적용된 가이드 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매핑 학습 정보의 기준점'으로는 ’도법 예시 기준표'를 제시한다. 이는 음악적 구조와 패턴인지를 통해 '청각적 이미지를 시각적 이미지'로 전환시켜 암보하는 방법을 강화시키기 위한 간단한 도법 예시 표이다. 둘째, '교사의 매핑 지도 방법의 기준점'으로는 실시한 음악매핑 초안을 '한 장의 도면에' 학습차시 총 4차시 동안 각 차시별로 음악적 이해를 추가해 덧그려 나아가는 방법으로, 마지막 4차시 암보를 제시할 때, 최종 음악맵핑 개발 방법이 완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음악맵핑 학습을 통해 전반적인 음악적 이해의 능력이 향상되었고, 초견 능력 발달에 도움을 주어 곡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짐으로써 다음과 같은 능력들이 개발 될 수 있었다. 첫째, 음악적 패턴화 인지 능력이 향상되어 선율적 흐름에 대한 프레이즈를 느끼며 연주하는 것이 자연스러워졌다. 둘째, 음표 길이들을 선의 길이 및 굵기의 차이를 둔 도법으로 인해 리듬감이 향상 되었고, 더불어 아티큘레이션도 생각하며 연주하였다. 셋째, 화음들 진행의 '윤곽(shape)'을 바라 볼 수 있게 되어 화음 하나하나를 기억하지 않아도 다음 화음으로 진행하는데 있어 암보에 대한 두려움 없이 연주 할 수 있었다. 넷째, 곡의 정보와 분위기에 맞는 섬세한 악상 표현과 톤(tone)의 색을 생각하게 되어 다이나믹 표현에 도움을 주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학생의 음악적 수준 및 성향을 고려하여 암보에 대한 다양한 지도방법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기를 기대한다.;Music-memorizing in a successful performance enables the demonstration of one’s musical talent and expression based on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n music. It also facilitates the sharing of music with audience while enjoying the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n effective method of learning/teaching of music-memorizing by way of “music mapping’, which is a music-memorizing method that recognizes acoustic image as visual image by way of recognizing and schematizing the music structure and pattern. In the selection of music pieces appropriate for the music-memorizing learning in this study, “The pianist's guide to standard teaching and performance literature” (Jane Magrath, 1995) was referred in selecting 4 music pieces which cover the music styles, forms and level of difficulty in various times. On the other hand, “Mapping Music by Rebbeca Payne Schockley” (2002) was referred in the development of music mapping schematization and teaching material on music-memorizing based on music pieces selected above. In order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ed music mapping material in this study, 3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and the guideline applied in this study based on their advices is as following. First, the “schematic example standard table” is suggested as the “standard of students’ mapping learning information”. This table is a simple schematic example diagram that “changes acoustic image into visual image” by recognizing music structure and pattern so that music-memorizing would be reinforced. Second, a “standard of music mapping teaching method by teacher” is suggested. In this teaching method standard, initial music mapping draft is continuously updated across total 4 class-hours by adding the musical understanding of each class-hour on the “same mapping draft”. In this method, the final music mapping is completed when the 4th music-memorizing class-hour is completed. Consequently, the music mapping learning enhanced overall music understanding and helped the development of sight-reading capability of students. The students’ view on music pieces became wider and their capabilities were developed as following. First, students’ capability on recognizing music pattern improved. They felt phrase of melody flow and their performance became more natural. Second, sense of rhythm was improved by the schematic music map, since it has lines with different lengths and thicknesses for notes. Students could perform music even thinking articulation. Third, students became capable of seeing the “shape” of chord succession. They could perform without fear on music-memorizing and move to next chord even they do not know the chords one by one. Fourth, students could consider the color of music tone and delicate theme expression that fit with information and atmosphere of the piece. It helped in their dynamic performance of the piece. The author hopes more various teaching methods on music-memorizing, considering the musical level and propensity of students,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피아노교수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